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근재(謹齋) - 안축(安軸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충목왕(忠穆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. 원(元) 나라의 제과(制科)에 급제하고 성균학정(成均學正)ㆍ판정치도감사(判整治都監事) 등을 지냄. 충렬왕(忠烈王)ㆍ충선왕(忠宣王)ㆍ충숙왕(忠肅王)의 실록 편찬에 참여함.
1287~1348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풍기ㅣ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근재(近齋) - 박윤원(朴胤源)
조선 영조(英祖)~정조(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반남(潘南). 김창협(金昌協)ㆍ이재(李縡)ㆍ김원행(金元行)의 학통을 계승하여 홍직필(洪直弼)에게 전수함. 성리학을 깊이 연구하고 예학(禮學)에도 조예가 깊었으며, 저서로 《근재집(近齋集)》ㆍ《근재예설(近齋禮說)》이 있음.
1734~1799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문사>학자
-
근재선생집(謹齋先生集) - 근재집(謹齋集)
고려 후기의 학자인 안축(安軸)의 문집. 강원도 존무사(江原道存撫使)로 나갔을 때 지은 시문집 관동와주(關東瓦注)를 사위인 정양생(鄭陽生)이 청주에서 간행함.
1364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문헌>서명
-
근제(根悌) - 박근제(朴根悌)
조선 후기의 학자. 본관은 진원(珍原). 왕자 사부(王子師傅) 박광전(朴光前)의 아들이며 박근효(朴根孝)의 동생으로, 임진왜란 때 형 박근효와 함께 의병을 일으켰고, 정유재란 때 아버지의 종사관(從事官)으로 출전함.
1560~1630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진원 , 인명>문사>학자
-
근중(勤仲) - 신수근(愼守勤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거창(居昌). 거창부원군(居昌府院君) 신승선(愼承善)의 아들. 연산군(燕山君)의 비(妃)인 거창(居昌) 신씨(愼氏)의 동생이자, 중종(中宗)의 비(妃)인 단경왕후(端敬王后)의 아버지. 좌의정(左議政)을 지냈으나,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반대하다 피살됨.
1450~150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거창 , 인명>관인>문신
-
근중(根仲) - 박세말(朴世末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광주(光州). 1513년(중종 8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유학
-
근중(謹仲) - 권신(權愼)
조선 전기의 유학. 율곡(栗谷) 이이(李珥)가 청학산(靑鶴山)을 유람할 때 중도(中途)에서 만난 내용이 《율곡전서(栗谷全書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근지(勤之) - 남치근(南致勤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의령(宜寧). 남구(南俅)의 아들로, 여러 차례 호남에 출몰하는 왜구(倭寇)를 토벌하였고, 경기ㆍ황해ㆍ평안 삼도토포사(三道討捕使) 시절에 황해도 재령(載寧)에서 암약하던 임꺽정을 잡아 효수(梟首)함.
?~157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관인>무신
-
근지(謹之) - 강자계(康自戒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신천(信川). 1488년(성종 19) 진주(晉州) 촉석루(矗石樓)에서 조위(曺偉)ㆍ김일손(金馹孫) 등과 금란계(金蘭契)를 맺음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신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근지(謹志) - 탁근지(卓謹志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광산(光山). 직장(直長) 탁지(卓智)의 셋째 아들이고, 탁신지(卓愼志)ㆍ탁경지(卓敬志)의 동생이며, 탁계정(卓季禎)의 형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유학
-
근초(謹初) - 조말생(趙末生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주(楊州)로, 태종(太宗)의 부마인 조선(趙璿)의 아버지. 조용(趙庸)의 문인으로, 영중추원사(領中樞院事) 등을 지냄.
1370~1447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근평(斤平) - 가평(加平)
경기도 중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. 북한강을 이용한 수로(水路)가 발달하였으며, 조종암(朝宗岩)ㆍ대보단(大報壇)ㆍ현등사(懸燈寺) 등이 유명함.
경기도>가평 , 지명>행정지명
-
근행당(謹行堂) - 평원대군(平原大君)
조선 제4대 세종(世宗)의 일곱째 아들. 소헌왕후(昭憲王后) 심씨沈氏)의 소생으로, 부사(府使) 홍이용(洪利用)의 딸과 혼인하였으나 젊은 나이에 죽음.
1427~144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근화(槿花) - 무궁화(無窮花)
아욱과의 낙엽관목(落葉灌木). 꽃이 끊임없이 아침에 피었다가 저녁에 지는 데서 세속의 행복과 부귀영화의 덧없음을 상징하며, 산울타리 등에 널리 이용됨. 강희안(姜希顔)의 《양화소록(養花小錄)》에 ‘근역(槿域)’에 관한 기록이 있음.
자연물>식물
-
근회(根晦) - 이봉춘(李逢春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보(眞寶)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1576년(선조 9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한 뒤 직강(直講) 등을 지냄.
1542~162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근회(根晦)@유근회 - 유근회(柳根晦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서산(瑞山). 유방선(柳方善)의 후손이고 조호익(曺好益)의 문인으로, 효행으로써 알려짐.
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문사>유학
-
근회(根會) - 이봉춘(李逢春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보(眞寶)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1576년(선조 9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한 뒤 직강(直講) 등을 지냄.
1542~162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근효(根孝) - 박근효(朴根孝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원(珍原)으로, 성혼(成渾)ㆍ이이(李珥)의 문인. 임진왜란(壬辰倭亂)이 일어나자 아우 박근제(朴根悌)와 함께 의병을 일으켰고, 전란이 끝난 뒤 동지들과 힘을 모아 서적을 발간하는 등 문교 진흥에 힘씀.
1550~1607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보성 , 인명>관인>문신
-
근휴(謹休) - 이만각(李晩慤)
조선 고종(高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진보(眞寶)로, 정재(定齋) 유치명(柳致明)의 조카. 경학연구 및 후진양성에 진력하였으며, 저서로 《신암문집(愼庵文集)》이 있음.
1815~187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보 , 인명>문사>학자
-
금(嶔) - 이금(李嶔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교리(校理)를 지낸 이부(李阜)의 아버지로, 사과(司果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진천 , 인명>관인>무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