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난서(欒書)
중국 춘추전국시대 진(晉) 나라의 대부. 경공(景公)과 여공(厲公) 때 활동하였으며, 후에 순언(荀偃)과 함께 여공을 시해하고 도공(悼公)을 세움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난성(欒成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진(晉) 나라 대부. 예에 밝은 사람, 충신으로 시문(詩文)에 많이 인용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난성응소집(欒城應詔集)
중국 송(宋) 나라 문신ㆍ학자인 소철(蘇轍)의 문집. 12권. 논책(論策)과 응시(應試)할 때의 저작(著作)을 모은 것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난성집(欒城集)
중국 송(宋) 나라 문신ㆍ학자인 소철(蘇轍)의 문집. 50권. 소철이 상서좌승(尙書左丞)에 있을 때 엮은 것으로 원우(元祐:1086~1094)년간 이전의 저작을 모음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난왕(赧王)
중국 주(周) 나라의 마지막 왕. 재위 B.C.314~B.C.256. 이름은 희연(姬延)으로, 신정왕(慎靚王)의 아들. 날로 강성해지는 진(秦) 나라를 견제하고자 무리한 정벌을 감행했다가 결국 멸망에 이름.
?~B.C.256 중국>주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난정(蘭亭)
중국 절강성(浙江省) 소흥(紹興)의 난저산(蘭渚山) 위에 있는 정자 이름. 동진(東晉) 때 이곳에서 열린 연회를 배경으로 지은 왕희지(王羲之)의 〈난정집서(蘭亭集序)〉가 유명함.
중국 , 유적>건물>누정
-
난정서(蘭亭序)
중국 동진(東晉)의 서예가 왕희지(王羲之)가 쓴 산문. 사안(謝安) 등이 회계산(會稽山) 난정(蘭亭)에서 제사를 올리고 시를 지어 문집을 만들었는데, 여기에 왕희지(王羲之)가 서문(序文)을 씀. 그 글씨는 천하 제일의 행서(行書)로 평가됨.
353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난형난제(難兄難弟)
형노릇 하기도 어렵고 동생노릇 하기도 어렵다는 뜻. 《세설신어(世說新語)》에 나오는 중국 한(漢) 나라 진식(陳寔)의 두 아들 진기(陳紀)와 진심(陳諶)의 고사에서 유래한 것으로, 양자가 모두 훌륭할 때를 비유함.
중국>후한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남가일몽(南柯一夢)
중국 당(唐) 나라 순우분(淳于棼)이 나무 아래에서 잠이 들었는데, 꿈 속에 괴안국(槐安國)에 가서 온갖 부귀영화를 누리다가 깨었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로, 인생의 속절없음을 의미함.
중국>당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남간갑을고(南澗甲乙稿)
중국 송(宋) 나라 학자인 한원길(韓元吉)의 문집. 시(詩)7권ㆍ사(詞)1권ㆍ문(文)14권 총22권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남강(南江)
경상도 남부를 흐르는 낙동강(洛東江)의 지류. 하류 지역에는 진주평야를 비롯하여 의령ㆍ가야 등지에 충적 평야가 펼쳐져 있음.
경상도>함안ㅣ경상도>진주ㅣ경상도>의령 , 지명>자연지명
-
남강서원(南岡書院)
조선 숙종(肅宗) 때 경상도 대구(大丘)에 건립한 서원. 우졸재(迂拙齋) 박한주(朴漢柱)ㆍ국담(菊潭) 박수춘(朴壽春) 등이 배향됨.
169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대구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남강원(南江院)
경상남도 합천(陜川)에 속했던 역원(驛院). 남강(南江)의 북쪽 언덕에 있었음.
경상도>합천 , 유적>건물>관사
-
남격(南格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의령(宜寧). 동강(東岡) 남언경(南彦經)의 아들. 조식(曺植)과 서경덕(徐敬德)의 문인(門人)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문사>유학
-
남겸(南謙)
고려시대의 문신. 본관은 의령(宜寧). 남재(南在)의 선조로, 위위 주부(衛尉注簿)를 지냄.
한국>고려시대 , 경상도>의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남경(南景)
조선 전기의 유학. 금계(錦溪) 황준량(黃俊良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남경(南暻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의령(宜寧). 영동 현감(永同縣監)을 지낸 남응정(南應井)의 서자(庶子). 주부(主簿) 권헌(權憲)의 딸과 결혼함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문사>유학
-
남경문(南景文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의령(宜寧). 태종(太宗)의 딸 정선공주(貞善公主)와 혼인한 남휘(南暉)의 아버지로, 병조 의랑(兵曹議郞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남경우(南景祐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특별한 재능이 없으면서 관품이 높아 평판이 좋지 않았음. 봉조하(奉朝賀)로 치사(致仕)함.
?~146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남경창(南慶昌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의령(宜寧)으로, 유학 남초(南怊)의 아들. 1564년(명종 19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였고, 옥봉(玉峯) 백광훈(白光勳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연산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