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대방군왕백제왕(帶方郡王百濟王) - 무왕(武王)@백제
백제 제30대 왕. 재위 600~641. 법왕(法王)의 아들이며, 의자왕(義慈王)의 아버지. 즉위 후 신라를 자주 공격하는 한편 고구려의 남진(南進)을 견제하였으며, 정복전쟁을 통하여 왕권을 강화하고, 대규모 토목공사를 일으킴.
?~641 한국>백제 , 충청도>부여 , 인명>왕실>국왕
-
대방윤씨(帶方尹氏) - 남원윤씨(南原尹氏)
고려 신종(神宗) 때 남원(南原)의 적을 토평하고 남원군(南原君)에 봉해진 윤위(尹威)를 시조로 하는 성씨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집단>성씨
-
대백(大伯) - 권은(權殷)
조선 전기의 유학. 김안국(金安國)의 문인(門人)으로, 《모재집(慕齋集》에 박감(朴敢)ㆍ박수춘(朴壽椿) 등의 동문과 함께 김안국으로부터 받은 자(字)와 자설(字說)이 수록되어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대보(大寶) - 안공신(安公信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. 안영(安瑛)의 아들로 부정(副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대보덕수성사(大報德壽聖寺) - 유점사(楡岾寺)
강원도 고성(高城)의 금강산(金剛山)에 있는 사찰. 신라 남해왕(南解王) 때 세워졌으며, 조선 고종(高宗) 때 소실되었다가 중건됨. 금강산 4대 명찰(名刹)의 하나.
4 한국>신라 , 강원도>고성 , 유적>건물>사찰
-
대복(大復) - 하경명(何景明)
중국 명(明) 나라 효종(孝宗)~무종(武宗)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. 중서사인(中書舍人) 등을 지냈으며, 고문사(古文辭)라고 하는 문학운동을 제창함. 전칠자(前七子) 중 한 사람.
1483~1521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대복(大復)@기대복 - 기대복(奇大復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행주(幸州). 사헌부 지평(司憲府持平) 기형(奇逈)의 아들이며, 충청 감사(忠淸監司) 기령(奇笭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문사>유학
-
대본산(大本山) - 금오산(金烏山)
경상북도 구미(龜尾)ㆍ칠곡(漆谷)ㆍ김천(金泉)의 경계에 있는 산 이름. 단풍의 명소로 일명 금강(金剛)이라 불리며 예로부터 경북팔경(慶北八景)의 하나로 꼽힘.
경상도>선산ㅣ경상도>개령 , 지명>자연지명
-
대봉(大峯) - 양희지(楊熙止)
조선 세조(世祖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중화(中和). 문장에 뛰어나고 재주가 있었으나 임사홍(任士洪)ㆍ유자광(柳子光)ㆍ노공필(盧公弼) 등과 친하여 그 출처(出處)에 비난을 받기도 함.
1439~150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울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대봉선생문집(大峯先生文集) - 대봉집(大峰集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인 양희지(楊熙止)의 문집. 10대손 양락(楊濼)이 1787년(정조 11)에 4권 2책으로 간행함.
1787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대부(大夫) - 대사헌(大司憲)
고려~조선시대 사헌부(司憲府)의 장관. 정사(政事)를 논하고 백관(百官)을 감찰하여 기강을 진작하는 등의 업무를 맡았으며, 집의(執義)ㆍ장령(掌令)ㆍ지평(持平)ㆍ감찰(監察) 등의 관원을 감독하고 통솔함.
한국>조선시대ㅣ한국>고려시대 , 법제>관직
-
대부(大孚)@심대부 - 심대부(沈大孚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송(靑松). 심대(沈岱)의 아들이며, 정구(鄭逑)의 문인. 후에 효종이 된 봉림대군(鳳林大君)의 사부(師傅)를 지냈으며, 내직과 외직을 두루 역임함.
1586~1657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대부(大孚) - 안공신(安公信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. 안영(安瑛)의 아들로 부정(副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대부(大父) - 호(虎)
호랑이. 민속(民俗)에서 잡귀(雜鬼)를 물리치고 효(孝)와 보은(報恩)의 동물로 묘사되는 등 신수(神獸)로 일컬어짐.
자연물>동물
-
대부종(大夫種) - 문종(文種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월왕(越王) 구천(句踐)의 대부(大夫). 구천(句踐)을 도와 오(吳) 나라를 평정함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극념재(剋念齋) - 김광운(金光運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담양 부사(潭陽府使)를 지낸 김경헌(金景憲)의 아들로, 율곡(栗谷) 이이(李珥)의 문인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창의사(倡義使) 김천일(金千鎰)을 따라 강화도(江華島)에 이르러 전공(戰功)을 세우고 군중(軍中)에서 죽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문사>유학
-
극뉴(克忸) - 김극뉴(金克忸)
조선 세조(世祖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좌의정(左議政) 김국광(金國光)의 아들로, 사간원 대사간(司諫院大司諫)을 지냄.
1436~1496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연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극돈(克墩) - 이극돈(李克墩)
조선 세조(世祖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이인손(李仁孫)의 아들로, 성종(成宗) 때 좌리공신(佐理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훈구파(勳舊派)의 거물로서 무오사화(戊午士禍)를 일으켜 사림파(士林派)의 많은 학자들을 제거함.
1435~150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극량(克良) - 유극량(劉克良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연안 유씨(延安劉氏)의 시조. 노비 신분이었으나 홍섬(洪暹)의 배려로 면천(免賤)하고 무과(武科)에 급제하였으며, 임진왜란 때 방어사(防禦使) 신할(申硈)의 부장(副將)이 되어 임진강(臨津江)을 방어하다가 전사함.
?~1592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무신
-
극련(克鍊) - 김극련(金克鍊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유학. 본관은 선산(善山). 영흥 부사(永興府使)를 지낸 성암(省菴) 김효원(金孝元)의 둘째 아들로, 부친의 문집인 《성암유고(省菴遺稿)》를 편찬함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