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금관가야(金官伽倻) - 김해(金海)
경상남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 고대에 가락국(駕洛國)의 도읍지였음.
경상도>김해 , 지명>행정지명
-
금관성(錦官城) - 나주(羅州)
전라남도 중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. 후백제(後百濟)를 세운 견훤(甄萱)의 본거지였고, 고려 때에는 거란(契丹)의 침입 당시 현종(顯宗)의 피난처였음.
전라도>나주 , 지명>행정지명
-
금관후(金官侯) - 왕증(王烝)
고려 제11대 문종(文宗)의 아들. 제13대 선종(宣宗)의 동생으로, 태위 겸 중서령(太尉兼中書令)을 지내고, 학술에 뛰어났다고 함.
?~1092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왕자
-
금광명최승왕경(金光明最勝王經) - 금광명경(金光明經)
불교 경전(經典)의 하나. 법성중도(法性中道)의 이치를 설명함. 이 경문을 읽고 수행하면 여러 불보살(佛菩薩)이나 선신(善神)의 가호를 받는다고 함. 북량(北凉)의 담무참(曇無讖)이 한역(漢譯)하였는데, 《인왕경(仁王經)》ㆍ《법화경(法華經)》과 함께 호국삼부경(護國三部經)으로 칭함.
기타지역 , 문헌>서명
-
금구정(金龜正) - 이수붕(李壽朋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(利城君) 이관(李慣)의 둘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금군(錦郡) - 금산(錦山)
충청남도 남동쪽 끝에 있는 고을 이름. 조선시대까지는 전라도에 편입되어 있었음. 임진왜란 때 조헌(趙憲)과 영규(靈圭)가 이끄는 의병이 이곳에서 일본군과 싸우다가 모두 전사함.
전라도>금산 , 지명>행정지명
-
금궁주(琴宮奏) - 금궁조(琴宮操)
조선 후기의 유학. 금경의(琴景儀)의 아들로, 송암(松巖) 권호문(權好文)이 대조(大調)라는 자(字)를 지어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금규(金閨) - 금마문(金馬門)
중국 전한(前漢) 때 미앙궁(未央宮)에 있던 문. 학사(學士)들이 대조(待詔)하던 곳으로, 보통 한림원(翰林院)이나 한림학사 혹은 조정의 뜻으로 쓰임.
중국>전한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ㅣ유적>시설>기타시설
-
금극의(琴克儀) - 금의(琴儀)
고려 명종(明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봉화금씨(奉化琴氏)의 시조. 학문과 문장에 뛰어나 지공거(知貢擧)로 있을 때 많은 인재를 등용하였으며 벽상공신(壁上功臣)에 오름.
1153~1230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봉화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금남(錦南)@나사침 - 나사침(羅士忱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진원 현감(晉原縣監)을 지낸 나질(羅晊)의 아들로, 이성 현감(尼城縣監)을 지냄. 정여립(鄭汝立)의 옥사(獄事)에 무고(誣告)로 인해 문초(問招)를 받았으나 바로 석방됨.
1525~1596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금남(錦南) - 최부(崔溥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탐진(耽津). 진사(進士) 최택(崔澤)의 아들이며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, 홍문관 교리(弘文館校理)를 지냈으나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죽임을 당함. 저서에 《금남표해록(錦南漂海錄)》이 있음.
1454~150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금남군(錦南君) - 정충신(鄭忠信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금성(錦城)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권율(權慄)을 종군(從軍)하여 무명(武名)을 떨치고, 이괄(李适)의 난(亂)을 평정하여 진무공신(振武功臣)이 됨. 이항복(李恒福)이 북청(北靑)으로 유배되었을 때의 기록인 《북천일록(北遷日錄)》을 저술함.
1575~1636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금남선생집(錦南先生集) - 금남집(錦南集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인 최부(崔溥)의 시문집. 5권 5책. 목활자본. 외손자인 유희춘(柳希春)이 편집하여 1571년(선조 4)에 간행하였으며, 〈표해록(漂海錄)〉 등이 수록됨.
1571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금대(琴臺) - 탄금대(彈琴臺)
충청도 충주(忠州)의 견문산(犬門山)에 있는 절벽 바위. 신라 진흥왕(眞興王) 때 우륵(于勒)이 가야금을 탄주하던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하며, 임진왜란 때 신립(申砬)이 소서행장(小西行長)과 맞서 싸우다 전사한 곳이기도 함.
충청도>충주 , 유적>기타유적ㅣ지명>자연지명
-
금대(金臺) - 북경(北京)
중국의 수도. 하북성(河北省) 중앙부에 있으며, 화북(華北) 대평원과 북방의 산간지대를 잇는 교통의 요지. 춘추전국시대 연(燕) 나라의 도읍이 된 이래, 요(遼) 나라, 금(金) 나라, 원(元) 나라, 명(明) 나라, 청(淸) 나라의 도읍지였음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금덕왕(金德王) - 소호(少昊)
중국 고대의 전설적 황제. 삼황오제(三皇五帝)의 하나로, 황제(黃帝)와 누조(嫘祖) 사이에서 태어났으며, 태호(太昊)의 법을 닦았기 때문에 소호(少昊)라 일컬어짐.
고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금란(金鑾) - 금란전(金鑾殿)
중국 당(唐) 나라 때의 궁전 이름. 문인(文人)ㆍ학사(學士)들이 대조(待詔)하던 곳으로, 한림학사(翰林學士)가 이곳에 거처함.
중국>당 , 중국 , 유적>건물>궁궐
-
금란지계(金蘭之契) - 금란지교(金蘭之交)
친구 사이의 굳은 우정을 이르는 말. 《역경(易經)》의 〈계사상전(繫辭上傳)〉에서 유래한 말로, 둘이 합심하면 그 단단하기가 능히 쇠를 자를 수 있고 우정의 아름다움은 난초의 향기와 같다는 뜻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금련(金蓮) - 금련촉(金蓮燭)
중국 황제가 쓰는 연꽃 모양의 초. 당(唐) 나라의 영호도(令狐綯)와 송(宋) 나라의 소동파(蘇東坡)가 임금과의 야대(夜對)에서 물러나올 때 임금이 특별히 금련촉을 주어 보냈다 하여 신하에 대한 임금의 배려를 일컬음.
중국 , 물품>기타물품
-
금로(衿老) - 이순형(李純亨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덕수(德水). 이난(李蘭)의 아들로, 명종(明宗) 때 진위사(陳慰使)로서 명(明) 나라에 다녀오고, 지방관을 두루 역임하였으며, 한성부 좌윤(漢城府左尹)까지 지냄.
1498~?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풍덕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