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당은(唐恩) - 이인령(李引齡)
조선 후기의 종친. 선조(宣祖)의 맏형인 하원군(河源君) 이정(李鋥)의 맏아들로, 판서(判書) 박계현(朴啓賢)의 딸과 혼인함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당은군(唐恩君)@이휘 - 이휘(李徽)@이충작의아버지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. 임영대군(臨瀛大君) 이구(李璆)의 증손이며 충청도 관찰사(忠淸道觀察使) 이충작(李忠綽)의 아버지로, 당은군(唐恩君)에 추봉됨.
1495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당은군(唐恩君) - 이인령(李引齡)
조선 후기의 종친. 선조(宣祖)의 맏형인 하원군(河源君) 이정(李鋥)의 맏아들로, 판서(判書) 박계현(朴啓賢)의 딸과 혼인함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당은도정(唐恩都正) - 이인령(李引齡)
조선 후기의 종친. 선조(宣祖)의 맏형인 하원군(河源君) 이정(李鋥)의 맏아들로, 판서(判書) 박계현(朴啓賢)의 딸과 혼인함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당은부수(唐恩副守) - 이휘(李徽)@이충작의아버지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. 임영대군(臨瀛大君) 이구(李璆)의 증손이며 충청도 관찰사(忠淸道觀察使) 이충작(李忠綽)의 아버지로, 당은군(唐恩君)에 추봉됨.
1495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당자(唐咨) - 이당자(李唐咨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문인(門人)으로, 석홍경(石洪慶)ㆍ임이간(林易簡) 등과 함께 월단평(月旦評)으로 추중을 받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당자(唐子) - 당경(唐庚)
중국 송(宋) 나라 철종(哲宗)~휘종(徽宗) 때의 문신ㆍ시인. 시문(時文)에 능하여 당시 ‘소동파(小東坡)’로 불렸으며, 저서로 《당자서문록(唐子西文錄)》 등이 있음.
1071~112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당자외(唐子畏) - 당인(唐寅)
중국 명(明) 나라 효종(孝宗)~무종(武宗) 때의 화가ㆍ문인. 주신(周臣)의 제자로, 남종화(南宗畵)와 북종화(北宗畵)를 융합하여 이후 오파(吳派)의 문인화풍(文人畵風)에 영향을 주고, 문장에도 뛰어나 《당인집(唐寅集)》을 남김.
1470~1523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문사>문인
-
당재(唐齋) - 이정면(李廷冕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호조 참의(戶曹參議) 이민각(李民覺)의 아들로, 병조 정랑(兵曹正郞) 등을 지냄.
1556~?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당적보(黨籍補) - 기묘당적보(己卯黨籍補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인인 안로(安璐)가 기묘사화(己卯士禍)에 관련된 인물 및 사건을 기록한 저서. 후에 이정형(李廷馨)이 〈황토기사(黃兎記事)〉를 정리할 때 저본이 됨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당제(唐帝)@헌종 - 헌종(憲宗)@당
중국 당(唐) 나라 제11대 황제. 재위 805~820. 병든 아버지 순종(順宗)을 시해하고 환관 구문진(俱文珍) 등에 의해 옹립되어 즉위하였으며, 강력한 통치력으로 국내외의 안정을 구축하였으나, 후사(後嗣) 다툼으로 인해 환관 진홍지(陳弘志) 등에게 암살됨.
778~820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당제(唐帝) - 덕종(德宗)@당
중국 당(唐) 나라의 제9대 황제. 재위 779~805. 대종(代宗)의 장자로 조용조제(租庸調制)를 폐지하고 양세법(兩稅法)을 시행하여 재정충실을 꾀함.
742~805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당조(唐祖) - 고조(高祖)@당
중국 당(唐) 나라 제1대 황제. 재위 618~626.
565~635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당조무씨(唐瞾武氏) - 측천무후(則天武后)
중국 당(唐) 나라 고종(高宗)의 황후ㆍ황제. 재위 684~705. 병약한 고종의 황후가 되어 실질적으로 나라를 통치하고, 고종 사후에 국호를 ‘주(周)’로 변경한 뒤 황제가 되어 각종 사회개혁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나, 지나친 탄압과 추문으로 비난받기도 함.
625~705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왕비ㅣ인명>왕실>국왕
-
당종(唐宗)@헌종 - 헌종(憲宗)@당
중국 당(唐) 나라 제11대 황제. 재위 805~820. 병든 아버지 순종(順宗)을 시해하고 환관 구문진(俱文珍) 등에 의해 옹립되어 즉위하였으며, 강력한 통치력으로 국내외의 안정을 구축하였으나, 후사(後嗣) 다툼으로 인해 환관 진홍지(陳弘志) 등에게 암살됨.
778~820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당종(唐宗)@태종 - 태종(太宗)@당
중국 당(唐) 나라 제2대 황제. 재위 626~649. 고조(高祖)의 아들이며, 당 나라의 실질적인 창건자로, 돌궐족(突厥族)을 몰아내고 중국을 통일하였으며, ‘정관(貞觀)의 치(治)’로 일컬어지는 성세(盛世)를 이루어 후세 제왕의 모범이 됨.
598~649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당종(唐宗)@덕종 - 덕종(德宗)@당
중국 당(唐) 나라의 제9대 황제. 재위 779~805. 대종(代宗)의 장자로 조용조제(租庸調制)를 폐지하고 양세법(兩稅法)을 시행하여 재정충실을 꾀함.
742~805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당종(唐宗)@현종 - 현종(玄宗)
중국 당(唐) 나라 제6대 황제. 재위 712~756. 예종(睿宗)의 셋째 아들로, 즉위 초에는 정사를 바로잡아 국내외의 부강과 안정을 다졌으나, 말년에는 양귀비(楊貴妃)와 향락에 빠져 안사(安史)의 난(亂)을 초래함.
685~762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당종(唐宗) - 경종(敬宗)
중국 당(唐) 나라 제13대 황제. 재위 824~826.
809~826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당주(唐主)@민제 - 민제(閔帝)
중국 오대십국(五代十國) 후당(後唐)의 제3대 왕. 재위 933~934. 후당 명종(明宗)의 뒤를 이어 왕이 되었지만 1년 만에 사망함.
?~934 중국>오대십국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