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극변(克辨) - 안극변(安克辨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형조 참판(刑曹參判) 안윤손(安潤孫)의 아버지로, 용안 현감(龍安縣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극부(克夫) - 서인원(徐仁元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이천(利川). 진주 목사(晉州牧使) 서예원(徐禮元)의 형으로, 학행(學行)이 빼어나고 강원도 관찰사(江原道觀察使) 등을 지냄.
1544~?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춘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극상(克相) - 안극상(安克相)
통일신라시대 거문고의 명인. 아버지인 안장(安長)으로부터 거문고 연주를 전수받아 동생 안극종(安克宗)과 이름을 떨침.
한국>통일신라 , 인명>예술인>음악인
-
극선(克先) - 이도(李棹)
고려 태조(太祖) 때의 문신ㆍ개국공신. 전의이씨(全義李氏)의 시조. 태조가 견훤(甄萱)을 정벌하기 위해 남하(南下)했을 때 홍수로 범람한 금강(錦江)의 도강책(渡江策)을 주도한 공로로 공신에 책록되고 전산후(全山侯)에 봉해짐.
한국>고려전기 , 충청도>전의ㅣ충청도>공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극선(克善) - 소극선(蘇克善)
조선 전기의 유학. 우봉 현령(牛峯縣令) 민계량(閔季良)의 맏사위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극성(克成) - 김극성(金克成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문인. 집현전 학사(集賢殿學士) 김맹권(金孟權)의 아들. 세 번이나 예조 판서(禮曹判書)를 지낼 만큼 학문에 뛰어났으며, 김안로(金安老)의 실각 이후 우의정(右議政)에 오름.
1474~1540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보령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극성(克成)@신극성 - 신극성(愼克成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연산군의 비(妃) 신씨(愼氏)의 일족. 상주 목사(尙州牧使) 등을 역임했으나 가렴주구를 일삼아, 의성 현령(義城縣令) 이장길(李長吉), 선산 부사(善山府使) 남경(南憬)과 함께 삼맹호(三猛虎)로 일컬어짐.
1458~153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거창 , 인명>관인>문신
-
극성(克誠) - 강극성(姜克誠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좌찬성 강희맹(姜希孟)의 현손(玄孫). 군자감 정(軍資監正)ㆍ제용감 정(濟用監正) 등을 지냄.
1526~157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극성(克誠)@안극성 - 안극성(安克誠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순흥(順興)으로, 군기시 판관(軍器寺判官)을 지낸 안한(安翰)의 아들. 1568년(선조 1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1541~?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충주 , 인명>문사>유학
-
극세(克世) - 성덕구(成德求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문신ㆍ효자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성긍주(成肯柱)의 아버지로,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 등을 지냄. 효성이 지극하여 나라로부터 정문(旌門)의 표창을 받음.
1721~176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기타인명>효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극순(克純) - 문극순(文克純)
고려 의종(毅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평(南平). 문공유(文公裕)의 아들이며, 문극겸(文克謙)의 아우. 의종 때 내사인(內舍人)이 되었다가 환관 정함(鄭諴)의 일로 인해 파직되고, 명종 때 내급사(內給事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남평 , 인명>관인>문신
-
극승(克升) - 주공천(朱公遷)
중국 원(元) 나라의 학자ㆍ문신. 경전백가(經傳百家)와 예악율력(禮樂律曆) 등 다방면에 정통하였고, 건주 학정(虔州學正)을 지냄. 저서에 《사서통지(四書通旨)》와 《사서약설(四書約說)》이 있음.
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극신(克愼) - 노극신(盧克愼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형 노수신(盧守愼)이 양재역 벽서사건(良才驛壁書事件)으로 진도(珍島)에 유배되었을 때 그도 금고처분(禁錮處分)을 당했으나 명종 말에 풀려나 돈녕부 첨정(敦寧府僉正)을 지냄.
1524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극신(克新) - 윤극신(尹克新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원(南原). 서천 군수(舒川郡守) 윤엽(尹曄)의 아버지로, 1576년(선조 9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임천 군수(林川郡守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문신
-
극신(克新)@유극신 - 유극신(柳克新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문화(文化). 이항(李恒)의 문인인 유몽학(柳夢鶴)의 아들.
1556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극암(克庵)@정순 - 정순(程洵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문인으로, 저서에는 《존덕성재집(尊德性齋集)》이 있음. 주희(朱熹)의 진외가(眞外家) 육촌동생.
1135~1196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극암(克庵) - 이창신(李昌臣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한어(漢語)ㆍ이문(吏文)에 매우 능하였고, 호조 참판(戶曹參判) 등을 역임하였으며,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섬으로 유배됨.
1449~?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관인>문신
-
극양(克讓) - 예겸(倪謙)
중국 명(明) 나라 영종(英宗)~헌종(憲宗) 때의 문신. 1450년(조선 세종 32) 경제(景帝)의 등극을 알리러 조선에 온 사신으로 예부 상서(禮部尙書)를 지내고, 저서로 《조선기사(朝鮮紀事)》를 남김.
1415~1479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극열(克說) - 이용(李墉)
조선 전기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. 성종(成宗)의 아들인 회산군(檜山君) 이염(李恬)의 증손이며, 의성부정(義城副正) 이강(李鋼)의 셋째 아들.
1578~?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극영(克榮) - 이극영(李克榮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여흥(驪興). 통례원 봉례(通禮院奉禮)를 지낸 이난(李蘭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