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낙수(洛水)
중국 하남성(河南省) 서부에 있는 강 이름. 섬서성(陝西省)의 동부 진령산맥(秦嶺山脈)에서 발원한 후 동류(東流)하여 하남성을 지나 황하(黃河)로 흘러 들어가며, 연안에는 낙양(洛陽)과 같은 고도가 있어 사적으로도 유명함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낙수역(洛水驛)
전라도 순천(順天)의 서쪽 73리 지점에 있던 역(驛) 이름.
전라도>순천 , 지명>행정지명
-
낙신부(洛神賦)
중국 삼국시대 위(魏) 나라 조식(曹植)이 지은 산문부. 조식이 낙수(洛水)를 건너면서 미인 견씨(甄氏)를 사념(思念)하여 복비(宓妃)에 빗대어, 이루어질 수 없는 안타까움을 표현함.
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낙신부도권(洛神賦圖券)
중국 동진(東晉)의 화가 고개지(顧愷之)가 그린 산수인물화. 조식(曹植)의 〈낙신부(洛神賦)〉의 마지막 부분을 그림. 두루마리 그림으로 동일한 인물을 여러 번 등장시키는 기법을 사용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낙안(樂安)
전라도 순천(順天)에 속하였던 옛 고을 이름. 지금의 전라남도 순천시(順天市) 낙안면(樂安面)ㆍ외서면(外西面)과 보성군(寶城郡) 벌교읍(筏橋邑) 일대에 해당함.
전라도>낙안 , 지명>행정지명
-
낙양(洛陽)
중국 하남성(河南省) 서부의 낙수(洛水) 유역에 위치한 도시 이름. 주(周)ㆍ후한(後漢)ㆍ삼국(三國) 등의 고도(古都)로 유명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낙양기(洛陽記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 학자인 육기(陸機)의 저서. 낙양(洛陽)에 대한 기록으로, 대표적인 낙양지방지(洛陽地方志)로 꼽힘. 1권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낙양진신구문기(洛陽縉紳舊聞記)
중국 송(宋) 나라 문신ㆍ학자인 장제현(張齊賢)의 저서. 양(梁)ㆍ당(唐) 이래 낙양(洛陽)에 관한 구사(舊事)를 모아 기술함. 21편.
1005 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낙은별곡(樂隱別曲)
조선 후기 문신 남도진(南道振)이 지은 가사. 경기도 용문산(龍文山)에 위치한 낙은암(樂隱岩)의 주변 경치인 일곡팔경(逸谷八景)을 노래함.
1722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양근 , 문헌>작품명
-
낙읍(洛邑)
중국 하남성(河南省) 낙양(洛陽)의 서쪽 지역에 있던 고대 서주(西周)의 수도 이름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낙임해집(駱臨海集)
중국 당(唐) 나라 시인인 낙빈왕(駱賓王)의 문집. 임해(臨海)는 낙빈왕이 지방관으로 근무하던 지방임. 오율시(五律詩)와 변문(騈文)이 들어 있음. 10권.
중국>당 , 중국 , 문헌>서명
-
낙전당귀전록(洛全堂歸田錄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신익성(申翊聖)의 문집. 신익성이 퇴거(退居)한 후 지은 시로,《낙전당집(洛全堂集)》에 수록되지 않은 것을 모아 숙종(肅宗) 때 김석주(金錫胄)와 박세채(朴世采)가 편집ㆍ간행함.
1684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낙전당집(樂全堂集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신익성(申翊聖)의 시문집. 아들 신면(申冕)과 신최(申最)가 편집한 것을 1681년(숙종 7) 외손 김석주(金錫胄)가 간행함.
1681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낙전집(樂全集)
중국 송(宋) 나라 문신ㆍ학자인 장방평(張方平)의 문집. 본집 40권과 부록 1권으로 구성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낙정집(樂靜集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조석윤(趙錫胤)의 문집. 14권 7책. 1670년(현종 11)에 민기중(閔蓍重)이 간행함.
167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대구 , 문헌>서명
-
낙천문집(洛川文集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학자 배신(裵紳)의 시문집. 2권 2책. 철종(哲宗) 때 이원조(李源祚)에 의해 편집ㆍ간행됨.
1862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낙천사(洛川祠)
조선 영조(英祖) 때 경상도 예안(禮安)에 건립한 사당. 김부필(金富弼)ㆍ김부인(金富仁) 등을 배향함.《일휴면진양선생연고(日休勉進兩先生聯稿)》에 봉안문(奉安文)이 남아 있음.
176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안 , 유적>건물>사당
-
낙촌집(駱村集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박충원(朴忠元)의 문집. 6권 3책. 초간 연대는 미상이며, 1886년(고종 23) 박광진(朴光鎭)과 박영대(朴英大)에 의해 중간(重刊)됨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낙화암(落花巖)
충청도 부여(扶餘)의 부소산(扶蘇山)에 있는 암벽 이름. 백제 의자왕(義慈王)의 궁녀들이 이곳에서 투신하여 죽었다는 전설이 있음.
충청도>부여 , 지명>자연지명
-
난계유고(蘭溪遺稿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ㆍ학자ㆍ음악가인 박연(朴堧)의 시문집. 1권 1책. 1822년(순조 22)에 박경하(朴景夏)에 의해 간행됨. 음악에 관한 상소문은 당대(當代) 음악사 연구의 귀중한 자료가 됨.
1822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