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단구자(丹丘子)@원단구 - 원단구(元丹丘)
중국 당(唐) 나라의 도사. 신선술(神仙術)을 좋아하였으며, 이백(李白)과 교유함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도사
-
단구자(丹丘子) - 이숭경(李崇慶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인. 본관은 전의(全義). 성균 생원(成均生員) 이정(李頲)의 아들로, 시(詩)와 초서(草書)에 뛰어났으며, 박순(朴淳)ㆍ임억령(林億齡) 등 당대의 명사들과 교유함.
1510~1588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이천 , 인명>문사>문인
-
단구한민(丹丘閑民) - 이숭경(李崇慶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인. 본관은 전의(全義). 성균 생원(成均生員) 이정(李頲)의 아들로, 시(詩)와 초서(草書)에 뛰어났으며, 박순(朴淳)ㆍ임억령(林億齡) 등 당대의 명사들과 교유함.
1510~1588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이천 , 인명>문사>문인
-
단군왕검(檀君王儉) - 단군(檀君)
고조선(古朝鮮)의 첫 임금. 한민족의 시조(始祖)로 천제(天帝)인 환인(桓因)의 손자이며, 환웅(桓雄)의 아들. B.C.2333년 아사달(阿斯達)에 도읍을 정하고 고조선(古朝鮮)을 건국하였음.
고대 , 인명>왕실>국왕
-
단금지계(斷金之契) - 금란지교(金蘭之交)
친구 사이의 굳은 우정을 이르는 말. 《역경(易經)》의 〈계사상전(繫辭上傳)〉에서 유래한 말로, 둘이 합심하면 그 단단하기가 능히 쇠를 자를 수 있고 우정의 아름다움은 난초의 향기와 같다는 뜻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단금지교(斷金之交) - 금란지교(金蘭之交)
친구 사이의 굳은 우정을 이르는 말. 《역경(易經)》의 〈계사상전(繫辭上傳)〉에서 유래한 말로, 둘이 합심하면 그 단단하기가 능히 쇠를 자를 수 있고 우정의 아름다움은 난초의 향기와 같다는 뜻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단기지계(斷機之戒) - 맹모단기(孟母斷機)
맹자의 어머니가 베틀에 건 날 실을 끊음. 《열녀전(列女傳)》〈모의전(母儀傳)〉에 나온 이야기로, 맹자의 어머니가 유학(遊學) 도중 돌아온 맹자를 훈계하여 학문을 중도에 그만두는 일을 책망한 고사에서 유래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단단대령(單單大嶺) - 백두산(白頭山)
함경도와 중국 길림성(吉林省)에 걸쳐 있는 산. 백두산에서부터 지리산에 이르는 백두대간은 한국의 기본 산줄기로서, 모든 산들이 여기서 뻗어 내렸다 하여 예로부터 성산(聖山)으로 숭배함.
함경도>경성ㅣ함경도>갑산 , 지명>자연지명
-
단두장군(斷頭將軍) - 엄안(嚴顔)
중국 삼국시대 촉(蜀) 나라의 장수. 강주(江州)를 지키다가 장비(張飛)에게 생포된 후 노장 황충(黃忠)과 더불어 유비(劉備)의 심복이 되어 많은 공을 세움.
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단림(端臨) - 마단림(馬端臨)
중국 송(宋) 말~원(元) 초의 학자. 제도와 문물사(文物史)에 관한 백과사전인 《문헌통고(文獻通考)》를 저술함.
중국>원ㅣ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단명(端明)@황중 - 황중(黃中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소무(邵武) 사람으로, 단명전 학사(端明殿學士)ㆍ병부 상서(兵部尙書) 등을 지내고, 《주의(奏議)》를 저술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단명(端明)@왕응신 - 왕응신(汪應辰)
중국 송(宋) 고종(高宗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이부 상서(吏部尙書)를 거쳐 단명전 학사(端明殿學士)를 역임함. 주자(朱子)가 선인(善人)의 종주라고 칭함.
1118~1176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단명(端明) - 소식(蘇軾)
중국 송(宋) 나라 신종(神宗)~철종(哲宗) 때의 문신ㆍ시인. 당송팔대가(唐宋八大家)의 한 사람으로, 왕안석(王安石)의 신법(新法)에 반대하여 수차례 유배되었으며, 문장에 능하여 〈적벽부(赤壁賦)〉 등 명작을 남김.
1037~110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단목(端木) - 단목사(端木賜)
중국 춘추전국시대 위(衛) 나라의 학자. 공자(孔子)의 제자. 공문십철(孔門十哲)의 한 사람으로 재여(宰予)와 더불어 언어에 뛰어났으며, 노(魯) 나라와 위 나라에서 재상(宰相)을 지냄.
B.C.520?~B.C.456?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단목씨(端木氏) - 단목사(端木賜)
중국 춘추전국시대 위(衛) 나라의 학자. 공자(孔子)의 제자. 공문십철(孔門十哲)의 한 사람으로 재여(宰予)와 더불어 언어에 뛰어났으며, 노(魯) 나라와 위 나라에서 재상(宰相)을 지냄.
B.C.520?~B.C.456?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단목자(端木子) - 단목사(端木賜)
중국 춘추전국시대 위(衛) 나라의 학자. 공자(孔子)의 제자. 공문십철(孔門十哲)의 한 사람으로 재여(宰予)와 더불어 언어에 뛰어났으며, 노(魯) 나라와 위 나라에서 재상(宰相)을 지냄.
B.C.520?~B.C.456?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단몽(端蒙) - 정단몽(程端蒙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문인으로, 청소년을 위한 성리학(性理學)의 기초 학습 교재인 《성리자훈(性理字訓)》을 저술함.
1143~119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단묘(端廟) - 단종(端宗)
조선 제6대 왕. 재위 1452~1455. 문종(文宗)의 아들. 계유정난(癸酉靖難)으로 폐위되어 상왕(上王)ㆍ노산군(魯山君)ㆍ서인(庶人)으로까지 강등되었다가, 1457년(세조 3) 영월(寧越)에서 죽음을 당함. 1698년(숙종 24) 복위됨.
1441~1457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영월ㅣ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단민(端敏) - 홍진(洪進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치재(耻齋) 홍인우(洪仁祐)의 맏아들이며, 홍적(洪迪)의 형.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(扈聖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이조 판서(吏曹判書) 등을 지냄.
1541~1616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단방(檀厖) - 단군(檀君)
고조선(古朝鮮)의 첫 임금. 한민족의 시조(始祖)로 천제(天帝)인 환인(桓因)의 손자이며, 환웅(桓雄)의 아들. B.C.2333년 아사달(阿斯達)에 도읍을 정하고 고조선(古朝鮮)을 건국하였음.
고대 , 인명>왕실>국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