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금성(金城) - 경주(慶州)
경상북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. 진한(辰韓)의 중심지이자 신라(新羅) 천년의 고도(古都).
경상도>경주 , 지명>행정지명
-
금성군(錦城君)@오신중 - 오신중(吳愼中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적개공신(敵愾功臣) 오자치(吳自治)의 아버지로, 이조 참판(吏曹參判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금성군(錦城君) - 나영걸(羅英傑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조일신(趙日新)의 난 때 판밀직사사(判密直司事)에 올랐으나, 조일신이 처형당하자 그 당류로 지목되어 장류(杖流)당함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금성군(錦城君)@양동재 - 양동재(梁棟材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제주(濟州). 좌부승지(左副承旨)를 지낸 양준(梁遵)의 아들로, 문과에 급제하여 대제학(大提學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제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금성군(錦城君)@금성대군 - 금성대군(錦城大君)
조선 제4대 세종(世宗)의 여섯째 아들. 태조(太祖)의 여덟째 아들인 의안대군(宜安大君) 이방번(李芳蕃)의 후사로 출계함. 수양대군(首陽大君)에 맞서 조카 단종(端宗)을 보호하다가 삭녕(朔寧)에 유배된 후, 단종복위를 모의한 일이 실패하여 처형당함.
1426~145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금성군(錦城君)@나익희 - 나익희(羅益禧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목왕(忠穆王) 때의 무신. 충선왕(忠宣王)이 신법을 제정할 때 반대하다가 면직되었으나 10년 뒤 상의평리(商議評理)에 올라 금성군(錦城君)에 봉해짐.
?~1344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무신
-
금성박씨(錦城朴氏) - 반남박씨(潘南朴氏)
고려시대 반남 호장(潘南戶長)을 지낸 박응주(朴應珠)를 시조로 하고, 금천부원군(錦川府院君) 박은(朴訔)을 중시조로 하여 성립한 성씨.
한국>고려시대 , 전라도>나주 , 인명>집단>성씨
-
금성부원군(錦城府院君) - 나총례(羅聰禮)
고려 태조(太祖)~정종(定宗) 때의 무신. 삼한벽상일등공신(三韓壁上一等功臣)의 호를 받고 금성부원군(錦城府院君)에 봉해짐. 금성나씨(錦城羅氏)의 시조.
한국>고려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금성부원군(錦城府院君)@박용 - 박용(朴墉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인종(仁宗)의 장인. 딸이 세자빈(世子嬪)에 책봉되자 종친부 전첨(宗親府典籤)이 되었고, 후에 금성부원군(錦城府院君)에 추봉됨.
1468~152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금성부정(錦城副正) - 이의(李儀)
조선 전기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. 성종(成宗)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(益陽君) 이회(李懷)의 손자이며 이수효(李壽㹲)의 아들로, 금성부정(錦城副正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금성생원(金城生員) - 이석명(李碩明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성주(星州)로, 이민선(李敏善)의 아버지. 정유길(鄭惟吉)ㆍ박순(朴淳)ㆍ구사맹(具思孟) 등과 교유하였고, 덕천 군수(德川郡守) 등을 지냄.
1513~158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금성재(琴惺齋) - 금난수(琴蘭秀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봉화(奉化)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장예원 사평(掌隸院司評)ㆍ봉화 현감(奉化縣監) 등을 지내고, 귀향한 뒤에는 퇴계 학문을 강구함.
1530~160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금성정씨(錦城丁氏) - 나주정씨(羅州丁氏)
중국 당(唐) 나라 대상(大相)으로 신라에 귀화한 정덕성(丁德盛)을 도시조(都始祖)로 삼고, 고려 때 검교대장군(檢校大將軍)을 지낸 정윤종(丁允宗)을 중시조(中始祖)로 하는 성씨.
한국>통일신라 , 전라도>나주 , 인명>집단>성씨
-
금속(金粟) - 유마힐(維摩詰)
석가(釋迦)의 속제자(俗弟子). 인도 비사리국(毗舍離國)의 장자(長者)로, 속가에 있으면서 보살(菩薩)의 행업을 닦았으며, 그 수행이 높아서 불자제로도 미칠 수 없었다고 함.
고대 , 기타지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금속여래(金粟如來) - 유마힐(維摩詰)
석가(釋迦)의 속제자(俗弟子). 인도 비사리국(毗舍離國)의 장자(長者)로, 속가에 있으면서 보살(菩薩)의 행업을 닦았으며, 그 수행이 높아서 불자제로도 미칠 수 없었다고 함.
고대 , 기타지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금손(金孫) - 이금손(李金孫)
조선 전기의 종친. 정종(定宗)의 현손(玄孫)이며, 석보정(石保正) 이복생(李福生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금손(金孫)@윤금손 - 윤금손(尹金孫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윤지강(尹之岡)의 아들로,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참여한 공으로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찬성(贊成) 등을 역임함.
1458~1548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금수(錦峀) - 금성산(錦城山)
전라도 나주(羅州)의 진산(鎭山). 나주의 북쪽 5리에 위치하며, 흥룡사(興龍寺) 등의 사찰이 있음.
전라도>나주 , 지명>자연지명
-
금수(錦水) - 금강(錦江)
전라북도 장수(長水)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흘러 군산만(群山灣)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. 우리나라 6대 하천의 하나.
전라도>장수 , 지명>자연지명
-
금수(錦水)@금계 - 금계(錦溪)
경상북도 풍기에 있는 고을 이름. 예로부터 인삼과 사과가 유명함. 현재 지명은 금계(錦鷄).
경상도>풍기 , 지명>행정지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