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대기(大器)@김대기 - 김대기(金大器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광산(光山). 정철(鄭澈)의 문인으로 정홍명(鄭弘明) 형제 및 조홍립(曺弘立) 등과 교유함.
1557~1628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담양 , 인명>문사>학자
-
대기(大期) - 이대기(李大期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조식(曺植)의 문인으로, 임진왜란 때 전치원(全致遠) 등과 정인홍(鄭仁弘)의 휘하에서 공을 세웠으며, 청풍 군수(淸風郡守)ㆍ형조 정랑(刑曹正郞) 등을 지냄. 초계(草溪)의 청계서원(淸溪書院)에 배향됨.
1551~1628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초계 , 인명>관인>문신
-
대기(戴記) - 예기(禮記)
예(禮)의 이론과 실제를 풀이한 유교 경전. 전한(前漢) 무제(武帝) 때 유덕(劉德)이 공자와 그 후학들이 지은 131편의 책을 모아 정리한 뒤, 유향(劉向)이 214편으로 엮고, 대덕(戴德)이 85편으로, 대성(戴聖)이 49편으로 간추림. 대성이 편찬한 《소대례(小戴禮)》가 현존하는 《예기(禮記)》임.
중국>전한 , 중국 , 문헌>서명
-
대길상사(大吉祥寺) - 송광사(松廣寺)
전라남도 순천(順天)의 조계산(曹溪山)에 있는 사찰. 신라 말 체징(體澄)이 길상사(吉祥寺)를 창건한 것에서 비롯되었으며, 해인사(海印寺)ㆍ통도사(通度寺)와 함께 우리나라 삼보사찰(三寶寺刹) 가운데 승보사찰(僧寶寺刹)로 유명함.
한국>통일신라 , 전라도>순천 , 유적>건물>사찰
-
대남(對南) - 왕가병(王家屛)
중국 명(明) 나라 목종(穆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. 성격이 곧고 충성스러워 직간(直諫)을 잘하였으며, 신종 때 재상을 지냄.
1536~1604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대낭혜(大朗慧) - 무염(無染)
통일신라 헌덕왕(憲德王)~진성여왕(眞聖女王) 때의 승려. 중국에 유학하여 마곡 보철(麻谷寶徹)에게 남종선(南宗禪)을 인가받고, 847년(문성왕 7) 귀국하여 공주(公州) 성주사(聖住寺)에 머물며 성주산문(聖住山門)을 열고 교화함.
801~888 한국>통일신라 , 충청도>공주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대내개의륭(大內介義隆) - 대내의륭(大內義隆)
일본 전국시대(戰國時代)의 무장. 서부(西部) 제일의 영주로 막강한 세력가였으나 가신(家臣)인 도정현(陶睛賢)의 배신으로 죽음.
1507~1551 일본>전국시대 , 일본 , 인명>관인>무신
-
대내전의륭(大內殿義隆) - 대내의륭(大內義隆)
일본 전국시대(戰國時代)의 무장. 서부(西部) 제일의 영주로 막강한 세력가였으나 가신(家臣)인 도정현(陶睛賢)의 배신으로 죽음.
1507~1551 일본>전국시대 , 일본 , 인명>관인>무신
-
대년(大年)@정대년 - 정대년(鄭大年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래(東萊)로, 예문관 검열(藝文館檢閱) 정전(鄭荃)의 아들. 1532년(중종 27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, 황해도 관찰사(黃海道觀察使)ㆍ한성부 판윤(漢城府判尹) 등을 지냄.
1503~157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대년(大年)@마대년 - 마대년(馬大年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유안세(劉安世)의 제자로, 영성 주부(永城主簿)를 지냄. 혹설에는 대년이 자(字)이고, 영경이 이름이라고도 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대년(大年)@사대년 - 사대년(謝大年)
중국 명(明) 나라의 효자. 고려 말의 문신인 도은(陶隱) 이숭인(李崇仁)이 사대년이 양친(養親)을 생각하며 지은 '망운시(望雲詩)'를 소재로 하여 시를 짓기도 함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효자
-
대년(大年) - 김언로(金彦老)
조선 전기의 유학. 김세필(金世弼)의 《십청집(十淸集)》에 〈제김대년언로애경당(題金大年彦老愛敬堂)〉 2수가 전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대년(大年)@양억 - 양억(楊億)
중국 송(宋) 나라 태종(太宗)~진종(眞宗) 때의 학자ㆍ문신. 왕흠약(王欽若)과 함께 《책부원귀(冊符元龜)》를 저술하고, 불서(佛書)인 《전등록(傳燈錄)》을 교간(校刊)함.
973~102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대년(大年)@임춘 - 임춘(林椿)
고려 의종(毅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인. 예천임씨(醴泉林氏)의 시조. 무신정변(武臣政變) 때 온 집안이 화를 당해 시와 술로 세월을 보냄. 강좌칠현(江左七賢)의 한 사람으로 시문에 뛰어남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예천 , 인명>문사>문인
-
대년(大年)@정억 - 정억(鄭億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찰방(察訪)을 지낸 정윤석(鄭崙石)의 아들로, 수운판관(水運判官) 등을 지냄.
1487~154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대년(大年)@이수령 - 이수령(李壽苓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보(眞寶). 송재(松齋) 이우(李堣)의 아들로, 찰방(察訪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보 , 인명>관인>문신
-
대년(大年)@박대년 - 박대년(朴大年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천(順天). 판서를 지낸 박중림(朴仲林)의 아들로, 여러 형제들과 함께 단종(端宗) 복위운동을 하다가 대역죄로 처형됨.
?~145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대년(大年)@나무춘 - 나무춘(羅茂春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인목대비(仁穆大妃)의 폐출소(廢黜疏)를 올린 이위경(李偉卿)을 탄핵하다 관직을 삭탈당함.
1580~1619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대년(大年)@이억재 - 이억재(李億載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로, 청기군(靑杞君) 이표(李彪)의 아들이며 이원익(李元翼)의 아버지. 문학을 좋아하고 오성(五聲)과 율려(律呂)에 능통함.
1503~158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대당(大唐) - 남당(南唐)
중국 오대십국(五代十國) 때 이변(李昪)이 오국(吳國)의 예제(睿帝)를 몰아내고 금릉(金陵)에 세운 나라. 3대 38년 만에 송(宋) 나라에게 멸망됨.
937~975 중국>오대십국 , 중국 , 시간>국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