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금서자(琴書子) - 이태(李迨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주(驪州). 이사필(李師弼)의 아들이며 김안국(金安國)의 문인으로, 김정국(金正國)ㆍ이현보(李賢輔)ㆍ권벌(權橃) 등과 교유함.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낙향하여 학문에 전념하고,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.
1483~1536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금서헌(琴書軒) - 권덕윤(權德潤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송암(松巖) 권호문(權好文)의 종형(從兄)으로 단양 훈도(丹陽訓導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금석지계(金石之契) - 금란지교(金蘭之交)
친구 사이의 굳은 우정을 이르는 말. 《역경(易經)》의 〈계사상전(繫辭上傳)〉에서 유래한 말로, 둘이 합심하면 그 단단하기가 능히 쇠를 자를 수 있고 우정의 아름다움은 난초의 향기와 같다는 뜻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금석지교(金石之交) - 금란지교(金蘭之交)
친구 사이의 굳은 우정을 이르는 말. 《역경(易經)》의 〈계사상전(繫辭上傳)〉에서 유래한 말로, 둘이 합심하면 그 단단하기가 능히 쇠를 자를 수 있고 우정의 아름다움은 난초의 향기와 같다는 뜻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금선(金仙) - 석가(釋迦)
B.C.6~B.C.4세기경 인도(印度)에서 활동한 불교의 창시자. 정반왕(淨飯王)의 아들로, 29세에 출가하여 6년 동안의 고행 끝에 깨달음을 얻은 후 인도 각지를 다니며 포교 활동을 함.
B.C.563?~B.C.483? 고대 , 기타지역 , 인명>기타인명>성현ㅣ인명>왕실>왕자
-
금선대(琴仙臺) - 탄금대(彈琴臺)
충청도 충주(忠州)의 견문산(犬門山)에 있는 절벽 바위. 신라 진흥왕(眞興王) 때 우륵(于勒)이 가야금을 탄주하던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하며, 임진왜란 때 신립(申砬)이 소서행장(小西行長)과 맞서 싸우다 전사한 곳이기도 함.
충청도>충주 , 유적>기타유적ㅣ지명>자연지명
-
금선진(金先進) - 김세량(金世良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진해(鎭海)ㆍ청도(淸道)의 현감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익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금성(錦城) - 성도(成都)
중국 사천성(四川省)의 성도(省都).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와 삼국시대(三國時代) 때 촉(蜀)의 수도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금성(錦城)@나주 - 나주(羅州)
전라남도 중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. 후백제(後百濟)를 세운 견훤(甄萱)의 본거지였고, 고려 때에는 거란(契丹)의 침입 당시 현종(顯宗)의 피난처였음.
전라도>나주 , 지명>행정지명
-
금성(錦城)@금산 - 금산(錦山)
충청남도 남동쪽 끝에 있는 고을 이름. 조선시대까지는 전라도에 편입되어 있었음. 임진왜란 때 조헌(趙憲)과 영규(靈圭)가 이끄는 의병이 이곳에서 일본군과 싸우다가 모두 전사함.
전라도>금산 , 지명>행정지명
-
금성(金城) - 경주(慶州)
경상북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. 진한(辰韓)의 중심지이자 신라(新羅) 천년의 고도(古都).
경상도>경주 , 지명>행정지명
-
금성군(錦城君)@오신중 - 오신중(吳愼中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적개공신(敵愾功臣) 오자치(吳自治)의 아버지로, 이조 참판(吏曹參判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금성군(錦城君) - 나영걸(羅英傑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조일신(趙日新)의 난 때 판밀직사사(判密直司事)에 올랐으나, 조일신이 처형당하자 그 당류로 지목되어 장류(杖流)당함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금성군(錦城君)@양동재 - 양동재(梁棟材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제주(濟州). 좌부승지(左副承旨)를 지낸 양준(梁遵)의 아들로, 문과에 급제하여 대제학(大提學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제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금성군(錦城君)@금성대군 - 금성대군(錦城大君)
조선 제4대 세종(世宗)의 여섯째 아들. 태조(太祖)의 여덟째 아들인 의안대군(宜安大君) 이방번(李芳蕃)의 후사로 출계함. 수양대군(首陽大君)에 맞서 조카 단종(端宗)을 보호하다가 삭녕(朔寧)에 유배된 후, 단종복위를 모의한 일이 실패하여 처형당함.
1426~145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금성군(錦城君)@나익희 - 나익희(羅益禧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목왕(忠穆王) 때의 무신. 충선왕(忠宣王)이 신법을 제정할 때 반대하다가 면직되었으나 10년 뒤 상의평리(商議評理)에 올라 금성군(錦城君)에 봉해짐.
?~1344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무신
-
금성박씨(錦城朴氏) - 반남박씨(潘南朴氏)
고려시대 반남 호장(潘南戶長)을 지낸 박응주(朴應珠)를 시조로 하고, 금천부원군(錦川府院君) 박은(朴訔)을 중시조로 하여 성립한 성씨.
한국>고려시대 , 전라도>나주 , 인명>집단>성씨
-
금성부원군(錦城府院君) - 나총례(羅聰禮)
고려 태조(太祖)~정종(定宗) 때의 무신. 삼한벽상일등공신(三韓壁上一等功臣)의 호를 받고 금성부원군(錦城府院君)에 봉해짐. 금성나씨(錦城羅氏)의 시조.
한국>고려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금성부원군(錦城府院君)@박용 - 박용(朴墉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인종(仁宗)의 장인. 딸이 세자빈(世子嬪)에 책봉되자 종친부 전첨(宗親府典籤)이 되었고, 후에 금성부원군(錦城府院君)에 추봉됨.
1468~152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금성부정(錦城副正) - 이의(李儀)
조선 전기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. 성종(成宗)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(益陽君) 이회(李懷)의 손자이며 이수효(李壽㹲)의 아들로, 금성부정(錦城副正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