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극유(克柔) - 김맹강(金孟鋼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산(安山). 김필(金珌)ㆍ김장(金璋)의 아버지. 1483년(성종 14) 춘당대시(春塘臺試)에 급제했으며, 승문원 교감(承文院校勘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극유(克柔)@김약온 - 김약온(金若溫)
고려 예종(睿宗)~인종(仁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김양감(金良鑑)의 아들로, 이자겸(李資謙)과 인척이면서도 가까이하지 않음. 벼슬이 문하시중(門下侍中)에 이름.
1059~1140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관인>문신
-
극유(克猷) - 원극유(元克猷)
고려 태조(太祖) 때의 개국공신. 병부령(兵部令)을 지냈으며 원성백(原城伯)에 봉해짐. 원주원씨(原州元氏) 원성백파(原城伯派)의 시조.
한국>고려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기타인명>공신
-
극유(克裕) - 문극유(文克裕)
고려 경종(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평(南平). 이부 상서(吏部尙書)를 지낸 문중달(文仲達)의 아들로, 상주국 평장사(上柱國平章事)를 지냄.
한국>고려전기 , 전라도>남평 , 인명>관인>문신
-
극윤(克允) - 정유명(鄭惟明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초계(草溪)로, 정온(鄭蘊)의 아버지. 갈천(葛川) 임훈(林薰)의 문인으로 1573년(선조 6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하고, 임진왜란 때 의병장 김면(金沔)을 도와 공을 세움.
1539~159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음 , 인명>문사>유학
-
극이(克易) - 문극이(文克易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남평(南平). 집현전 태학사(集賢殿太學士) 문공유(文公裕)의 아들이며 문극겸(文克謙)ㆍ문극순(文克純)의 아우로, 형 문극순과 함께 음직(蔭職)으로 벼슬함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남평 , 인명>관인>문신
-
극인(克仁)@김극인 - 김극인(金克仁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광주(光州). 1513년(중종 8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한 김일(金軼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문사>유학
-
극인(克仁)@고려 - 이극인(李克仁)@고려
고려 신종(神宗)~고종(高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영천(永川). 김취려(金就勵)의 휘하에서 거란(契丹)의 침입을 방어함. 대장군(大將軍)으로서 상장군 최유공(崔愈恭) 등과 함께 최우(崔瑀)를 죽이려다 실패하고 죽임을 당함.
?~1224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관인>무신
-
극인(克仁) - 안극인(安克仁)
고려 충목왕(忠穆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죽산(竹山). 공민왕의 비(妃)인 정비(定妃)의 아버지. 노국공주(魯國公主)의 영전(影殿) 축조 중지를 간하다가 왕의 노여움을 사서 관직에서 물러났으나, 뒤에 죽성군(竹城君)에 봉해짐.
?~1383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죽산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극인(克仁)@정극인 - 정극인(丁克仁)
조선 문종(文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영광(靈光). 최초의 가사(歌辭) 작품인 〈상춘곡(賞春曲)〉을 지음. 단종(端宗)이 왕위를 빼앗기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후진을 가르침.
1401~1481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태인ㅣ경기도>광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극인(克仁)@심극인 - 심극인(沈克仁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풍산(豊山). 성종(成宗) 때의 문신인 심견(沈肩)의 셋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극인(克仁)@조선 - 이극인(李克仁)@조선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예안(禮安). 사옹원 정(司饔院正) 이옹(李雍)의 아버지로, 승사랑(承仕郞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극일(克一) - 손여성(孫汝誠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으로, 손형(孫蘅)의 아들. 효성이 지극하였고, 성균관 전적(成均館典籍)ㆍ남원 부사(南原府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극일(克一)@1522 - 김극일(金克一)@1522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김진(金璡)의 아들이고 김성일(金誠一)의 형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 성주 목사(星州牧使)ㆍ밀양 부사(密陽府使) 등을 지냄.
1522~160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극일(克一)@1382 - 김극일(金克一)@1382
조선 전기의 문신ㆍ효자. 사헌부 지평(司憲府持平)을 지냄. 효성이 지극하여 세종(世宗) 때 효자 정려(孝子旌閭)가 건립되고, 성종(成宗) 때 김종직(金宗直)이 지은 효자 비문(孝子碑文)이 세워짐.
1382~145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청도 , 인명>기타인명>효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극일(克一)@서극일 - 서극일(徐克一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이천(利川)으로, 1546년(명종 1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판사(判事) 등을 지냄.
?~158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극임(克任)@유감 - 유감(柳堪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이조 정랑(吏曹正郞) 시절 《무정보감(武定寶鑑)》의 간행을 반대하여 파직되었다가, 윤원형(尹元衡) 실각 후 사복시 정(司僕寺正) 등을 역임하였으며, 《명종실록(明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함.
1514~1569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극임(克任) - 여승감(呂承堪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1488년(성종 19) 진주(晉州) 촉석루(矗石樓)에서 조위(曺偉)ㆍ김일손(金馹孫) 등과 금란계(金蘭契)를 맺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극자(郤子) - 극극(郤克)
중국 춘추전국시대 진(晉) 나라의 대부(大夫)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극장(克莊) - 유극장(劉克莊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인ㆍ문신. 병부 상서(兵部尙書)를 지내고, 육유(陸游)를 본받아 시국을 걱정하는 시풍의 작품을 많이 남겼으며, 강호시파(江湖詩派)를 주도함.
1187~1269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