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담령(耼齡) - 성담령(成耼齡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창녕(昌寧)으로, 단종(端宗) 때의 충신인 성희(成熺)의 아들. 김안국(金安國)ㆍ엄용순(嚴用順) 등과 함께 경기도 이천(利川)의 육괴정(六槐亭)에 모여 시회를 열고 학문을 강론함.
?~152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문사>유학
-
담령(聃齡) - 최담령(崔聃齡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김덕령(金德齡)과 함께 의병을 일으키고 그의 별장(別將)이 되었음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문사>유학
-
담로(湛老) - 김인후(金麟厚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울산(蔚山). 홍문관박사(弘文館博士)ㆍ옥과현감(玉果縣監) 등을 지냈으나 1545년(명종 즉위년) 을사사화(乙巳士禍)가 일어나자 고향으로 낙향하여 학문에 전념함. 이기이원론(理氣二元論)과 경(誠敬)의 실천을 중시하였고, 1796년(정조 20)에 문묘에 배향됨.
1510~1560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성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담로(潭老)@서경덕 - 서경덕(徐敬德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당성(唐城). 독자적인 기철학(氣哲學)의 체계를 완성하여, 이황(李滉)ㆍ이이(李珥) 등의 학자들에 의해서 그 독창성이 높이 평가됨.
1489~1546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문사>학자
-
담로(潭老) - 이이(李珥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덕수(德水). 중앙관서의 청요직(淸要職)을 두루 거치고 국정 전반에 관한 개혁안을 제시하였으나, 동인(東人)과 서인(西人) 간의 갈등 해소 노력이 실패하고 개혁안이 시행되지 않자 파주(坡州)로 낙향함.
1536~158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ㅣ경기도>파주ㅣ강원도>강릉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담로(耼老) - 성담로(成耼老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단종(端宗) 때의 충신 성희(成熺)의 아들로, 충순위(忠順衛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무신
-
담룡(耼龍) - 이담룡(李耼龍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담양(潭陽). 1570년(선조 3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능성 현감(綾城縣監) 등을 지내고, 권문해(權文海) 등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담명(耼命) - 성담명(成耼命)
조선 전기의 유학. 단종(端宗) 때의 충신 성희(成熺)의 아들. 아버지, 형 성담수(成聃壽)와 함께 단종 복위를 꾀하다가 좌절되자 평생 출사하지 않고 절개를 지켰으며, 후에 이조 판서(吏曹判書)에 추증(追贈)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문사>유학
-
담무갈보살(曇無竭菩薩) - 담무갈(曇無竭)
금강산(金剛山)에 머물고 있다는 보살(菩薩). 금강산(金剛山)에서 2천명의 권속(眷屬)을 데리고 살며 금강경(金剛經)을 설법한다는 설화(說話)가 있어 금강산(金剛山) 1만 2천봉이라는 말이 나왔음.
고대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담부(潭府) - 담양(潭陽)
전라남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. 조선시대에는 담양 봉산면(鳳山面)과 무정면(武貞面) 이북 지역에 해당하였음.
전라도>담양 , 지명>행정지명
-
담사(禫祀) - 담제(禫祭)
제사의 일종으로 초상으로부터 26개월 만에 지내는 제사. 아버지가 생존한 모상(母喪)이나 처상(妻喪)일 때에는 초상으로부터 15개월 만에 지냄.
법제>의례>가례
-
담살(曇薩) - 담무갈(曇無竭)
금강산(金剛山)에 머물고 있다는 보살(菩薩). 금강산(金剛山)에서 2천명의 권속(眷屬)을 데리고 살며 금강경(金剛經)을 설법한다는 설화(說話)가 있어 금강산(金剛山) 1만 2천봉이라는 말이 나왔음.
고대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담선(聃仙) - 이이(李耳)
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철학자. 도가(道家)의 창시자로, 무위자연설(無爲自然說)을 주창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담성(淡成) - 전약수(錢若水)
중국 송(宋) 나라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공부 시랑(工部侍郞)을 지냈으나 벼슬에 연연하지 않고 은퇴하여 명철보신(明哲保身)함.
960~100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담수(淡叟) - 윤자영(尹子濚)
조선 문종(文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무송(茂松). 진주 목사(晉州牧使) 등을 역임하고, 좌익원종공신(佐翼原從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《세종실록(世宗實錄)》ㆍ《문종실록(文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무장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담수(聃叟) - 이수장(李壽長)@이의손의아들
조선 전기의 종친. 정종(定宗)의 현손이자, 연강수(連江守) 이의손(李義孫)의 아들이며, 안처겸(安處謙)의 장인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담수(聃壽) - 성담수(成聃壽)
조선 문종(文宗)~단종(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생육신(生六臣)의 한 사람. 단종복위운동(端宗復位運動) 때 아버지 성희(成熺)가 귀양갔다가 풀려나 세상을 떠나자, 벼슬을 단념하고 파주(坡州)에 은거하여 평생 단종을 추모하며 절개를 지킴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담수(聃壽)@김담수 - 김담수(金聃壽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의성(義城). 이조 정랑(吏曹正郞) 김정룡(金廷龍)의 아버지. 사마시(司馬試)에 입격했으나 건강으로 과거를 포기하고 경전공부에 정진함. 저서로 《서계일고(西溪逸稿)》가 있음.
1535~160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문사>학자
-
담수(聃壽)@윤담수 - 윤담수(尹聃壽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평(海平). 윤두수(尹斗壽)의 형이며, 서경덕(徐敬德)의 문인(門人)으로, 승사랑(承仕郞)을 역임하였으며,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(扈聖功臣)에 책록됨.
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담신(澹臣) - 전약수(錢若水)
중국 송(宋) 나라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공부 시랑(工部侍郞)을 지냈으나 벼슬에 연연하지 않고 은퇴하여 명철보신(明哲保身)함.
960~100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