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당문황(唐文皇) - 태종(太宗)@당
중국 당(唐) 나라 제2대 황제. 재위 626~649. 고조(高祖)의 아들이며, 당 나라의 실질적인 창건자로, 돌궐족(突厥族)을 몰아내고 중국을 통일하였으며, ‘정관(貞觀)의 치(治)’로 일컬어지는 성세(盛世)를 이루어 후세 제왕의 모범이 됨.
598~649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당백호(唐白虎) - 당인(唐寅)
중국 명(明) 나라 효종(孝宗)~무종(武宗) 때의 화가ㆍ문인. 주신(周臣)의 제자로, 남종화(南宗畵)와 북종화(北宗畵)를 융합하여 이후 오파(吳派)의 문인화풍(文人畵風)에 영향을 주고, 문장에도 뛰어나 《당인집(唐寅集)》을 남김.
1470~1523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문사>문인
-
당병자(戇病子) - 김안로(金安老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문정왕후(文定王后)의 폐위를 도모하다 사사(賜死)되었으며, 허항(許沆)ㆍ채무택(蔡無擇)과 함께 정유상흉(丁酉三凶)으로 일컬어짐.
1481~1537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풍덕ㅣ경기도>교하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당보(戇父) - 유반(劉攽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국자감 직강(國子監直講)을 지내고, 《자치통감(資治通鑑)》의 전ㆍ후한(前後漢) 부분을 기술함.
1023~1089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당사(唐寺) - 연복사(演福寺)
경기도 개성(開城)에 있었던 사찰. 공민왕(恭愍王)ㆍ공양왕(恭讓王) 등 여러 왕들이 여러 차례 거둥할 정도의 대찰이었으나 조선의 양란(兩亂)을 거치면서 폐허가 됨. 고려 후기의 승려인 진공(軫公) 등이 주지를 지냄.
한국>고려시대 , 경기도>개성 , 유적>건물>사찰
-
당산군(唐山君) - 홍징(洪徵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삼중대광 첨의상의 삼사좌사(三重大匡僉議商議三司左使) 홍주(洪澍)의 아들로, 판밀직사사(判密直司事) 등을 지냄. 우왕(禑王) 때 왜구(倭寇) 방어에 공을 세웠으나, 처남 염흥방(廉興邦)이 처형될 때 연좌되어 죽임을 당함.
?~1388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당상(唐相) - 방현령(房玄齡)
중국 당(唐) 나라 태종(太宗) 때의 재상. 정관(貞觀)의 치세(治世)를 이끈 핵심 인물로, 두여회(杜如晦)를 천거함.
578~648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당생(唐生) - 풍환(馮驩)
중국 춘추전국시대 제(齊) 나라의 인물. 재상인 맹상군(孟嘗君)의 식객(食客)으로 있으면서 맹상군의 안위를 위한 충언(忠言)을 아끼지 않음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당서(唐書) - 신당서(新唐書)
중국 송(宋) 나라의 구양수(歐陽修)와 송기(宋祁) 등이 편찬한 당(唐) 나라의 정사(正史). 당 나라의 건국부터 멸망까지의 사실(史實) 기록으로, 《구당서(舊唐書)》에 빠진 것과 틀린 것을 바로잡아 펴냄. 225권.
1060 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당석죽(唐石竹) - 석죽화(石竹花)
패랭이꽃. 바위에서 자란 대나무 꽃이란 의미로, 어떤 장사(壯士)가 석령(石靈)을 물리치기 위해 바위에 쏜 화살이 이 꽃으로 피어났다는 전설이 있음. 6~8월에 진분홍색 꽃이 가지 끝에 하나씩 피고 열매는 삭과(蒴果)를 맺음. 《동문선(東文選)》에 실린 정습명(鄭襲明)의 시가 유명함.
자연물>식물
-
당선(唐仙) - 당고(唐皐)
조선 중종(中宗) 때 명(明) 나라에서 온 사신(使臣). 1521년(중종 16) 명 나라의 신황제등극반조정사(新皇帝登極頒詔正使)로 다녀감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당선(唐宣) - 선종(宣宗)@당
중국 당(唐) 나라 제16대 황제. 재위 846~859. 제11대 헌종(憲宗)의 열네 번째 아들로, 환관 마원지(馬元贄) 등에 의해 황태숙(皇太叔)으로 옹립된 후 즉위하였으며, 토번(吐藩)에 빼앗겼던 영토를 회복하는 등 ‘작은 태종(小太宗)’으로 일컬어짐.
810~859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당성(唐城) - 홍려(洪礪)
조선 중종(中宗)의 부마(駙馬). 본관은 남양(南陽). 중종의 두 번째 서녀(庶女)인 혜정옹주(惠靜翁主)와 혼인하였으나, 복성군(福城君)의 옥사(獄事) 때 죽음을 당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왕실>인척
-
당성(唐城)@남양 - 남양(南陽)
경기도 수원(水原)과 화성(華城) 일대의 옛 고을 이름. 조선 전기에 경기수군절도사영(京畿水軍節度使營)이 화량진(花梁鎭)에 설치되어 경기도 해안 방어의 중심지 역할을 함.
경기도>남양 , 지명>행정지명
-
당성공(唐城公) - 홍려(洪礪)
조선 중종(中宗)의 부마(駙馬). 본관은 남양(南陽). 중종의 두 번째 서녀(庶女)인 혜정옹주(惠靜翁主)와 혼인하였으나, 복성군(福城君)의 옥사(獄事) 때 죽음을 당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왕실>인척
-
당성군(唐城君)@홍의룡 - 홍의룡(洪義龍)
고려 후기의 문신. 죽은 딸의 명복을 빌기 위해 여주(驪州) 신륵사(神勒寺)에 보현보살상(普賢菩薩像)을 조성함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당성군(唐城君)@홍징 - 홍징(洪徵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삼중대광 첨의상의 삼사좌사(三重大匡僉議商議三司左使) 홍주(洪澍)의 아들로, 판밀직사사(判密直司事) 등을 지냄. 우왕(禑王) 때 왜구(倭寇) 방어에 공을 세웠으나, 처남 염흥방(廉興邦)이 처형될 때 연좌되어 죽임을 당함.
?~1388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당성군(唐城君) - 홍빈(洪彬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참소로 인해 충숙왕과 충혜왕(忠惠王)이 원(元) 나라에 압송되었을 때 그 억울함을 변호하여 귀국 후 공신(功臣)에 책록되고, 우정승(右政丞) 등을 지냄.
1288~1353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당성백(唐城伯) - 홍천하(洪天河)
중국 당(唐) 나라 태종(太宗)이 고구려에 파견한 8학사(八學士)의 한 사람으로 고구려에 귀화한 인물. 남양홍씨(南陽洪氏) 당홍계(唐洪系)의 시조. 고구려 영류왕(榮留王) 때 유학을 가르치고, 신라 선덕여왕(善德女王) 때 당성백(唐城伯)에 봉해짐.
한국>통일신라ㅣ한국>고구려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기타인명>귀화인ㅣ인명>문사>학자
-
당성부원군(唐城府院君)@홍원철 - 홍원철(洪元哲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공민왕이 연저(燕邸)에 있을 때 수종한 공과 홍건적(紅巾賊)의 침입 때 왕과 태후를 모시고 남행(南行)한 공으로 인해 공신(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찬성사(贊成事) 등을 역임함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