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근사재(近思齋) - 박계현(朴啓賢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권신 윤원형(尹元衡)의 청혼을 거절하여 변방으로 좌천되었고, 동인(東人)과 서인(西人)의 당쟁을 제지하려 하였으나 실패함.
1524~158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근사편(近思編) - 근사록(近思錄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인 주희(朱熹)가 제자인 여조겸(呂祖謙)과 함께 주돈이(周敦頤)ㆍ정호(程顥)ㆍ정이(程頤)ㆍ장재(張載)의 저서나 어록에서 학문의 중심 문제들과 일상생활에 요긴한 장구(章句) 622조목을 뽑아 편집한 책. 성리학(性理學)의 입문서.
1175 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근선남(近善男) - 우바새(優婆塞)
출가(出家)하지 않고 세속인으로서 불법(佛法)을 믿고 따르는 남자 신도를 이르는 말. 불교의 사부대중(四部大衆)의 하나.
사상>술어>핵심어
-
근선녀(近善女) - 우바이(優婆夷)
출가(出家)하지 않고 세속인으로서 불법(佛法)을 믿고 따르는 여자 신도를 이르는 말. 불교의 사부대중(四部大衆)의 하나.
사상>술어>핵심어
-
근성(謹成) - 이근성(李謹成)
조선 전기의 문신. 직장(直長)을 지내고, 조위한(趙緯韓) 등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근수(根壽) - 윤근수(尹根壽)
조선 명종(明宗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윤두수(尹斗壽)의 아우이며,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으로, 선조(宣祖) 때 종계변무(宗系辨誣)의 공으로 광국공신(光國功臣)에 책록되고, 임진왜란 때 국난극복에 힘써 호성공신(扈聖功臣)에 책록됨.
1537~161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근숙(謹叔) - 한효윤(韓孝胤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문천 군수(文川郡守)를 지낸 한여필(韓汝弼)의 아들. 1570년(선조 3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, 경성 판관(鏡城判官)ㆍ종부시 주부(宗簿寺主簿) 등을 지냄.
1536~1580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근숙녀(近宿女) - 우바이(優婆夷)
출가(出家)하지 않고 세속인으로서 불법(佛法)을 믿고 따르는 여자 신도를 이르는 말. 불교의 사부대중(四部大衆)의 하나.
사상>술어>핵심어
-
근시재(近始齋) - 김해(金垓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의병장. 본관은 광주(光州). 김부의(金富儀)의 아들. 임진왜란(壬辰倭亂)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안동(安東) 등지에서 분전하다가 전사함. 이조 판서(吏曹判書)에 추증되었으며 문집《근시재집(近始齋集)》이 있음.
1555~159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근시재선생문집(近始齋先生文集) - 근시재집(近始齋集)
조선 전기의 학자인 김해(金垓)의 시문집. 1708년(숙종 34) 증손 김석윤(金錫胤)이 수습한 것을 4권 2책으로 간행함.
1783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근신(謹臣) - 권근신(權謹臣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권거(權擧)의 아들로 1540년(중종 35)의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하여 훈도(訓導)ㆍ충찬위(忠贊衛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관인>문신
-
근암서당(近嵒書堂) - 근암서원(近嵒書院)
조선 현종(顯宗) 때 경상도 상주에 건립한 서원. 1544년(중종 39) 영천자(靈川子) 신잠(申潛)이 근암서당(近嵒書堂)을 설립한 뒤 1665년(현종 6) 홍언충(洪彦忠)을 배향하여 향현사(鄕賢祠)가 되었으며, 1669년(현종 10) 이덕형(李德馨)을 추배하여 서원으로 선액(宣額)됨. 홍여하(洪汝河)ㆍ김홍민(金弘敏)ㆍ권상일(權相一) 등을 추배함. 현재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에 속함.
166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상주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근암서원(近巖書院) - 근암서원(近嵒書院)
조선 현종(顯宗) 때 경상도 상주에 건립한 서원. 1544년(중종 39) 영천자(靈川子) 신잠(申潛)이 근암서당(近嵒書堂)을 설립한 뒤 1665년(현종 6) 홍언충(洪彦忠)을 배향하여 향현사(鄕賢祠)가 되었으며, 1669년(현종 10) 이덕형(李德馨)을 추배하여 서원으로 선액(宣額)됨. 홍여하(洪汝河)ㆍ김홍민(金弘敏)ㆍ권상일(權相一) 등을 추배함. 현재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에 속함.
166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상주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근오지(斤烏支) - 영일(迎日)
경상도 동부 동해에 연해 있는 고을 이름. 연오랑(延烏郞)ㆍ세오녀(細烏女) 설화가 전하는 일월지(日月池)와 오천서원(烏川書院) 등의 유적이 있음. 지금은 경상북도 포항시(浦項市)에 속함.
경상도>영일 , 지명>행정지명
-
근옹(芹翁) - 이관징(李觀徵)
조선 효종(孝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서예가. 본관은 연안(延安). 이조 판서(吏曹判書) 등을 지냈으나, 갑술환국(甲戌換局) 때 삭출됨. 해서(楷書)에 능했으며 만년에는 김생(金生)의 필법을 연구함.
1618~1695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근원(謹元) - 박근원(朴謹元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으로, 형조 참판을 지낸 박광영(朴光榮)의 손자. 병조 판서(兵曹判書) 이이(李珥)를 탄핵하다가 강계(江界)로 유배되기도 했으며, 처결수완이 뛰어나 대사헌을 여덟 번이나 지냄.
1525~158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근인(近仁)@김갑눌 - 김갑눌(金甲訥)
조선 전기의 유학. 홍귀달(洪貴達)과 교유하여 한때 홍귀달이 그의 집에 기거하기도 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근인(近仁) - 주목(周木)
중국 명(明) 효종(孝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주희(朱熹)와 그의 스승인 이동(李侗)과의 문답을 기록한 《연평답문(延平答問)》의 서문을 썼으며, 이동(李侗)을 공자묘(孔子廟)에 종사(從祀)할 것을 주청하였고, 참정(參政) 등을 역임하였음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근재(覲齋) - 이맹현(李孟賢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재령(載寧). 울진 현령(蔚珍縣令) 이애(李璦)ㆍ직장(直長) 이날(李㻋)의 아버지로, 황해도 관찰사(黃海道觀察使) 등을 지내고, 1464년(세조 10) 수찬낭관(修撰郞官)으로 《동국통감(東國通鑑)》편수에 참여함.
1436~148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근재(謹齋)@안처겸 - 안처겸(安處謙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. 좌의정 안당(安瑭)의 아들로, 성균관 학유(成均館學兪)를 지냄. 심정(沈貞)ㆍ남곤(南袞) 등을 제거하려 했다는 송사련(宋祀連)의 무고로 인해 처형됨.
1486~1521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