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대량(大梁) - 위(魏)@춘추전국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의 제후국(諸侯國). 전국칠웅(戰國七雄)의 하나로, 지금의 산서성(山西省)을 중심으로 존속하였으며, 8왕 178년 만에 진(秦) 나라에 멸망됨.
B.C.403~B.C.225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시간>국명
-
대량원군(大良院君) - 현종(顯宗)@고려
고려 제8대 왕. 재위 1010~1031. 태조(太祖)의 여덟째 아들인 안종(安宗) 왕욱(王郁)의 아들로, 어머니는 헌정왕후(獻貞王后). 헌애왕후(獻哀王后)의 견제를 받다가 강조(康兆)의 옹립으로 즉위하였으며, 거란(契丹)과 우호를 다지고 문화 발전을 꾀함.
992~1031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대량주(大良州) - 합천(陜川)
경상남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. 조선시대의 합천군(陜川郡)ㆍ초계군(草溪郡)ㆍ삼가현(三嘉縣)의 3개 군현이 합해져 이루어졌으며, 해인사(海印寺)ㆍ영암사지(靈巖寺址) 등의 주요 사적이 있음.
경상도>합천 , 지명>행정지명
-
대련(大連) - 이사종(李嗣宗)@이오의아들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이오(李晤)의 아들로, 김안국(金安國)과 교유하였으며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대령(大寧) - 해주(海州)
황해도 남서쪽에 위치한 고을 이름. 예로부터 중국과의 교통 요충지의 하나임.
황해도>해주 , 지명>행정지명
-
대령(大嶺) - 대관령(大關嶺)
강원도 강릉(江陵)과 평창(平昌)의 경계에 있는 고개 이름. 영동(嶺東)과 영서(嶺西)를 잇는 관문 역할을 함.
강원도>평창ㅣ강원도>강릉 , 지명>자연지명
-
대령(大齡) - 이대령(李大齡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성주(星州). 이성익(李星益)의 아들로, 권상하(權尙夏)에게 아버지의 저술을 보내 산정(刪定)을 부탁함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대령강(大寧江) - 박천강(博川江)
평안도 천마산(天馬山)에서 발원하여 청천강(淸川江)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. 청천강의 가장 큰 지류로, 사행로이자 유람지임.
평안도>태천ㅣ평안도>박천 , 지명>자연지명
-
대령후(大寧侯) - 왕경(王暻)
고려 제17대 인종(仁宗)의 아들. 의종(毅宗)의 아우로, 1148년(의종 2) 대령후(大寧侯)로 책봉되었으나, 1157년(의종 11) 천안부(天安府)로 유배됨.
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왕자
-
대로(大老) - 이위빈(李渭濱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성혼(成渾)ㆍ이순(李純)ㆍ김경삼(金景參) 등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대로(大老) - 김상헌(金尙憲)
조선 선조(宣祖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안동(安東). 서인 청서파(淸西派)의 영수이며, 병자호란(丙子胡亂) 때는 끝까지 주전론(主戰論)을 주장함. 효종이 즉위해 북벌을 추진할 때 그 이념적 상징으로 ‘대로(大老)’라고 존경을 받음.
1570~165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ㅣ경기도>양주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대로(戴老) - 대규(戴逵)
중국 남북조시대 동진(東晉)의 화가ㆍ학자. 인품이 고상하여 당대의 명사인 사안(謝安)ㆍ사현(謝玄)ㆍ왕순(王珣)ㆍ왕휘지(王徽之) 등에게 존경을 받음.
?~396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문사>학자
-
대록(大麓) - 목천(木川)
충청도 천안(天安) 지역에 있던 옛 고을 이름. 지형적 특색으로 백제시대에는 북방의 군사요지로 쓰였고, 고려의 태조(太祖) 왕건(王建)은 이곳이 오룡쟁주형(五龍爭珠形)이므로 천하를 통일시킬 수 있는 곳이라 하여 중요하게 여김.
충청도>목천 , 지명>행정지명
-
대론(大論) - 대지도론(大智度論)
인도의 승려ㆍ학자인 용수(龍樹)가 저술한 《대품반야경(大品般若經)》의 주석서. 대승불교(大乘佛敎)의 백과사전적 저작으로, 용수의 산스크리트 원전(原典)은 없고, 구마라습(鳩摩羅什)이 번역한 한역본(漢譯本) 100권만이 전함.
기타지역 , 문헌>서명
-
대루(大鞻) - 대호(大濩)
중국 은(殷) 나라의 제왕인 탕왕(湯王)이 이윤(伊尹)에게 명해서 지었다는 음악 이름. 탕왕이 천하를 구제한 후 만민(萬民)을 편안하게 하기 위해 불렀다고 함.
중국>은 , 중국 , 기타>가무
-
대림(大臨)@반대림 - 반대림(潘大臨)
중국 송(宋) 나라 때의 시인. 황정견(黃庭堅)을 종(宗)으로 삼는 강서시파(江西詩派)에 속한 시인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대림(大臨)@조대림 - 조대림(趙大臨)
조선 제3대 태종(太宗)의 사위. 영의정부사(領議政府事) 조준(趙浚)의 아들로, 태종의 둘째 딸 경정공주(慶貞公主)와 결혼함. 여러 차례 중국사신을 영접했으며 사은사(謝恩使)로 명(明) 나라에 다녀옴.
1387~1430 한국>조선전기 , 평안도>평양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대림(大臨)@여대림 - 여대림(呂大臨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철종(哲宗) 때 태학박사(太学博士)를 지냄. 육경(六經)에 통달하고, 특히 예기(禮記)에 밝음.
1040~1092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대림(大臨)@강륜 - 강륜(康崙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신천(信川). 절충장군(折衝將軍) 강희철(康希哲)의 아들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명종 때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1517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대림(大臨) - 강응태(姜應台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밀양도호부사(密陽都護府使) 등을 지내고, 효행이 지극하였으며, 임천서원(臨川書院)에 배향됨.
1495~155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