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대(岱) - 심대(沈岱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송(靑松)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선조(宣祖)를 호종하여 의주로 수행하였으며, 경기도 관찰사(京畿道觀察使)가 되어 남하하다가 삭녕(朔寧)에서 왜적의 기습을 받아 전사함.
1546~159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청송 , 인명>관인>문신
-
대(薱) - 이대(李薱)
조선 전기의 종친ㆍ문신. 태종(太宗)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(孝寧大君)의 현손이며 여양군(呂陽君) 이자겸(李子謙)의 아들로, 용강 현령(龍岡縣令)ㆍ돈녕부 주부(敦寧府主簿) 등을 지냄.
1488~154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종친
-
대가(待價)@조지종 - 조지종(趙之琮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홍주(洪州). 중종(中宗) 때의 유학인 조숭령(趙崇齡)의 아버지로, 순천 교수(順天敎授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태인 , 인명>관인>문신
-
대가(待價) - 김선(金瑄)
조선 세조(世祖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창(咸昌). 전주 부윤(全州府尹)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창 , 인명>관인>문신
-
대가(待可) - 서기(徐起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이천(利川). 제자백가(諸子百家)와 기술이론에 통달하였으며, 이지함(李之菡)을 사사하고 함께 각지를 유랑하며 민속과 학문을 연구하였음. 이소재(履素齋) 이중호(李仲虎)의 문인.
1523~1591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홍주ㅣ충청도>공주 , 인명>문사>학자
-
대가(待賈) - 김양전(金良琠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光州). 초계 군수(草溪郡守)로 있던 1488년(성종 19) 진주(晉州) 촉석루(矗石樓)에서 조위(曺偉)ㆍ김일손(金馹孫) 등과 금란계(金蘭契)를 맺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대각(大覺) - 의천(義天)@고려
고려 문종(文宗)~숙종(肅宗) 때의 승려. 문종의 넷째 아들로 태어나 출가함. 송(宋) 나라에서 유학하고 돌아와 해동 천태종(海東天台宗)을 개창함. 흥왕사(興王寺)의 주지가 되어 교장도감(敎藏都監)을 세웠으며, 《교장(敎藏)》 등을 간행함.
1055~1101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종교인>승려ㅣ인명>왕실>왕자
-
대각국사(大覺國師) - 의천(義天)@고려
고려 문종(文宗)~숙종(肅宗) 때의 승려. 문종의 넷째 아들로 태어나 출가함. 송(宋) 나라에서 유학하고 돌아와 해동 천태종(海東天台宗)을 개창함. 흥왕사(興王寺)의 주지가 되어 교장도감(敎藏都監)을 세웠으며, 《교장(敎藏)》 등을 간행함.
1055~1101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종교인>승려ㅣ인명>왕실>왕자
-
대각사(大覺祠) - 대각서원(大覺書院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 경상도 진주(晉州)에 건립한 서원. 하항(河沆)ㆍ손천우(孫天佑)ㆍ김대명(金大鳴)ㆍ하응도(河應圖)ㆍ이수(李壽)ㆍ유종지(柳宗智)ㆍ하수일(河受一)을 배향함. 1869년(고종 6)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복원됨.
161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대각원사(大覺院祠) - 대각서원(大覺書院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 경상도 진주(晉州)에 건립한 서원. 하항(河沆)ㆍ손천우(孫天佑)ㆍ김대명(金大鳴)ㆍ하응도(河應圖)ㆍ이수(李壽)ㆍ유종지(柳宗智)ㆍ하수일(河受一)을 배향함. 1869년(고종 6)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복원됨.
161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대감(大鑑) - 혜능(慧能)@당
중국 당(唐) 나라의 승려. 선종(禪宗)의 제6조(第六祖). 신수(神秀)와 함께 홍인(弘忍) 문하의 이대선사(二大禪師)로, 후에 북종선(北宗禪)은 신수의 점수설(漸修說)을, 남종선(南宗禪)은 혜능의 돈오설(頓悟說)을 계승함.
638~713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대감선사(大鑑禪師) - 혜능(慧能)@당
중국 당(唐) 나라의 승려. 선종(禪宗)의 제6조(第六祖). 신수(神秀)와 함께 홍인(弘忍) 문하의 이대선사(二大禪師)로, 후에 북종선(北宗禪)은 신수의 점수설(漸修說)을, 남종선(南宗禪)은 혜능의 돈오설(頓悟說)을 계승함.
638~713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대강(大江)@박천강 - 박천강(博川江)
평안도 천마산(天馬山)에서 발원하여 청천강(淸川江)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. 청천강의 가장 큰 지류로, 사행로이자 유람지임.
평안도>태천ㅣ평안도>박천 , 지명>자연지명
-
대강(大江)@황하 - 황하(黃河)
중국 청해성(青海省) 파안(巴顏) 객라산(喀喇山)에서 발원하여 감숙성(甘肅省)ㆍ섬서성(陝西省)ㆍ하남성(河南省)ㆍ산동성(山東省) 등을 거쳐 발해만(渤海灣)으로 흘러 들어가는 강. 중국에서 두 번째로 긴 강으로, 고대 문명의 발상지로 유명함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대강(大江) - 대동강(大同江)
평안남도 낭림산맥(狼林山脈) 서쪽에서 발원, 남서류(南西流)하여 서해(西海)로 흘러드는 강 이름.
평안도>평양 , 지명>자연지명
-
대건(大建) - 이대건(李大建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경주(慶州). 형조 판서(刑曹判書)를 지낸 이시발(李時發)의 아버지로, 1573년(선조 6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하였으나 27세로 요절함.
1550~157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대경(代京) - 운주(雲州)
중국 산서성(山西省) 대동시(大同市)의 옛 이름. 서한(西漢) 때 처음 설치되고 북위(北魏) 때의 도읍지이며, 오대(五代) 때에는 연운십육주(燕雲十六州)에 포함되어 요(遼) 나라에 할양됨. 예로부터 전략적 요충지로 유명함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대경(大卿) - 강윤성(康允成)
고려 충혜왕(忠惠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곡산(谷山). 상산백(象山伯) 강서(康庶)의 아들로, 이부 시랑(吏部侍郞)ㆍ판삼사사(判三司事)를 지냄. 조선 태조의 계비(繼妃) 신덕왕후(神德王后)의 아버지.
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곡산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대경(大經) - 나대경(羅大經)
중국 송(宋) 나라 이종(理宗) 때의 학자. 문학비평서(文學批評書)인 《학림옥로(鶴林玉露)》를 저술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대경(帶京) - 남원(南原)
전라북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. 호남과 영남을 잇는 교통의 요지임.
전라도>남원 , 지명>행정지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