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극례(克禮)@권극례 - 권극례(權克禮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종묘서 영(宗廟署令)을 지낸 권덕유(權德裕)의 아들로 성균관 사성(成均館司成)으로 있을 때에 《명종실록(明宗實錄)》의 편수에 참여하였고 대사성(大司成)과 대사헌(大司憲) 등을 역임함.
1531~159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극례(克禮)@심극례 - 심극례(沈克禮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豊山). 성종(成宗) 때의 문신인 심견(沈肩)의 넷째 아들로, 고양 군수(高陽郡守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극례(克禮)@신극례 - 신극례(辛克禮)
조선 태조(太祖)~태종(太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영산(靈山). 제1차 왕자의 난 때 상장군으로 공을 세워 좌명공신(佐命功臣)에 녹훈되고 취산군(鷲山君)에 봉해짐.
?~140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극례(克禮) - 이인복(李仁復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성주(星州). 백이정(白頤正)의 문인으로, 공민왕 때 조일신(趙日新)의 난을 토평하는 데 공을 세우고, 단성좌리공신(端誠佐理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검교시중(檢校侍中) 등을 지냄.
1308~1374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극명(克明) - 두여회(杜如晦)
중국 당(唐) 나라의 재상. 문학관(文學館) 18학사의 한 사람으로, 방현령(房玄齡)에게 그 재능을 인정받음. 태종(太宗) 즉위 후 태자좌서자(太子左庶子)ㆍ병부 상서(兵部尙書)ㆍ상서우복야(尙書右僕射) 등의 요직을 맡은 명신(名臣)임.
585~630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극명(克明)@이극명 - 이극명(李克明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함평(咸平). 함성군(咸城君) 이종생(李從生)의 아버지로, 호분위 호군(虎賁衛護軍)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함평 , 인명>관인>무신
-
극문(克文) - 이극문(李克文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평양(平壤). 성균관 대사성(成均館大司成)을 지낸 이희보(李希輔)의 아버지로, 사옹원 봉사(司饔院奉事) 등을 지냄.
?~1528 한국>조선전기 , 평안도>평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극민(克敏) - 윤극민(尹克敏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첨의중찬(僉議中贊)을 지낸 허공(許珙)의 장인으로, 정당문학(政堂文學)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극배(克培) - 이극배(李克培)
조선 세종(世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이인손(李仁孫)의 아들로, 세조(世祖)와 성종(成宗)의 즉위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(佐翼功臣) 및 좌리공신(佐理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우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임명되자 노병으로 사양함.
1422~1495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극변(克辨) - 안극변(安克辨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형조 참판(刑曹參判) 안윤손(安潤孫)의 아버지로, 용안 현감(龍安縣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극부(克夫) - 서인원(徐仁元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이천(利川). 진주 목사(晉州牧使) 서예원(徐禮元)의 형으로, 학행(學行)이 빼어나고 강원도 관찰사(江原道觀察使) 등을 지냄.
1544~?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춘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극상(克相) - 안극상(安克相)
통일신라시대 거문고의 명인. 아버지인 안장(安長)으로부터 거문고 연주를 전수받아 동생 안극종(安克宗)과 이름을 떨침.
한국>통일신라 , 인명>예술인>음악인
-
극선(克先) - 이도(李棹)
고려 태조(太祖) 때의 문신ㆍ개국공신. 전의이씨(全義李氏)의 시조. 태조가 견훤(甄萱)을 정벌하기 위해 남하(南下)했을 때 홍수로 범람한 금강(錦江)의 도강책(渡江策)을 주도한 공로로 공신에 책록되고 전산후(全山侯)에 봉해짐.
한국>고려전기 , 충청도>전의ㅣ충청도>공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극선(克善) - 소극선(蘇克善)
조선 전기의 유학. 우봉 현령(牛峯縣令) 민계량(閔季良)의 맏사위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극성(克成) - 김극성(金克成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문인. 집현전 학사(集賢殿學士) 김맹권(金孟權)의 아들. 세 번이나 예조 판서(禮曹判書)를 지낼 만큼 학문에 뛰어났으며, 김안로(金安老)의 실각 이후 우의정(右議政)에 오름.
1474~1540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보령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극성(克成)@신극성 - 신극성(愼克成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연산군의 비(妃) 신씨(愼氏)의 일족. 상주 목사(尙州牧使) 등을 역임했으나 가렴주구를 일삼아, 의성 현령(義城縣令) 이장길(李長吉), 선산 부사(善山府使) 남경(南憬)과 함께 삼맹호(三猛虎)로 일컬어짐.
1458~153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거창 , 인명>관인>문신
-
극성(克誠) - 강극성(姜克誠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좌찬성 강희맹(姜希孟)의 현손(玄孫). 군자감 정(軍資監正)ㆍ제용감 정(濟用監正) 등을 지냄.
1526~157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극성(克誠)@안극성 - 안극성(安克誠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순흥(順興)으로, 군기시 판관(軍器寺判官)을 지낸 안한(安翰)의 아들. 1568년(선조 1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1541~?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충주 , 인명>문사>유학
-
극세(克世) - 성덕구(成德求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문신ㆍ효자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성긍주(成肯柱)의 아버지로,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 등을 지냄. 효성이 지극하여 나라로부터 정문(旌門)의 표창을 받음.
1721~176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기타인명>효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극순(克純) - 문극순(文克純)
고려 의종(毅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평(南平). 문공유(文公裕)의 아들이며, 문극겸(文克謙)의 아우. 의종 때 내사인(內舍人)이 되었다가 환관 정함(鄭諴)의 일로 인해 파직되고, 명종 때 내급사(內給事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남평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