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대경(臺卿) - 김대경(金臺卿)
고려 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벼슬이 대제학에 이르렀으며, 문장(文章)이 뛰어나 《동문선(東文選)》에 시(詩)가 실림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대경거사(大慶居士) - 정협(鄭俠)
중국 송(宋) 나라 영종(英宗)~휘종(徽宗) 때의 문신. 가뭄이 들어 유민(流民)들이 도로에 가득하게 되자, 이 참상(慘狀)을 유민도(流民圖)에 그려 올림으로써 신종(神宗)으로 하여금 왕안석(王安石)의 신법(新法)을 혁파하고 유민을 구제하게 함.
1041~1119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대계(臺溪) - 하호(何鎬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제자로, 강변(講辨)에 정밀하였으며, 저서에 《담주선화령(潭州善化令)》이 있음.
1128~1175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대고개산성(大高介山城) - 대현산성(大峴山城)
고구려 광개토왕(廣開土王) 때 황해도 서흥군(瑞興郡) 고성리(古城里)에 쌓은 산성 이름. 현재의 성벽은 1597년(선조 30)에 수축한 것이며, 군사 요충지인 서흥 지방의 방어에 중심적 구실을 하였음.
한국>고구려 , 황해도>서흥 , 유적>시설>성,진,책
-
대곡(大谷)@문익명 - 문익명(文益明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남평(南平). 생원(生員) 문옹(文翁)의 아들이며, 옥동(玉洞) 문익성(文益成)의 형. 남명(南冥) 조식(曺植)의 문인으로, 1558년(명종 13) 생진 양시(生進兩試)에 입격함.
1521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대곡(大谷) - 성운(成運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창녕(昌寧). 형인 성우(成遇)가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화를 당하자 속리산(俗離山)에 은거함. 시문(詩文)에 뛰어나고, 서경덕(徐敬德)ㆍ조식(曺植)ㆍ이지함(李之菡) 등과 교유하며 학문에 정진함.
1497~1579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보은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
-
대곡길융(大谷吉隆) - 대곡길계(大谷吉繼)
일본 도산시대(桃山時代)의 장군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서울 점령 소식을 들은 풍신수길(豊臣秀吉)이 그곳 병력이 적은 것을 염려해 파견한 소위 '삼봉행(三奉行)' 중의 한 사람.
1559~1600 일본>도산시대 , 일본 , 인명>관인>무신
-
대곡선생집(大谷先生集) - 대곡집(大谷集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인 성운(成運)의 문집. 1596년(선조 29) 문인이자 처질(妻姪)인 김가기(金可幾)가 시집(詩集)을 수집하여 간행하려 하였으나 이루지 못하고, 1603년(선조 36) 아들 김덕민(金德民)이 충청도 관찰사 유근(柳根)의 협조로 3권 1책으로 간행함.
1603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대공(代公) - 곽진(郭震)
중국 당(唐) 고종(高宗)~현종(玄宗) 때의 문신ㆍ문인. 16세에 설직(薛稷)과 함께 태학생이 되었고, 통천위(通泉尉)를 거쳐 병부 상서(兵部尙書) 등을 지냄. 시문에 뛰어났음.
656~713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대공(戴公) - 소백(召伯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경대부. 선공(宣公) 때 왕손소(王孫蘇)와 권력을 다투다가 그의 사주를 받은 왕자첩(王子捷)에게 죽임을 당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대공영탑(大空靈塔) - 혜소(慧昭)
신라 말의 승려. 선승(禪僧)이며 범패승(梵唄僧)으로, 당(唐) 나라 신감대사(神鑒大師)의 제자. 소림사(小林寺)에서 구족계(具足戒)를 받고, 도의(道義)와 함께 편력하다가 흥덕왕(興德王) 때 귀국함. 불교 음악인 범패를 도입하여 널리 보급하고 조직화함.
774~850 한국>통일신라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대과(大科) - 문과(文科)
조선시대에 문관(文官)을 선발하기 위해 실시한 과거. 3년에 한 번씩 실시한 식년시(式年試)는 초시(初試)ㆍ복시(覆試)ㆍ전시(殿試)의 3단계를 거쳐 33명을 급제자로 선발하고, 이 외에 증광시(增廣試)ㆍ별시(別試)ㆍ정시(庭試)ㆍ알성시(謁聖試)ㆍ춘당대시(春塘大試) 등의 비정규시가 있음.
한국>조선시대 , 법제>제도
-
대관(大觀)@김기 - 김기(金圻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광산(光山)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임진왜란 때 의병활동을 했으며, 도산서원(陶山書院)의 산장(山長)으로 《퇴계집(退溪集)》을 간행함.
1547~160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
-
대관(大觀)@박정 - 박정(朴炡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반남(潘南). 좌참찬(左參贊) 박동선(朴東善)의 아들로, 인조반정에 참가하여 정사공신(靖社功臣)이 되고, 이조 참판(吏曹參判)ㆍ홍문관 부제학(弘文館副提學) 등을 지냄.
1596~1632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대관(大觀)@심의 - 심의(沈義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豊山). 풍산군(豊山君) 심응(沈膺)의 아들이고, 좌의정을 지낸 심정(沈貞)의 동생. 서경덕(徐敬德)ㆍ성세창(成世昌) 등과 깊이 교유함.
1475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대관(大觀) - 박공달(朴公達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병조 좌랑(兵曹佐郞) 등을 지냈으며,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사림(士林)에 화가 미치자 벼슬에서 물러나 삼가(三可) 박수량(朴遂良)과 함께 경학강의를 하며 여생을 보냄.
1470~?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문신
-
대관(臺官) - 사헌부(司憲府)
고려 및 조선시대에 정치에 대한 언론 활동, 풍속의 교정, 백관(百官)에 대한 규찰과 탄핵, 서경(署經) 등을 담당한 관청.
한국>조선시대ㅣ한국>고려시대 , 법제>관청
-
대관재(大觀齋) - 심의(沈義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豊山). 풍산군(豊山君) 심응(沈膺)의 아들이고, 좌의정을 지낸 심정(沈貞)의 동생. 서경덕(徐敬德)ㆍ성세창(成世昌) 등과 깊이 교유함.
1475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대광산(大匡山) - 광산(匡山)
중국 사천성(四川省)에 있는 산 이름. 이백(李白)이 이곳에서 머리가 희어지도록 글을 읽었다고 함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대괴(大槐) - 괴안국(槐安國)
남가일몽(南柯一夢)의 고사(故事)에서 순우분(淳于棼)이 꿈 속에 다녀왔다는 가상(假想)의 나라 이름.
기타지역 , 지명>기타지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