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담(談) - 사마담(司馬談)
중국 한(漢) 나라 무제(武帝) 때의 문신ㆍ학자. 사마천(司馬遷)의 아버지로, 태사(太史)를 지냈으며, 유가(儒家)ㆍ묵가(墨家)ㆍ법가(法家) 등 제가(諸家)에 능하여 육가(六家)의 학문 요지를 논한 《논육가요지(論六家要旨)》를 저술함.
?~B.C.110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담(譚) - 김담(金譚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강릉(江陵)으로, 김광복(金光輻)의 아들. 효자로 유명하여 양사언(楊士彦)에 의해 추천되어 포상을 받았고, 그의 효도를 노래한 시가 《봉래시집(蓬萊詩集)》에 남아 있음.
1522~1605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문사>유학
-
담(霮) - 안담(安霮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. 안여지(安汝止)의 동생이며 김용(金涌)의 사돈으로, 구봉령(具鳳齡) 등과 시문(詩文)으로 교유하고, 첨정(僉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풍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담(霮)@최담 - 최담(崔霮)
고려 말~조선 초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집현전 직제학(集賢殿直提學)을 지낸 최덕지(崔德之)의 아버지로, 참의(參議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담^주(聃^周) - 노^장(老^莊)
중국 춘추전국시대 도가(道家)의 대표적인 인물인 노자(老子)와 장주(莊周)를 함께 부르는 말. 유교적 관점에서는 이단(異端)을 뜻하며, 때로는 그들의 저서인 《도덕경(道德經)》과 《장자(莊子)》를 함께 지칭하는 말로도 쓰임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담^팽(聃^彭) - 노^팽(老^彭)
중국 춘추전국시대 도교(道敎)의 창시자인 노자(老子)와 《장자(莊子)》에 등장하는 인물인 팽조(彭祖)를 함께 부르는 말. 도가(道家)의 선인(仙人)을 가리킴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담년(聃年) - 성담년(成聃年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창녕(昌寧)으로, 생육신(生六臣)의 한 사람인 성담수(成聃壽)의 동생. 교리(校理) 등을 지냈으며, 성리학(性理學)에 조예가 깊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담대헌(澹對軒) - 고산서원(高山書院)@장성
전라남도 장성군(長城郡) 진원면(珍原面)에 있는 서원. 조선 고종(高宗) 때 기정진(奇正鎭)이 담대헌(澹對軒)이라는 정사(精舍)를 짓고 강론하던 곳을 후손들이 중건하여 1927년에 고산서원(高山書院)이라 편액함. 기정진(奇正鎭) 등을 배향함.
1927 한국>근대 , 전라도>장성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담덕(談德) - 광개토왕(廣開土王)
고구려 제19대 왕. 재위 391~412. 고국양왕(故國壤王)의 아들로, 고구려 최대의 영토를 확장한 정복 군주. 내정(內政)의 정비에도 노력하여 중앙 관직을 신설하고, 평양에 구사(九寺)를 창건하여 불교를 장려함.
374~413 한국>고구려 , 평안도>평양 , 인명>왕실>국왕
-
담령(耼齡) - 성담령(成耼齡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창녕(昌寧)으로, 단종(端宗) 때의 충신인 성희(成熺)의 아들. 김안국(金安國)ㆍ엄용순(嚴用順) 등과 함께 경기도 이천(利川)의 육괴정(六槐亭)에 모여 시회를 열고 학문을 강론함.
?~152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문사>유학
-
담령(聃齡) - 최담령(崔聃齡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김덕령(金德齡)과 함께 의병을 일으키고 그의 별장(別將)이 되었음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문사>유학
-
담로(湛老) - 김인후(金麟厚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울산(蔚山). 홍문관박사(弘文館博士)ㆍ옥과현감(玉果縣監) 등을 지냈으나 1545년(명종 즉위년) 을사사화(乙巳士禍)가 일어나자 고향으로 낙향하여 학문에 전념함. 이기이원론(理氣二元論)과 경(誠敬)의 실천을 중시하였고, 1796년(정조 20)에 문묘에 배향됨.
1510~1560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성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담로(潭老)@서경덕 - 서경덕(徐敬德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당성(唐城). 독자적인 기철학(氣哲學)의 체계를 완성하여, 이황(李滉)ㆍ이이(李珥) 등의 학자들에 의해서 그 독창성이 높이 평가됨.
1489~1546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문사>학자
-
담로(潭老) - 이이(李珥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덕수(德水). 중앙관서의 청요직(淸要職)을 두루 거치고 국정 전반에 관한 개혁안을 제시하였으나, 동인(東人)과 서인(西人) 간의 갈등 해소 노력이 실패하고 개혁안이 시행되지 않자 파주(坡州)로 낙향함.
1536~158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ㅣ경기도>파주ㅣ강원도>강릉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담로(耼老) - 성담로(成耼老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단종(端宗) 때의 충신 성희(成熺)의 아들로, 충순위(忠順衛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무신
-
담룡(耼龍) - 이담룡(李耼龍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담양(潭陽). 1570년(선조 3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능성 현감(綾城縣監) 등을 지내고, 권문해(權文海) 등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담명(耼命) - 성담명(成耼命)
조선 전기의 유학. 단종(端宗) 때의 충신 성희(成熺)의 아들. 아버지, 형 성담수(成聃壽)와 함께 단종 복위를 꾀하다가 좌절되자 평생 출사하지 않고 절개를 지켰으며, 후에 이조 판서(吏曹判書)에 추증(追贈)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문사>유학
-
담무갈보살(曇無竭菩薩) - 담무갈(曇無竭)
금강산(金剛山)에 머물고 있다는 보살(菩薩). 금강산(金剛山)에서 2천명의 권속(眷屬)을 데리고 살며 금강경(金剛經)을 설법한다는 설화(說話)가 있어 금강산(金剛山) 1만 2천봉이라는 말이 나왔음.
고대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담부(潭府) - 담양(潭陽)
전라남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. 조선시대에는 담양 봉산면(鳳山面)과 무정면(武貞面) 이북 지역에 해당하였음.
전라도>담양 , 지명>행정지명
-
담사(禫祀) - 담제(禫祭)
제사의 일종으로 초상으로부터 26개월 만에 지내는 제사. 아버지가 생존한 모상(母喪)이나 처상(妻喪)일 때에는 초상으로부터 15개월 만에 지냄.
법제>의례>가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