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담(湛)@후한 - 장담(張湛)@후한
중국 후한(後漢) 때의 사람. 사람됨이 예를 좋아하여 행동거지에 법도가 있었고, 광무제(光武帝) 때 조정에 들어가 황제가 나태한 모습을 보이면 곧바로 간하였으며, 항상 백마를 타고 다녔다고 함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담(湛) - 권담(權湛)
고려 공양왕(恭讓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전법판서(典法判書) 권호(權鎬)의 아들. 고려 말에 남원 부사(南原府使) 등을 지냈고, 조선 개국 후 공주 목사(公州牧使)ㆍ전주 부윤(全州府尹)을 지냄.
?~1423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담(湛)@조선 - 장담(張湛)@조선
조선 태조(太祖)~정종(定宗) 때의 무신. 조선 건국에 공이 있어 개국공신(開國功臣)에, 제1차 왕자의 난으로 정사공신(定社功臣)에 책록되었으나, 제2차 왕자의 난 때에는 이방간(李芳幹)을 도운 죄로 파직된 뒤 장형(杖刑)을 받고 죽었음.
?~1400 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담(湛)@고려 - 이담(李湛)@고려
고려 충혜왕(忠惠王) 때의 문신. 기거주(起居注)와 우대언(右代言)을 역임하였으며, 동지공거(同知貢擧)를 맡아 송천봉(宋天鳳) 등을 선발함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교하 , 인명>관인>문신
-
담(湛)@1488 - 이담(李湛)@1488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사천(泗川). 구암(龜巖) 이정(李楨)의 아버지로, 호조 참판(戶曹參判)에 추증됨.
1488~155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사천 , 인명>문사>유학
-
담(湛)@1510 - 이담(李湛)@1510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용인(龍仁). 정미사화(丁未士禍)에 연루되어 양산(梁山)에 부처(付處)되었다가 복직된 후 충청도 관찰사 등을 지냄. 성리학자로서 의약ㆍ천문ㆍ산수ㆍ궁술ㆍ서화에도 능함.
1510~157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담(澹)@하담 - 하담(河澹)
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하강지(河綱地)ㆍ하위지(河緯地)ㆍ하기지(河紀地)ㆍ하소지(河紹地)의 아버지로, 1402년(태종 2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청송 군사(靑松郡事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담(澹) - 신담(申澹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영산 현감(靈山縣監)으로 선정을 베풀어 백성들이 생사당(生祠堂)을 세웠음. 1490년(성종 21)에 김일손(金馹孫)이 생사당기(生祠堂記)를 지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담(聃) - 윤담(尹聃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첨사(僉使) 윤섭(尹涉)의 아들이며, 율곡(栗谷) 이이(李珥)의 생질이자 문인으로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의병을 일으켜 활약하였고, 의금부 도사(義禁府都事)를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황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담(聃)@허담 - 허담(許聃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양천(陽川). 허위(許渭)ㆍ허한(許澣)의 아버지로, 용양위 사용(龍驤衛司勇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천 , 인명>관인>무신
-
담(談)@강담 - 강담(姜談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정황(丁熿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담(談) - 사마담(司馬談)
중국 한(漢) 나라 무제(武帝) 때의 문신ㆍ학자. 사마천(司馬遷)의 아버지로, 태사(太史)를 지냈으며, 유가(儒家)ㆍ묵가(墨家)ㆍ법가(法家) 등 제가(諸家)에 능하여 육가(六家)의 학문 요지를 논한 《논육가요지(論六家要旨)》를 저술함.
?~B.C.110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담(譚) - 김담(金譚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강릉(江陵)으로, 김광복(金光輻)의 아들. 효자로 유명하여 양사언(楊士彦)에 의해 추천되어 포상을 받았고, 그의 효도를 노래한 시가 《봉래시집(蓬萊詩集)》에 남아 있음.
1522~1605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문사>유학
-
담(霮) - 안담(安霮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. 안여지(安汝止)의 동생이며 김용(金涌)의 사돈으로, 구봉령(具鳳齡) 등과 시문(詩文)으로 교유하고, 첨정(僉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풍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담(霮)@최담 - 최담(崔霮)
고려 말~조선 초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집현전 직제학(集賢殿直提學)을 지낸 최덕지(崔德之)의 아버지로, 참의(參議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담^주(聃^周) - 노^장(老^莊)
중국 춘추전국시대 도가(道家)의 대표적인 인물인 노자(老子)와 장주(莊周)를 함께 부르는 말. 유교적 관점에서는 이단(異端)을 뜻하며, 때로는 그들의 저서인 《도덕경(道德經)》과 《장자(莊子)》를 함께 지칭하는 말로도 쓰임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담^팽(聃^彭) - 노^팽(老^彭)
중국 춘추전국시대 도교(道敎)의 창시자인 노자(老子)와 《장자(莊子)》에 등장하는 인물인 팽조(彭祖)를 함께 부르는 말. 도가(道家)의 선인(仙人)을 가리킴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담년(聃年) - 성담년(成聃年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창녕(昌寧)으로, 생육신(生六臣)의 한 사람인 성담수(成聃壽)의 동생. 교리(校理) 등을 지냈으며, 성리학(性理學)에 조예가 깊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담대헌(澹對軒) - 고산서원(高山書院)@장성
전라남도 장성군(長城郡) 진원면(珍原面)에 있는 서원. 조선 고종(高宗) 때 기정진(奇正鎭)이 담대헌(澹對軒)이라는 정사(精舍)를 짓고 강론하던 곳을 후손들이 중건하여 1927년에 고산서원(高山書院)이라 편액함. 기정진(奇正鎭) 등을 배향함.
1927 한국>근대 , 전라도>장성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담덕(談德) - 광개토왕(廣開土王)
고구려 제19대 왕. 재위 391~412. 고국양왕(故國壤王)의 아들로, 고구려 최대의 영토를 확장한 정복 군주. 내정(內政)의 정비에도 노력하여 중앙 관직을 신설하고, 평양에 구사(九寺)를 창건하여 불교를 장려함.
374~413 한국>고구려 , 평안도>평양 , 인명>왕실>국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