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극포수(極浦守) - 이희남(李希男)
조선 전기의 종친. 양녕대군(讓寧大君)의 장남인 순성군(順成君) 이개(李𧪚)의 손자.
1501~1569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극핍(克愊) - 김극핍(金克愊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갑자사화(甲子士禍)에 연루되어 고산(高山)에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(中宗反正)으로 풀려남. 이항(李沆)ㆍ심정(沈貞)과 함께 세간에 삼간(三奸)으로 지칭되었음.
1472~1531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극형(克亨) - 김극형(金克亨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함창(咸昌). 1513년(중종 8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유학
-
극화(克和) - 이훈(李壎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. 의성부정(義城副正) 이강(李鋼)의 아들.
1571~1643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극효(克孝) - 김극효(金克孝)
조선 명종(明宗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신천 군수(信川郡守)를 지낸 김생해(金生海)의 아들이며, 김상용(金尙容)과 김상헌(金尙憲)의 부친. 임당(林塘) 정유길(鄭惟吉)의 문하에서 수학했고, 동지돈녕부사(同知敦寧府事)를 지냄.
1542~1618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극효(克孝)@심극효 - 심극효(沈克孝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豊山)으로, 대관재(大觀齋) 심의(沈義)의 종형(從兄). 청학동(靑鶴洞)에 율정(栗亭)을 짓고 청학노선(靑鶴老仙)이라 자호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극후(克厚) - 유전(柳㙉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로, 상서원 직장(尙瑞院直長) 유예선(柳禮善)의 아들. 정여립(鄭汝立)의 옥사를 다스린 후 평난공신(平難功臣)에 책록되고, 영의정(領議政) 등을 지냄.
1531~1589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극휴(克休) - 이광윤(李光胤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로, 이곤(李鯤)의 손자이며 이득윤(李得胤)의 형. 1594년(선조 27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홍문관 수찬(弘文館修撰)ㆍ성주 목사(星州牧使) 등을 지냄. 선무공신(宣武功臣)에 책록되고, 예천(醴泉)의 인산서원(仁山書院)에 배향됨.
1564~163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극흠(克欽) - 이득윤(李得胤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학자ㆍ음악가. 본관은 경주(慶州). 괴산 군수(槐山郡守) 등을 지내고, 김장생(金長生) 등과 서신으로 역학과 음악을 토론함. 거문고 악보인 《현금동문유기(玄琴東文類記)》를 지음.
1553~163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예술인>음악인ㅣ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근(根)@윤근 - 윤근(尹根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강원도 관찰사(江原道觀察使) 윤희길(尹希吉)의 아들로, 사헌부 지평(司憲府持平) 등을 지냈으나, 광해군 때 모함을 받아 유배되었다가 유배지에서 죽음.
1574~?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진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근(根) - 유근(柳根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 시문에 뛰어남. 임진왜란(壬辰倭亂)이 일어나자 선조를 의주(義州)로 호종하고, 명(明)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와 호성공신(扈聖功臣)에 녹훈됨.
1549~162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근(瑾) - 왕근(王瑾)
고려 후기의 종친. 신종(神宗)의 7대손이며, 공양왕(恭讓王)의 종숙(從叔)인 왕환(王環)의 아들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종친
-
근(瑾)@문근 - 문근(文瑾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감천(甘泉). 영남 출신 사림파의 한 사람으로 훈구파와 사림파 사이를 조제(調劑)하는 역할을 함.
1471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용궁 , 인명>관인>문신
-
근(瑾)@한근 - 한근(韓瑾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당진(唐津)으로, 한숙(韓淑)ㆍ한주(韓澍)ㆍ한호(韓灝)의 아버지. 만년(晩年)에 효행(孝行)으로 추천을 받아 세자익위사 좌세마(世子翊衛司左洗馬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당진 , 인명>관인>무신
-
근(瑾)@조근 - 조근(趙瑾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영중추원사(領中樞府事)를 지낸 조말생(趙末生)의 아들로, 《문종실록(文宗實錄)》편찬에 참여하였으며, 문장이 뛰어나고 해서(楷書)에 능하여 외교문서ㆍ전적(典籍) 등의 작성에 공헌함.
1417~1475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근(瑾)@이근 - 이근(李瑾)
조선 후기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로, 이이(李珥)의 문인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근(覲) - 김근(金覲)
고려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김부식(金富軾)의 아버지로, 국자좨주 좌간의대부(國子祭酒左諫議大夫)를 지냄. 시문에 능하여 송(宋) 나라에까지 명성이 알려짐.
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근(謹) - 성근(成謹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성세균(成世均)의 아들로, 큰아버지 성세명(成世明)에게 출계함. 안동 대도호부사(安東大都護府使)를 지냄.
1490~155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근(近) - 권근(權近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영가부원군(永嘉府院君) 권보(權溥)의 증손. 《예기(禮記)》를 중시하여 강상(綱常)의 확립을 통한 왕권 강화에 기여하고, 이황(李滉)ㆍ장현광(張顯光) 등에게 학문적으로 영향을 줌.
1352~1409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근(近)@성근 - 성근(成近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성세준(成世俊)의 아들로, 1507년(중종 2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하여 참봉(參奉)을 지냄. 조식(曺植)의 《남명집(南冥集)》에 증시(贈詩)가 실려 있음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