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남극관(南克寬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인. 본관은 의령(宜寧). 영의정(領議政)을 지낸 남구만(南九萬)의 손자이자 수락산(水洛山)에서 은거한 남학명(南鶴鳴)의 아들. 문집으로《몽예집(夢囈集)》이 있음.
1689~171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문사>문인
-
남극노인성(南極老人星)
남반구(南半球)의 용골(龍骨) 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. 고대에는 사람의 수명을 맡아보는 별이라 하여 신앙의 대상으로 삼았으며, 이 별이 나타나면 나라가 편안해지고 군왕이 장수한다고 여겨 제단(祭壇)을 설치하여 제사를 지냄.
자연물>천체
-
남금(南琴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태종(太宗)이 양녕대군(讓寧大君)을 광주에 안치(安置)할 때 판목사(判牧事)로 삼았으며, 병조 판서(兵曹判書)를 지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남긍(南兢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이색(李穡)이 우간의대부(右諫議大夫)일 때 좌간의대부(左諫議大夫)를 지냈으며, 민사평(閔思平)ㆍ정포(鄭誧) 등과 교유함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남기(南淇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의령(宜寧). 통정대부(通政大夫)를 지낸 남상문(南尙文)의 아버지로, 돈녕 참봉(敦寧參奉)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남기(南麒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영양(英陽). 선조(宣祖) 때의 학자 남몽오(南夢鰲)의 아버지로, 기자전 참봉(箕子殿參奉)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남기제(南紀濟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의령(宜寧). 김원행(金元行)의 문인으로, 〈용문산문답(龍門山問答)〉과 《아아록(我我錄)》을 저술함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문사>학자
-
남노(南老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의령(宜寧). 성균관 전적(城均館典籍)을 지낸 남숭(南崧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해 , 인명>문사>유학
-
남당(南唐)
중국 오대십국(五代十國) 때 이변(李昪)이 오국(吳國)의 예제(睿帝)를 몰아내고 금릉(金陵)에 세운 나라. 3대 38년 만에 송(宋) 나라에게 멸망됨.
937~975 중국>오대십국 , 중국 , 시간>국명
-
남당집(南塘集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한원진(韓元震)의 문집. 원집(原集) 38권 19책과 습유(拾遺) 6권 3책. 목판본. 금산 군수(金山郡守) 김근행(金謹行)이 편차하여 간행함.
176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금산 , 문헌>서명
-
남도진(南道振)
조선 후기의 은사ㆍ학자. 개국공신 남재(南在)의 11세손이며, 병마동첨절제사(兵馬同僉節制使) 남택하(南宅夏)의 아들. 용문산(龍門山)에 은거하여 자연을 완상(玩賞)하며 시조(時調)와 가사(歌辭)를 짓고 평생 저술에 전념함.
1674~173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기타인명>은자ㅣ인명>문사>학자
-
남률(南慄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령(宜寧). 중종 때 대사간(大司諫)을 역임함.
1452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남매탑(男妹塔)
충청남도 공주(公州) 동학사(東鶴寺) 북쪽 비로봉(毘路峰) 아래에 나란히 서 있는 칠층 석탑과 오층 석탑. 백제 멸망 후 어느 남매가 와서 수도했다는 전설에서 유래함.
한국>통일신라 , 충청도>공주 , 유적>기타유적
-
남맹하(南孟夏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의령(宜寧). 통례(通禮)를 지낸 남경춘(南慶春)의 아들로, 송인(宋寅)ㆍ박민헌(朴民獻)ㆍ김사원(金士元)과 친교(親交)함.
1523~155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남명집(南冥集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인 조식(曺植)의 시문집. 3권. 목판본. 1604년(선조 37)에 저자의 문인 정인홍(鄭仁弘)이 유고를 수집하여 편차한 후 합천(陜川)의 해인사(海印寺)에서 초간(初刊)함.
160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합천 , 문헌>서명
-
남몽오(南夢鰲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영양(英陽). 기자전 참봉(箕子殿參奉) 남기(南麒)의 아들로, 조목(趙穆)ㆍ김성일(金誠一)과 교유했으며, 기영사(耆英祠)에 제향됨.
1528~159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문사>학자
-
남민(南敏)
신라 경덕왕(景德王) 때의 귀화인. 중국 당(唐) 나라 사람 김충(金忠)으로, 풍랑을 만나 영양(英陽)에 정착한 후 신라에서 성과 이름을 내림. 영양(英陽)ㆍ의령(宜寧)ㆍ고성(固城) 남씨(南氏)의 시조.
한국>통일신라 , 중국ㅣ경상도>영해 , 인명>기타인명>귀화인
-
남반(南磐)
조선 후기의 유학. 남재(南在)의 사손(祀孫)으로 남재(南在)의 시(詩) 등 삼대(三代)의 기문(記聞)을 수집하여 “취미(翠微)”라 이름하여 1권을 만들었으나 간행되지 못하고 산일됨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문사>유학
-
남변(南忭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령(宜寧). 형조 정랑(刑曹正郞)을 지낸 남이(南儞)의 아들.
1454~1499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남복흥(南復興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령(宜寧). 수의부위(修義副尉) 남맹하(南孟夏)의 아들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무공(武功)을 세우고, 명(明) 나라 장수 진린(陳璘)의 접반사(接伴使)를 지냄.
1553~?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