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당선(唐宣) - 선종(宣宗)@당
중국 당(唐) 나라 제16대 황제. 재위 846~859. 제11대 헌종(憲宗)의 열네 번째 아들로, 환관 마원지(馬元贄) 등에 의해 황태숙(皇太叔)으로 옹립된 후 즉위하였으며, 토번(吐藩)에 빼앗겼던 영토를 회복하는 등 ‘작은 태종(小太宗)’으로 일컬어짐.
810~859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당성(唐城) - 홍려(洪礪)
조선 중종(中宗)의 부마(駙馬). 본관은 남양(南陽). 중종의 두 번째 서녀(庶女)인 혜정옹주(惠靜翁主)와 혼인하였으나, 복성군(福城君)의 옥사(獄事) 때 죽음을 당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왕실>인척
-
당성(唐城)@남양 - 남양(南陽)
경기도 수원(水原)과 화성(華城) 일대의 옛 고을 이름. 조선 전기에 경기수군절도사영(京畿水軍節度使營)이 화량진(花梁鎭)에 설치되어 경기도 해안 방어의 중심지 역할을 함.
경기도>남양 , 지명>행정지명
-
당성공(唐城公) - 홍려(洪礪)
조선 중종(中宗)의 부마(駙馬). 본관은 남양(南陽). 중종의 두 번째 서녀(庶女)인 혜정옹주(惠靜翁主)와 혼인하였으나, 복성군(福城君)의 옥사(獄事) 때 죽음을 당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왕실>인척
-
당성군(唐城君)@홍의룡 - 홍의룡(洪義龍)
고려 후기의 문신. 죽은 딸의 명복을 빌기 위해 여주(驪州) 신륵사(神勒寺)에 보현보살상(普賢菩薩像)을 조성함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당성군(唐城君)@홍징 - 홍징(洪徵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삼중대광 첨의상의 삼사좌사(三重大匡僉議商議三司左使) 홍주(洪澍)의 아들로, 판밀직사사(判密直司事) 등을 지냄. 우왕(禑王) 때 왜구(倭寇) 방어에 공을 세웠으나, 처남 염흥방(廉興邦)이 처형될 때 연좌되어 죽임을 당함.
?~1388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당성군(唐城君) - 홍빈(洪彬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참소로 인해 충숙왕과 충혜왕(忠惠王)이 원(元) 나라에 압송되었을 때 그 억울함을 변호하여 귀국 후 공신(功臣)에 책록되고, 우정승(右政丞) 등을 지냄.
1288~1353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당성백(唐城伯) - 홍천하(洪天河)
중국 당(唐) 나라 태종(太宗)이 고구려에 파견한 8학사(八學士)의 한 사람으로 고구려에 귀화한 인물. 남양홍씨(南陽洪氏) 당홍계(唐洪系)의 시조. 고구려 영류왕(榮留王) 때 유학을 가르치고, 신라 선덕여왕(善德女王) 때 당성백(唐城伯)에 봉해짐.
한국>통일신라ㅣ한국>고구려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기타인명>귀화인ㅣ인명>문사>학자
-
당성부원군(唐城府院君)@홍원철 - 홍원철(洪元哲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공민왕이 연저(燕邸)에 있을 때 수종한 공과 홍건적(紅巾賊)의 침입 때 왕과 태후를 모시고 남행(南行)한 공으로 인해 공신(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찬성사(贊成事) 등을 역임함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당성부원군(唐城府院君) - 홍빈(洪彬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참소로 인해 충숙왕과 충혜왕(忠惠王)이 원(元) 나라에 압송되었을 때 그 억울함을 변호하여 귀국 후 공신(功臣)에 책록되고, 우정승(右政丞) 등을 지냄.
1288~1353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당성위(唐城尉) - 홍려(洪礪)
조선 중종(中宗)의 부마(駙馬). 본관은 남양(南陽). 중종의 두 번째 서녀(庶女)인 혜정옹주(惠靜翁主)와 혼인하였으나, 복성군(福城君)의 옥사(獄事) 때 죽음을 당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왕실>인척
-
당성홍씨(唐城洪氏) - 남양홍씨(南陽洪氏)
중국 당(唐) 나라의 태학사(太學士)로 고구려(高句麗) 때 귀화한 홍천하(洪天河)를 시조로 하는 당홍(唐洪) 집안과, 고려 고종(高宗) 때의 금오위 별장(金吾衛別將) 홍선행(洪先幸)을 시조로 하는 토홍(土洪) 집안을 아울러 일컫는 성씨.
한국>고구려 , 경기도>남양 , 인명>집단>성씨
-
당소(唐昭) - 소종(昭宗)@당
중국 당(唐) 나라 제19대 황제. 재위 888~904. 재임 중 번진(蕃鎭)의 세력다툼과 잦은 농민봉기로 인해 실권을 잃고 결국에는 시해됨.
867~904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당송(唐頌) - 대당중흥송(大唐中興頌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 원결(元結)이 안녹산(安祿山)의 난(亂)이 진압된 뒤 숙종(肅宗)의 공덕(功德)을 송축하며 지은 글. 호남성(湖南省) 기양(祁陽)의 오계(浯溪) 암벽 위에 새겨져 있음.
761 중국>당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당송천가연주시격(唐宋千家聯珠詩格) - 연주시격(聯珠詩格)
중국 원(元) 나라의 학자인 우제(于濟)의 저서를 채정손(蔡正孫)이 증보하고 시에 평석(評釋)을 단 책. 실제적인 작시법(作詩法)을 제시함. 20권.
1300 중국>원 , 중국 , 문헌>서명
-
당송팔가(唐宋八家) - 당송팔대가(唐宋八大家)
중국 당(唐) 나라의 한유(韓愈)ㆍ유종원(柳宗元), 송(宋) 나라의 구양수(歐陽脩)ㆍ소순(蘇洵)ㆍ소식(蘇軾)ㆍ소철(蘇轍)ㆍ증공(曾鞏)ㆍ왕안석(王安石) 등 질박(質朴)한 선진(先秦)ㆍ양한(兩漢)의 고문(古文)을 지향한 8명의 산문작가의 총칭.
중국>송ㅣ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집단>기타집단
-
당악군(唐岳君) - 양포(楊浦)
고려 고종(高宗) 때의 정승. 중화양씨(中和楊氏)의 시조. 삼별초(三別抄)의 난을 토평할 때 공을 세운 양동무(楊東茂)의 아버지.
한국>고려후기 , 평안도>중화 , 인명>관인>문신
-
당양공주(唐陽公主) - 명숙공주(明淑公主)
조선 제9대 성종(成宗)의 누이. 덕종(德宗)과 소혜왕후(昭惠王后)의 딸로, 좌의정 홍응(洪應)의 아들인 홍상(洪常)과 혼인함.
1456~1482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공주
-
당양군(唐陽君) - 홍상(洪常)
조선 추존왕인 덕종(德宗)의 부마(駙馬). 본관은 남양(南陽). 좌의정 홍응(洪應)의 아들로, 덕종의 딸 명숙공주(明淑公主)와 혼인하였으며,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(中宗反正)으로 풀려난 뒤 정국원종공신(靖國原從功臣)에 책록됨.
1457~151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왕실>인척
-
당양부원군(唐陽府院君) - 홍인우(洪仁祐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남양(南陽)으로, 홍덕연(洪德演)의 맏아들. 서경덕(徐敬德)ㆍ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《심경(心經)》ㆍ《근사록(近思錄)》ㆍ《중용(中庸)》ㆍ《대학(大學)》에 전심하고, 성리학(性理學)에 조예가 깊음.
1515~155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