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단산수(丹山守) - 이수(李穗)@구수복의장인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종친. 병암(屛菴) 구수복(具壽福)의 장인으로, 무과(武科)에 급제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단산우씨(丹山禹氏) - 단양우씨(丹陽禹氏)
고려 현종(顯宗) 때 정조호장(正朝戶長) 등을 지낸 우현(禹玄)을 시조로 하는 성씨.
충청도>단양 , 인명>집단>성씨
-
단성(端聖) - 효현왕후(孝顯王后)
조선 제24대 헌종(憲宗)의 비(妃). 본관은 안동(安東). 영흥부원군(永興府院君) 김조근(金祖根)의 딸로, 왕후가 된지 2년 뒤에 병으로 죽어 경릉(景陵)에 안치됨.
1828~1843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비
-
단성군(丹城君) - 우공(禹貢)
조선 세종(世宗)~ 성종(成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단양(丹陽)으로 우선언(禹善言)의 아버지. 세조(世祖) 때 모련위(毛憐衛)의 야인(野人)을 토벌하고, 이시애(李施愛)의 난을 평정하여 적개공신(敵愾功臣)이 되었으며, 단성군(丹城君)으로 봉해짐.
1415~1473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단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단숙(端叔) - 반우단(潘友端)
중국 송(宋) 나라 의 문신ㆍ학자. 주희(朱熹)의 문인으로, 효종(孝宗) 때 진사시(進士試)에 합격하고 태학박사(太學博士)를 지냄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단숙(端肅)@갈수례 - 갈수례(葛守禮)
중국 명(明) 나라 세종(世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. 좌도어사(左都御史)를 지내면서 당시 양박(楊博)과 함께 깨끗한 절조와 두터운 신망을 지닌 명신(名臣)으로 알려짐.
?~1578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단숙(端肅) - 고좌(顧佐)
중국 명(明) 나라 성조(成祖)~선종(宣宗) 때의 문신. 성조를 쫒아 북정(北征)에 참여하고, 좌도어사(左都御史)ㆍ응천부 윤(應天府尹) 등을 지냄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단암(丹巖)@권란 - 권란(權鸞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구봉령(具鳳齡)과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하였으며, 찰방(察訪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단암(丹巖) - 민진원(閔鎭遠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여양부원군(驪陽府院君) 민유중(閔維重)의 아들이며, 숙종 비(妃) 인현왕후(仁顯王后)의 오빠이자 우참찬을 지낸 민진후(閔鎭厚)의 동생으로, 소론을 배격했던 노론의 거두.
1664~1736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단암(丹巖)@우탁 - 우탁(禹倬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혜왕(忠惠王) 때의 문신ㆍ학자. 영해 사록(寧海司錄)이 되어 요신(妖神)의 사당(祠堂)을 철폐하고, 충선왕(忠宣王)의 잘못을 극간한 뒤 향리로 물러나 후진교육에 전념함.
1263~1342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단양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단애(丹崖) - 이경중(李敬中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금천군(錦川君) 이감(李瑊)의 아들이며 이황(李滉)의 문인. 1581년(선조 14) 이조 좌랑(吏曹佐郞)으로 있을 때 정여립(鄭汝立)이 높이 등용되는 것을 배척하다가 논핵당하여 파직됨.
1542~158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단애은(丹崖隱) - 송섬(宋纖)
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(五胡十六國)의 하나인 전량(前涼)의 학자. 품덕(品德)과 조행(操行)이 뛰어나고 주천(酒泉)의 남산(南山)에 은거하여 경학(經學) 연구에 전념하였으며, 교육에도 힘써 문하의 학생이 삼천 명에 이르렀다 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단양(丹陽)@영해 - 영해(寧海)
경상도 동북부에 있던 고을 이름. 서쪽으로 진보(眞寶), 북쪽으로 강원도 평해(平海)와 접해있으며 현재는 경상북도 영덕군(盈德郡)에 속함.
경상도>영해 , 지명>행정지명
-
단양(端陽) - 단오(端午)
음력 오월 오일. 우리나라 명절의 하나로, 양기(陽氣)가 가장 센 길일(吉日)로 여겼으며, 단오떡을 해 먹고 창포물에 머리를 감으며 그네뛰기와 씨름 등 여러 가지 민속놀이를 즐김.
사건>풍속
-
단양군(丹陽君) - 우성범(禹成範)
고려 제34대 공양왕(恭讓王)의 부마(駙馬). 본관은 단양(丹陽). 우현보(禹玄寶)의 손자이자, 우홍수(禹洪壽)의 아들로, 공양왕의 둘째 딸 정신궁주(貞信宮主)와 혼인함. 공양왕이 폐위되자 다른 부마들과 함께 개경(開京)의 회보문(會寶門) 밖에서 참수됨.
?~1392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인척
-
단양백(丹陽伯) - 우탁(禹倬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혜왕(忠惠王) 때의 문신ㆍ학자. 영해 사록(寧海司錄)이 되어 요신(妖神)의 사당(祠堂)을 철폐하고, 충선왕(忠宣王)의 잘못을 극간한 뒤 향리로 물러나 후진교육에 전념함.
1263~1342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단양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단양백(丹陽伯)@우현보 - 우현보(禹玄寶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정종(定宗) 때의 문신. 정몽주(鄭夢周)의 시체를 거둬 장례를 치렀다가 탄핵을 받음. 조선 개국 후 2차 왕자의 난을 이방원(李芳遠)에게 알려준 공으로 공신에 책록됨.
1333~1400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단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단양부수(丹城副守) - 이진(李鎭)@조선후기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종친. 송응경(宋應慶)의 사위로, 선조 때 법을 어기고 서북 지방의 관기(官妓)를 데려다 거느리다가 추고(推考)의 처분을 받음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단양부원군(丹陽府院君) - 우현보(禹玄寶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정종(定宗) 때의 문신. 정몽주(鄭夢周)의 시체를 거둬 장례를 치렀다가 탄핵을 받음. 조선 개국 후 2차 왕자의 난을 이방원(李芳遠)에게 알려준 공으로 공신에 책록됨.
1333~1400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단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단양수(丹城守) - 이진(李鎭)@조선후기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종친. 송응경(宋應慶)의 사위로, 선조 때 법을 어기고 서북 지방의 관기(官妓)를 데려다 거느리다가 추고(推考)의 처분을 받음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