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극증(克增) - 이극증(李克增)
조선 문종(文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이인손(李仁孫)의 아들로, 익대공신(翊戴功臣)과 좌리공신(佐理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한성부 판윤(漢城府判尹) 등을 역임함.
1431~1494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극지(克智) - 방처인(房處仁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남양(南陽). 방덕일(房德馹)의 아들로, 1576년(선조 9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 하항(河沆)의 《각재집(覺齋集)》에 차운한 시가 실려 있음.
1549~1595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구례 , 인명>문사>유학
-
극지(克智)@권극지 - 권극지(權克智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종묘서 영(宗廟署令)을 지낸 권덕유(權德裕)의 아들로 예조 판서(禮曹判書)를 지냈고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에 국사에 몰두하다가 병을 얻어 사직했으나 국세가 날로 위급해지는 것을 보고 울분을 참지 못하여 죽음.
1538~159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극창(克昌)@송극창 - 송극창(宋克昌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산(礪山). 송륜(宋倫)의 아들이며, 이조 판서(吏曹判書) 송천희(宋千喜)의 아버지로, 1453년(단종 1) 증광시(增廣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예빈시 부정(禮賓寺副正) 등을 지냄.
1431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여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극창(克昌) - 이윤종(李尹宗)
조선 전기의 유학. 시문(詩文)에 뛰어났고, 남효온(南孝溫)과 교유하였으며, 《추강집(秋江集)》에 그와 관련한 글이 여러 편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극충(克忠)@진극충 - 진극충(陳克忠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삼척(三陟)으로, 내자 판관(內資判官)을 지낸 진암수(陳巖壽)의 아들. 1519년(중종 14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여산 , 인명>문사>유학
-
극충(克忠) - 문극충(文克忠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남평(南平). 문승욱(文承郁)의 아들이며, 문계창(文繼昌)의 아버지로, 사복시 첨정(司僕寺僉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평 , 인명>관인>문신
-
극충(克忠)@심극충 - 심극충(沈克忠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풍산(豊山). 성종(成宗) 때의 문신인 심견(沈肩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극치(克治) - 조극치(曺克治)
조선 단종(端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수성(壽城). 조윤성(曺允誠)의 아들로, 김종직(金宗直)과 교유함. 서장관(書狀官)으로 연경(燕京)에 다녀오고, 전라도 병마절도사(全羅道兵馬節度使)ㆍ참지의정부사(參知議政府事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대구 , 인명>관인>문신
-
극포군(極浦君) - 이희남(李希男)
조선 전기의 종친. 양녕대군(讓寧大君)의 장남인 순성군(順成君) 이개(李𧪚)의 손자.
1501~1569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극포수(極浦守) - 이희남(李希男)
조선 전기의 종친. 양녕대군(讓寧大君)의 장남인 순성군(順成君) 이개(李𧪚)의 손자.
1501~1569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극핍(克愊) - 김극핍(金克愊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갑자사화(甲子士禍)에 연루되어 고산(高山)에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(中宗反正)으로 풀려남. 이항(李沆)ㆍ심정(沈貞)과 함께 세간에 삼간(三奸)으로 지칭되었음.
1472~1531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극형(克亨) - 김극형(金克亨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함창(咸昌). 1513년(중종 8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유학
-
극화(克和) - 이훈(李壎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. 의성부정(義城副正) 이강(李鋼)의 아들.
1571~1643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극효(克孝) - 김극효(金克孝)
조선 명종(明宗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신천 군수(信川郡守)를 지낸 김생해(金生海)의 아들이며, 김상용(金尙容)과 김상헌(金尙憲)의 부친. 임당(林塘) 정유길(鄭惟吉)의 문하에서 수학했고, 동지돈녕부사(同知敦寧府事)를 지냄.
1542~1618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극효(克孝)@심극효 - 심극효(沈克孝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豊山)으로, 대관재(大觀齋) 심의(沈義)의 종형(從兄). 청학동(靑鶴洞)에 율정(栗亭)을 짓고 청학노선(靑鶴老仙)이라 자호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극후(克厚) - 유전(柳㙉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로, 상서원 직장(尙瑞院直長) 유예선(柳禮善)의 아들. 정여립(鄭汝立)의 옥사를 다스린 후 평난공신(平難功臣)에 책록되고, 영의정(領議政) 등을 지냄.
1531~1589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극휴(克休) - 이광윤(李光胤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로, 이곤(李鯤)의 손자이며 이득윤(李得胤)의 형. 1594년(선조 27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홍문관 수찬(弘文館修撰)ㆍ성주 목사(星州牧使) 등을 지냄. 선무공신(宣武功臣)에 책록되고, 예천(醴泉)의 인산서원(仁山書院)에 배향됨.
1564~163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극흠(克欽) - 이득윤(李得胤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학자ㆍ음악가. 본관은 경주(慶州). 괴산 군수(槐山郡守) 등을 지내고, 김장생(金長生) 등과 서신으로 역학과 음악을 토론함. 거문고 악보인 《현금동문유기(玄琴東文類記)》를 지음.
1553~163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예술인>음악인ㅣ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근(根)@윤근 - 윤근(尹根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강원도 관찰사(江原道觀察使) 윤희길(尹希吉)의 아들로, 사헌부 지평(司憲府持平) 등을 지냈으나, 광해군 때 모함을 받아 유배되었다가 유배지에서 죽음.
1574~?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진천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