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달제(達濟) - 오달제(吳達濟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주(海州). 삼학사(三學士) 중의 한 사람으로, 병자호란 때 청(淸) 나라와의 화의(和議)를 반대하다가 윤집(尹集)ㆍ홍익한(洪翼漢) 등과 함께 중국 심양(瀋陽)에 끌려가 처형당함.
1609~1637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달존(達尊) - 이달존(李達尊)
고려 충혜왕(忠惠王) 때의 문신. 이제현(李齊賢)의 아들로, 충혜왕이 원(元) 나라에 잡혀갈 때 아버지와 함께 배종하였다가, 충혜왕이 복위하자 전리 총랑(典理摠郞)이 되어 이듬해 귀국하던 도중 병사함. 문장이 뛰어남.
1313~1340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달지(達之) - 윤안인(尹安仁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윤림(尹琳)의 아들로, 이조 참판(吏曹參判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달지(達枝) - 유달지(柳達枝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서산(瑞山). 유흡(柳洽)의 아들이며, 유천지(柳千枝)ㆍ유만지(柳萬枝)의 형.
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문사>유학
-
달천(㺚川) - 달천(達川)
충청도 보은(報恩) 속리산(俗離山)에서 발원, 북류(北流)하여 남한강(南漢江)으로 흘러드는 하천 이름.
충청도>충주ㅣ충청도>보은ㅣ충청도>괴산 , 지명>자연지명
-
달천(獺川) - 달천(達川)
충청도 보은(報恩) 속리산(俗離山)에서 발원, 북류(北流)하여 남한강(南漢江)으로 흘러드는 하천 이름.
충청도>충주ㅣ충청도>보은ㅣ충청도>괴산 , 지명>자연지명
-
달천(達川)@윤국형 - 윤국형(尹國馨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으로, 윤희렴(尹希廉)의 아들. 임진왜란 때 왜적 방어에 실패하여 파직되고, 재기용된 뒤 난리 후의 혼란한 업무들을 처리함. 공조 판서(工曹判書) 등을 지냄.
1543~1611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달천부원군(達川府院君) - 서미성(徐彌性)
조선 정종(定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권근(權近)의 사위. 안주 목사(安州牧使)를 역임하였으며, 아들 서거정(徐居正)의 공훈으로 달천부원군(達川府院君)에 추증됨.
1383~143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대구 , 인명>관인>문신
-
달촌(達村) - 윤국형(尹國馨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으로, 윤희렴(尹希廉)의 아들. 임진왜란 때 왜적 방어에 실패하여 파직되고, 재기용된 뒤 난리 후의 혼란한 업무들을 처리함. 공조 판서(工曹判書) 등을 지냄.
1543~1611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달충(達衷) - 이달충(李達衷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ㆍ학자. 이천(李蒨)의 아들로, 유학(儒學)에 정통함. 밀직제학(密直提學)을 지낼 때 공석에서 신돈(辛旽)을 비판하여 파면되었다가 신돈이 실각한 후 계림부윤(鷄林府尹)으로 복직함.
1309~1384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달한(達漢) - 문달한(文達漢)
고려 우왕(禑王)~공양왕(恭讓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평(南平). 문하평리(門下評理)로서 양광 경상도 도체찰사(楊廣慶尙道都體察使)로 나갔다가 옥주(沃州)ㆍ개태사(開泰寺) 등지에 침입한 왜적을 왕안덕(王安德) 등과 함께 공주 반룡사(盤龍寺)에서 대파함.
1337~1392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남평 , 인명>관인>문신
-
담(倓) - 이담(李倓)
조선 후기의 종친. 광천군(廣川君) 이수기(李壽祺)의 아들이며 영산부령(寧山副令) 이예윤(李禮胤)의 아버지로, 평해부수(平海副守)에 봉해짐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담(墰) - 임담(林墰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병자호란(丙子胡亂) 때 남한산성에 들어가 총융청 종사관(摠戎廳從事官)이 되어 남격대(南格臺)를 수비함. 유탁(柳濯)의 난을 평정하여 토지를 하사받았으나 사양함.
1596~1652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담(惔) - 유담(劉惔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 명제(明帝)의 부마(駙馬). 사안(謝安)의 장인이자, 왕희지(王羲之)의 절친한 벗으로, 단양 윤(丹楊尹) 등을 지냈으며, 당대의 인걸로 칭송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인척
-
담(曇) - 안담(安曇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광주(廣州)로, 안민학(安敏學)의 아버지.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으로 성수침(成守琛)과 교류하고, 성현도 찰방(省峴道察訪)을 지냄.
?~156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담(曇)@홍담 - 홍담(洪曇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효자. 본관은 남양(南陽)으로, 홍언광(洪彦光)의 아들. 훈구파(勳舊派)의 거두로서 정철(鄭澈) 등의 사림파(士林派)와 대립하였으며, 우참찬(右參贊) 등을 역임함. 청백리에 녹선되었으며, 효성이 지극하여 정려(旌閭)됨.
1509~1576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기타인명>효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담(橝) - 이담(李橝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이해수(李海壽)의 증손이며, 송시열(宋時烈)의 문인(門人)으로, 석곡(石谷)의 옥사에 연루되어 삼수(三水)에 유배되었다가 풀려났으며,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관인>문신
-
담(淡)@심담 - 심담(沈淡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삼척(三陟). 숙종(肅宗) 때 유학인 심세강(沈世綱)의 아버지.
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삼척 , 인명>문사>유학
-
담(淡) - 김담(金淡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ㆍ천문학자. 본관은 예안(禮安). 이순지(李純之) 등과 함께 많은 천문역서를 교정하고 편찬함.
1416~146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담(湛)@신담 - 신담(申湛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이조 참판에 증직된 신영원(申永源)의 아들로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전주 부윤(全州府尹)으로 의병 2천여 명을 모집해 왜군에 대항함. 군자감 정(軍資監正)ㆍ예조 판서(禮曹判書)를 지냄.
1519~1595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