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극인(克仁)@심극인 - 심극인(沈克仁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풍산(豊山). 성종(成宗) 때의 문신인 심견(沈肩)의 셋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극인(克仁)@조선 - 이극인(李克仁)@조선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예안(禮安). 사옹원 정(司饔院正) 이옹(李雍)의 아버지로, 승사랑(承仕郞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극일(克一) - 손여성(孫汝誠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으로, 손형(孫蘅)의 아들. 효성이 지극하였고, 성균관 전적(成均館典籍)ㆍ남원 부사(南原府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극일(克一)@1522 - 김극일(金克一)@1522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김진(金璡)의 아들이고 김성일(金誠一)의 형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 성주 목사(星州牧使)ㆍ밀양 부사(密陽府使) 등을 지냄.
1522~160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극일(克一)@1382 - 김극일(金克一)@1382
조선 전기의 문신ㆍ효자. 사헌부 지평(司憲府持平)을 지냄. 효성이 지극하여 세종(世宗) 때 효자 정려(孝子旌閭)가 건립되고, 성종(成宗) 때 김종직(金宗直)이 지은 효자 비문(孝子碑文)이 세워짐.
1382~145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청도 , 인명>기타인명>효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극일(克一)@서극일 - 서극일(徐克一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이천(利川)으로, 1546년(명종 1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판사(判事) 등을 지냄.
?~158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극임(克任)@유감 - 유감(柳堪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이조 정랑(吏曹正郞) 시절 《무정보감(武定寶鑑)》의 간행을 반대하여 파직되었다가, 윤원형(尹元衡) 실각 후 사복시 정(司僕寺正) 등을 역임하였으며, 《명종실록(明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함.
1514~1569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극임(克任) - 여승감(呂承堪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1488년(성종 19) 진주(晉州) 촉석루(矗石樓)에서 조위(曺偉)ㆍ김일손(金馹孫) 등과 금란계(金蘭契)를 맺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극자(郤子) - 극극(郤克)
중국 춘추전국시대 진(晉) 나라의 대부(大夫)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극장(克莊) - 유극장(劉克莊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인ㆍ문신. 병부 상서(兵部尙書)를 지내고, 육유(陸游)를 본받아 시국을 걱정하는 시풍의 작품을 많이 남겼으며, 강호시파(江湖詩派)를 주도함.
1187~1269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극재(克齋)@신정 - 신정(愼正)
조선 전기의 유학. 《고봉집(高峯集)》에 기대승(奇大升)의 화답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극재(克齋)@석돈 - 석돈(石𡼖)
중국 송(宋) 나라 고종(高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주희(朱熹)와 종유(從遊)하며 이학(理學)을 공부하였으며, 지남강군사(知南康軍事) 등을 지냄.
1128~1182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극재(克齋) - 배삼익(裵三益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흥해(興海)로,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. 진사사(陳謝使)로 명(明) 나라에 다녀오고, 황해도 관찰사로 구황(救荒)에 힘쓰다 병사함.
1534~158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극재(克齋)@진문울 - 진문울(陳文蔚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문인. 고풍스럽고 우아한 절조로 나라와 향리에서 모두 우러러보았다 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극재(克齋)@강경선 - 강경선(康景善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신천(信川). 창원도호부사(昌原都護府使) 강의(康顗)의 아들이고 강유선(康惟善)의 형. 이홍남(李洪男) 옥사(獄事)에 연루되어 평민(平民)으로 강등됨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신천 , 인명>문사>유학
-
극정(克靜) - 곽규(郭赳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사성(司成) 곽지번(郭之藩)의 아들로, 1555년(명종 10) 식년(式年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승지(承旨) 등을 지냄.
1521~158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현풍 , 인명>관인>문신
-
극종(克宗) - 안극종(安克宗)
통일신라시대 거문고의 명인. 아버지인 안장(安長)으로부터 거문고 연주를 전수받아 형 안극상(安克相)과 함께 이름을 떨치고, 거문고 연주곡 일곱 곡을 지음.
한국>통일신라 , 인명>예술인>음악인
-
극종(克綜) - 나문규(羅文奎)
고려 충혜왕(忠惠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금성(錦城). 판밀직부사(判密直副使) 나영걸(羅英傑)의 아들로, 서해도 안렴사(西海道按廉使)를 역임함.
1312~1379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극중(克中)@1560 - 권극중(權克中)@1560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대사간(大司諫) 권덕여(權德輿)의 아들. 세마(洗馬)를 지냈으며, 성혼(成渾)ㆍ성문준(成文濬) 등과 교유함.
1560~1614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극중(克中)@1585 - 권극중(權克中)@1585
조선 광해군(光海君)~효종(孝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안동(安東). 권준(權俊)의 아들이며 최명룡(崔命龍)의 문인으로, 인목대비의 폐출 소식을 듣고 낙향하여 역(易)과 내단사상(內丹思想)에 심취해 《참동계주해(參同契註解)》등을 저술함.
1585~1659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고부 , 인명>문사>학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