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금리(錦里)@금계 - 금계(錦溪)
경상북도 풍기에 있는 고을 이름. 예로부터 인삼과 사과가 유명함. 현재 지명은 금계(錦鷄).
경상도>풍기 , 지명>행정지명
-
금리(錦里)@도잠 - 도잠(陶潛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~송(宋) 나라의 시인.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, 당(唐) 나라 이후로 육조(六朝)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.
365~427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금리두(錦里杜) - 두보(杜甫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ㆍ문신. 율시(律詩)에 뛰어났으며,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. '시성(詩聖)'으로 불리며,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.
712~770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금마(金馬) - 금마문(金馬門)
중국 전한(前漢) 때 미앙궁(未央宮)에 있던 문. 학사(學士)들이 대조(待詔)하던 곳으로, 보통 한림원(翰林院)이나 한림학사 혹은 조정의 뜻으로 쓰임.
중국>전한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ㅣ유적>시설>기타시설
-
금마(金馬)@익산 - 익산(益山)
전라도 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. 남으로 전주(全州), 북으로 여산(礪山)과 접하였으며, 마한(馬韓)이 세워진 곳.
전라도>익산 , 지명>행정지명
-
금마저(金馬渚) - 익산(益山)
전라도 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. 남으로 전주(全州), 북으로 여산(礪山)과 접하였으며, 마한(馬韓)이 세워진 곳.
전라도>익산 , 지명>행정지명
-
금면진재(琴勉進齋) - 금응훈(琴應壎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. 영춘 현감(永春縣監)ㆍ양천 현감(陽川縣監) 등을 역임하고 《퇴계집(退溪集)》 간행실무자로 참여함.
1540~161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금명주(錦名州) - 금산(錦山)
충청남도 남동쪽 끝에 있는 고을 이름. 조선시대까지는 전라도에 편입되어 있었음. 임진왜란 때 조헌(趙憲)과 영규(靈圭)가 이끄는 의병이 이곳에서 일본군과 싸우다가 모두 전사함.
전라도>금산 , 지명>행정지명
-
금모(金母) - 서왕모(西王母)
중국 고대 전설상의 선녀. 《산해경(山海經)》에서는 곤륜산(崑崙山)에 사는, 사람 얼굴에 표범 꼬리와 호랑이 이빨을 가진 신인(神人)이라고 하였으나, 일반적으로 불사약(不死藥)을 가지고 있는 선녀로 전해짐.
고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금문(金門) - 금마문(金馬門)
중국 전한(前漢) 때 미앙궁(未央宮)에 있던 문. 학사(學士)들이 대조(待詔)하던 곳으로, 보통 한림원(翰林院)이나 한림학사 혹은 조정의 뜻으로 쓰임.
중국>전한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ㅣ유적>시설>기타시설
-
금문원(琴聞遠) - 금난수(琴蘭秀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봉화(奉化)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장예원 사평(掌隸院司評)ㆍ봉화 현감(奉化縣監) 등을 지내고, 귀향한 뒤에는 퇴계 학문을 강구함.
1530~160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금반로(金盤露) - 주(酒)
술.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(總稱). 전설상에 두강(杜康)과 의적(儀狄)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.
물품>식약품>음료
-
금반자(金盤紫) - 모란(牡丹)
작약과(芍藥科)에 속하는 낙엽관목(落葉灌木). 예로부터 꽃 중의 제일이라 하여 꽃의 왕으로 일컬어졌으며, 부귀(富貴)를 상징함. 설총(薛聰)의 〈화왕계(花王戒)〉로 유명함.
자연물>식물
-
금백당(琴栢堂) - 금보(琴輔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ㆍ서화가. 본관은 봉화(奉化)로, 이황(李滉)의 문인. 글씨에 뛰어나 이숙량(李叔樑)ㆍ오수영(吳守盈)과 더불어 선성삼필(宣城三筆)이라 불렸으며, 퇴계묘비(退溪墓碑)ㆍ도산신판(陶山神版) 등을 씀.
1521~158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봉화ㅣ경상도>예안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문사>학자
-
금백임(琴伯任) - 금보(琴輔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ㆍ서화가. 본관은 봉화(奉化)로, 이황(李滉)의 문인. 글씨에 뛰어나 이숙량(李叔樑)ㆍ오수영(吳守盈)과 더불어 선성삼필(宣城三筆)이라 불렸으며, 퇴계묘비(退溪墓碑)ㆍ도산신판(陶山神版) 등을 씀.
1521~158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봉화ㅣ경상도>예안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문사>학자
-
금백재(琴伯材) - 금오(琴梧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봉화(奉化)로, 지흥해군사(知興海郡事)를 지낸 금치담(琴致湛)의 아들. 기묘사화(己卯士禍)가 일어나자 관직에 나가지 않음. 황준량(黃俊良)ㆍ권동보(權東輔)ㆍ정유일(鄭惟一) 등과 교유했음.
1486~157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봉화 , 인명>문사>유학
-
금보(錦褓) - 양귀비(楊貴妃)
중국 당(唐) 나라 현종(玄宗)의 비(妃). 본래 현종의 아들인 이모(李瑁)의 비로 궁에 들어왔으나 현종의 사랑을 받아 현종의 비가 됨. 오빠인 양국충(楊國忠)과 함께 정사를 전횡하다가 안사(安史)의 난(亂) 때 국난 초래를 문책받아 죽음.
719~756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후궁
-
금봉(錦峯)@나덕윤 - 나덕윤(羅德潤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이산 현감(尼山縣監) 나사침(羅士忱)의 아들이며, 정개청(鄭介淸)의 문인. 정여립(鄭汝立)의 옥사(獄事)에 연루되어 귀향 갔다가 광해군 즉위 후 의금부 경력(義禁府經歷)ㆍ감찰(監察) 등을 지냄.
1557~?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금봉(錦峯) - 연세홍(延世弘)
조선 전기의 도사. 중종(中宗) 때 홍문관 부제학을 지낸 김구(金絿)와 왕래했던 도사로, 《자암집(自菴集)》에 그와 수창(酬唱)한 〈차금봉연도사압사수(次錦峯延道士押四首)〉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기타인명>도사
-
금사(金沙) - 백사정(白沙汀)
황해도 장연현(長淵縣) 고을 서쪽 50여 리 지점에 위치한 모래밭 이름. 길이가 7, 8리이고, 넓이는 3, 4리에 이름. 시의 소재로 많이 이용되었는데, 남곤(南袞)의 〈유백사정기(遊白沙汀記)〉가 유명함.
황해도>장연 , 지명>자연지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