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단하진인(檀下眞人) - 단군(檀君)
고조선(古朝鮮)의 첫 임금. 한민족의 시조(始祖)로 천제(天帝)인 환인(桓因)의 손자이며, 환웅(桓雄)의 아들. B.C.2333년 아사달(阿斯達)에 도읍을 정하고 고조선(古朝鮮)을 건국하였음.
고대 , 인명>왕실>국왕
-
단활(短豁) - 이혜(李惠)
고려 말~조선 초의 문인. 몸집이 작고 이가 성글어 스스로 호(號)를 단활공(短豁公)이라 하였고 변계량(卞季良)과 시문으로 교유하였으며, 저서로는《단활집(短豁集)》이 있음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인명>문사>문인
-
단후(丹侯) - 단주(丹朱)
중국 고대 요(堯) 임금의 아들. 불초(不肖)하여 왕위를 잇지 못하고, 순(舜) 임금 때 당후(唐侯)로 봉해짐. 순 임금의 손님이란 뜻으로 우빈(虞賓)이라 불림.
고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ㅣ인명>왕실>제후
-
달(達)@조선전기 - 이달(李達)@조선전기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(臨瀛大君) 이구(李璆)의 증손이며, 봉림수(鳳林守) 이수인(李守仁)의 맏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달(達)@조선후기 - 이달(李達)@조선후기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시인. 본관은 신평(新平). 최경창(崔慶昌)ㆍ백광훈(白光勳)과 어울리며 시사(詩社)를 결성하여 ‘삼당시인(三唐詩人)’으로 일컬어짐. 제자 허균(許筠)이 그의 전기(傳記)인 〈손곡산인전(蓀谷山人傳)〉을 지음.
1539~1612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문사>문인
-
달가(達可)@홍천민 - 홍천민(洪天民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황해도 관찰사(黃海道觀察使) 홍춘경(洪春卿)의 아들로, 성혼(成渾)의 문인. 교지(敎旨) 작성에 뛰어나 여러 번 도승지(都承旨)를 지냄.
1526~157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달가(達可) - 정몽주(鄭夢周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공양왕(恭讓王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영일(迎日). 오부학당(五部學堂)ㆍ향교를 세워 교육 진흥을 꾀하고 유학을 진흥하여 성리학의 기초를 닦음. 친원(親元) 정책에 반대하고 끝까지 고려를 지키고자 함.
1337~1392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달경(達卿) - 정광보(鄭光輔)
조선 전기의 유학. 김효원(金孝元)의 《성암유고(省菴遺稿)》에 그와 관련된 내용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달구(達句) - 대구(大丘)
경상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. 조선시대에 경상도 감영(監營)이 설치되어 영남지방의 중심지가 됨. 1780년(정조 4) 이후로 공자(孔子)의 이름을 피휘(避諱)하여 대구(大邱)로 쓰기 시작함.
경상도>대구 , 지명>행정지명
-
달량왜변(達梁倭變) - 을묘왜변(乙卯倭變)
조선 명종(明宗) 때 왜구(倭寇)가 전라남도 영암(靈岩)ㆍ강진(康津)ㆍ진도(珍島) 일대에 침입한 사건. 비변사(備邊司)가 상설기관으로서 위치를 굳히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됨.
1555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진도ㅣ전라도>영암ㅣ전라도>강진 , 사건>전쟁
-
달마(達摩) - 달마(達磨)
중국 남북조시대의 선승(禪僧). 중국 선종(禪宗)의 창시자. 달마(達磨)는 부처로부터는 28번째의 조사(祖師)로 여겨지고, 중국 선종에서는 초조(初祖)로 간주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달민(達民) - 김도화(金道和)
조선 고종(高宗)~순종(純宗) 때의 문신ㆍ학자ㆍ의병장. 본관은 의성(義城). 김약수(金若洙)의 아들이며, 정재(定齋) 유치명(柳致明)의 문인(門人). 유일(遺逸)로 천거되어 의금부 도사를 지냈으며, 을미사변과 단발령에 항거하여 의병을 일으킴.
1825~1912 한국>근대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달보(達父) - 이계양(李繼陽)
조선 단종(端宗)~성종(成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진보(眞寶). 이정(李禎)의 아들이며, 청해군(淸海君) 이우(李堣)의 아버지로, 단종 때 사마시(司馬試)에 입격했으나 단종이 왕위를 빼앗기자 예안(禮安)으로 낙향함.
1424~148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
-
달보(達甫) - 박영형(朴永亨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1488년(성종 19) 진주(晉州) 촉석루(矗石樓)에서 조위(曺偉)ㆍ김일손(金馹孫) 등과 금란계(金蘭契)를 맺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달부(達夫)@왕적 - 왕적(王適)
중국 당(唐) 나라 헌종(憲宗) 때의 문신. 대리평사(大理評事) 등을 지냈으나, 한유(韓愈)가 지은 그의 묘명(墓銘)에 후고(侯高)를 속이고 그의 딸과 혼인한 일이 실려 있어 세인(世人)들의 조롱을 받음.
770~814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달부(達夫)@서방 - 서방(徐放)
중국 당(唐) 헌종(憲宗) 때의 문신. 자사(刺史) 등을 역임함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달부(達夫)@고적 - 고적(高適)
중국 당(唐) 나라 현종(玄宗)~대종(代宗) 때의 시인ㆍ문신. 간의대부(諫議大夫)를 거쳐 몇 차례나 절도사(節度使)로 나가 난을 평정하다가 나이 50이 되어서야 시를 짓기 시작하였는데, 변새(邊塞)의 이정(離情)을 잘 읊어 잠삼(岑參)과 함께 고잠(高岑)으로 병칭됨.
704~765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달부(達夫)@이유민 - 이유민(李惟敏)
조선 전기의 유학. 임운(林芸)이 그에게 보내는 시가 《첨모당집(瞻慕堂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달부(達夫)@이배달 - 이배달(李培達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종친ㆍ문신. 숭선군(崇善君) 이총(李𤄓)의 증손으로, 율곡(栗谷) 이이(李珥)와 교유하였으며 군수(郡守)를 지냄.
1550~?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ㅣ인명>관인>문신
-
달부(達夫)@노적 - 노적(盧適)
조선 전기의 유학. 김인후(金麟厚)의 문인(門人)으로, 《하서집(河西集)》에 〈증노달부(贈盧達夫)〉가 수록되어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