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당(讜) - 최당(崔讜)
고려 명종(明宗)~희종(熙宗) 때의 문신. 최선(崔詵)ㆍ장자목(張自牧) 등과 함께 기로회(耆老會)를 조직하여 시주(詩酒)로써 소일하므로 당시에 지상선(地上仙)으로 불림.
1135~1211 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철원 , 인명>관인>문신
-
당(鏜) - 권당(權鏜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안동(安東). 한산 군수(韓山郡守)를 지낸 권세호(權世豪)의 아들이며 양구 현감(楊口縣監)을 지낸 권응시(權應時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당(𧭢) - 이당(李𧭢)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다섯 번째 서자인 밀성군(密城君) 이침(李琛)의 셋째 아들.
?~1510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당감공(唐鑑公) - 범조우(范祖禹)
중국 송(宋) 신종(神宗) 때의 문신ㆍ역사가. 사마광(司馬光)과 함께 《자치통감(資治通鑑)》을 기술하고, 당(唐) 나라의 역사 비평서인 《당감(唐鑑)》을 저술함.
1041~1098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당개원례(唐開元禮) - 대당개원례(大唐開元禮)
중국 당(唐) 나라의 예제(禮制)를 규정한 책. 150권. 현종(玄宗)의 개원(開元) 연간에 소숭(蕭嵩) 등이 황제의 명을 받아, 태종(太宗) 때의 《정관례(貞觀禮)》와 고종(高宗) 때의 《현경례(顯慶禮)》를 절충하여 당대의 오례(五禮) 제도를 완비시킴.
712 중국>당 , 중국 , 문헌>서명
-
당계(唐系) - 신당계(辛唐系)
고려 말의 문신. 본관은 영월(寧越)로, 전법 판서(典法判書)를 지냄. 조선 중종(中宗) 때의 효자 신달정(辛達廷)의 6대조.
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영월 , 인명>관인>문신
-
당고(唐高) - 요(堯)
중국 전설상의 성천자(聖天子) 요(堯) 임금. 순(舜)과 아울러 '요순(堯舜)의 치(治)'라 하여, 예로부터 중국에서는 가장 이상적인 천자상(天子像)으로 알려짐.
고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당고(黨錮) - 당고지화(黨錮之禍)
중국 후한의 환제(桓帝)~영제(靈帝) 때 환관들의 무고로 이응(李膺)ㆍ진번(陳蕃) 등의 학자와 수많은 태학생(太學生)들을 금고(禁錮)에 처하여 벼슬길을 막아 버린 사건. 이후 환관이 실권을 장악함.
166~167 중국>후한 , 중국 , 사건>사화
-
당곡(唐谷) - 정희보(鄭希輔)
조선 성종(成宗)~명종(明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진양(晉陽). 사화(士禍)로 인해 나라가 어지러워지자 은거하며 평생 학문연구에 힘씀. 문하에서 강익(姜翼) 등 여러 명사들이 배출되었으며, 함양(咸陽)의 당주서원(溏洲書院)에 배향됨.
1488~154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문사>학자
-
당곡노인(唐谷老人) - 정희보(鄭希輔)
조선 성종(成宗)~명종(明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진양(晉陽). 사화(士禍)로 인해 나라가 어지러워지자 은거하며 평생 학문연구에 힘씀. 문하에서 강익(姜翼) 등 여러 명사들이 배출되었으며, 함양(咸陽)의 당주서원(溏洲書院)에 배향됨.
1488~154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문사>학자
-
당곶(唐串) - 부포(釜浦)
경기도 남양(南陽)에 있는 포구. 포구의 입구는 좁으나 안은 넓어 마치 나무 뿌리가 몇 갈래로 나뉜 것과 같은 형상을 하였다 하여 은수포(銀樹浦)라고도 불림. 남양홍씨(南陽洪氏)의 세거지.
경기도>남양 , 지명>자연지명
-
당동(堂洞) - 신당동(新堂洞)
서울 중구에 있는 고을 이름. 광희문(光熙門) 밖에 있는 신당(神堂)을 중심으로 무당촌을 이루었으므로 신당(神堂)이라 부르다가 갑오개혁(甲午改革) 때 발음이 같은 신당(新堂)으로 고침.
서울 , 지명>자연지명
-
당명황(唐明皇) - 현종(玄宗)
중국 당(唐) 나라 제6대 황제. 재위 712~756. 예종(睿宗)의 셋째 아들로, 즉위 초에는 정사를 바로잡아 국내외의 부강과 안정을 다졌으나, 말년에는 양귀비(楊貴妃)와 향락에 빠져 안사(安史)의 난(亂)을 초래함.
685~762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당목(唐穆) - 목종(穆宗)@당
중국 당(唐) 나라 제12대 황제. 재위 821~824. 헌종(憲宗)의 셋째 아들. 재임 중에 연회와 외유를 일삼아 우이당쟁(牛李黨爭)이 일어나고, 번진(藩鎭)의 반란과 토번(吐藩)과의 무리한 대결로 인해 국고가 탕진되자 결국 자살함.
795~824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당무종(唐武宗) - 무종(武宗)@당
중국 당(唐) 나라의 제15대 황제. 재위 840~846. 목종(穆宗)의 다섯째 아들이며 문종(文宗)의 동생. 도교(道敎)를 신봉해 불교ㆍ경교(景敎)ㆍ마니교(摩尼敎) 등을 탄압함.
814~846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당문(唐文)@영흥 - 영흥(永興)@지명
함경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 북쪽으로 정평(定平), 남쪽으로 고원(高原)ㆍ문천(文川)과 접해 있으며, 동쪽은 동해의 영흥만에 면해 있음. 조선 태조(太祖)가 태어난 선원전(璿源殿)이 있음.
함경도>영흥 , 지명>행정지명
-
당문(唐文) - 문종(文宗)@당
중국 당(唐) 나라의 제14대 황제. 재위 826~840. 형인 경종(敬宗)을 죽인 환관(宦官)들에 의해 옹립된 후 환관들의 횡포에 군권(君權)을 농단(壟斷)당함.
809~840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당문(堂文) - 영흥(永興)@지명
함경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 북쪽으로 정평(定平), 남쪽으로 고원(高原)ㆍ문천(文川)과 접해 있으며, 동쪽은 동해의 영흥만에 면해 있음. 조선 태조(太祖)가 태어난 선원전(璿源殿)이 있음.
함경도>영흥 , 지명>행정지명
-
당문부수(唐文副守) - 이준(李準)@조선전기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증손인 결기수(結己守) 이현(李玄)의 맏아들이며, 삼휴자(三休子) 윤관(尹寬)의 문인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당문수(唐文守) - 이준(李準)@조선전기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증손인 결기수(結己守) 이현(李玄)의 맏아들이며, 삼휴자(三休子) 윤관(尹寬)의 문인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