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금역당(琴易堂) - 배용길(裵龍吉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흥해(興海). 홍문관 부교리(弘文館副校理) 배삼익(裵三益)의 아들로, 김성일(金誠一)의 문인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의병(義兵)으로 활약하였고, 정유재란(丁酉再亂) 때 화의(和議)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림.
1556~160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금역당선생문집(琴易堂先生文集) - 금역당집(琴易堂集)
조선 후기의 문신인 배용길(裵龍吉)의 시문집. 7권 4책. 후손 배선원(裵善源)ㆍ배선하(裵善河) 형제가 유고를 정리하고, 종인(宗人) 배욱주(裵郁周) 등이 목판으로 간행함.
185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문헌>서명
-
금오(金烏) - 길재(吉再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이색(李穡)ㆍ정몽주(鄭夢周)ㆍ권근(權近) 등에게 수학하였고, 이색ㆍ정몽주와 함께 고려의 삼은(三隱)으로 일컬어짐.
1353~1419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금오(金鰲) - 경주(慶州)
경상북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. 진한(辰韓)의 중심지이자 신라(新羅) 천년의 고도(古都).
경상도>경주 , 지명>행정지명
-
금오거사(金鰲居士) - 김시습(金時習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학자ㆍ문인. 본관은 강릉(江陵). 생육신(生六臣)의 한 사람으로 한문소설 《금오신화(金鰲新話)》를 지음. 주기론적(主氣論的) 입장에서 불교와 도교를 비판, 흡수하여 자신의 철학을 완성시킴.
1435~1493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부여ㅣ경상도>경주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
-
금오대(金吾臺) - 사헌부(司憲府)
고려 및 조선시대에 정치에 대한 언론 활동, 풍속의 교정, 백관(百官)에 대한 규찰과 탄핵, 서경(署經) 등을 담당한 관청.
한국>조선시대ㅣ한국>고려시대 , 법제>관청
-
금오산인(金烏山人) - 길재(吉再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이색(李穡)ㆍ정몽주(鄭夢周)ㆍ권근(權近) 등에게 수학하였고, 이색ㆍ정몽주와 함께 고려의 삼은(三隱)으로 일컬어짐.
1353~1419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금오일민(金烏逸民) - 길재(吉再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이색(李穡)ㆍ정몽주(鄭夢周)ㆍ권근(權近) 등에게 수학하였고, 이색ㆍ정몽주와 함께 고려의 삼은(三隱)으로 일컬어짐.
1353~1419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금오자(金烏子) - 길재(吉再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이색(李穡)ㆍ정몽주(鄭夢周)ㆍ권근(權近) 등에게 수학하였고, 이색ㆍ정몽주와 함께 고려의 삼은(三隱)으로 일컬어짐.
1353~1419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금와(金蛙) - 금와왕(金蛙王)
고구려 동명성왕(東明聖王)의 설화에 등장하는 동부여(東扶餘)의 왕. 부여왕 해부루(解夫婁)에게 발견되어 태자가 되었으며, 해모수(解慕漱)와 사통(私通)한 하백(河伯)의 딸 유화(柳花)를 아내로 맞음.
고대 , 인명>왕실>국왕
-
금용(金用) - 장금용(張金用)
고려 전기의 무신. 인동장씨(仁同張氏)의 시조로, 신호위 상장군(神虎衛上將軍)을 지내고 벽상공신(壁上功臣)으로 책록됨. 옥계사(玉溪祠)에 배향됨.
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인동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금원(錦原) - 금원군(錦原君)
조선 제11대 중종(中宗)의 아들. 어머니는 홍경주(洪景舟)의 딸인 희빈홍씨(熙嬪洪氏). 사옹원(司甕院)ㆍ종부시(宗簿寺) 등의 도제조를 지냄.
1513~1562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금원(金源) - 금(金)
여진족(女眞族)인 완안부(完顔部)의 추장 아골타(阿骨打)가 세운 중국의 정복 왕조(征服王朝). 9대 120년간 존속.
1115~1234 중국>금 , 중국 , 시간>국명
-
금원군(錦原君)@정응두 - 정응두(丁應斗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병조 판서(兵曹判書)를 지낸 정옥형(丁玉亨)의 아들로, 좌찬성(左贊成)ㆍ판중추부사(判中樞府事) 등을 지냄.
1508~1572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금원씨(金源氏) - 금(金)
여진족(女眞族)인 완안부(完顔部)의 추장 아골타(阿骨打)가 세운 중국의 정복 왕조(征服王朝). 9대 120년간 존속.
1115~1234 중국>금 , 중국 , 시간>국명
-
금은(琴隱) - 박성양(朴成陽)
고려 말~조선 초의 무신. 박윤후(朴允厚)의 아들. 정몽주(鄭夢周)의 문인(門人)으로, 태조(太祖) 때 왜구를 물리치고, 세종(世宗) 때 이종무(李從茂)를 따라 대마도(對馬島)를 정벌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무신
-
금인(金人) - 석가(釋迦)
B.C.6~B.C.4세기경 인도(印度)에서 활동한 불교의 창시자. 정반왕(淨飯王)의 아들로, 29세에 출가하여 6년 동안의 고행 끝에 깨달음을 얻은 후 인도 각지를 다니며 포교 활동을 함.
B.C.563?~B.C.483? 고대 , 기타지역 , 인명>기타인명>성현ㅣ인명>왕실>왕자
-
금재(琴齋) - 강한(姜漢)
조선 성종(成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학자ㆍ서예가. 본관은 진주(晉州). 학행과 뛰어나고 필법(筆法)이 정묘했으며, 모재(慕齋) 김안국(金安國)과 교유함. 문하(門下)에서 정옥견(鄭玉堅)ㆍ권오복(權五福)ㆍ정사룡(鄭士龍) 등이 배출되었음.
1454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산음ㅣ서울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금재(琴齋)@이장곤 - 이장곤(李長坤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벽진(碧珍). 김굉필(金宏弼)의 문인으로, 중종 때 창성(昌城)에 침입한 야인(野人)을 격파하고 우찬성(右贊成) 등을 역임하였으며,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조광조(趙光祖) 등의 처형을 반대하다가 삭탈관직됨.
1474~151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ㅣ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금저(錦渚) - 금강(錦江)
전라북도 장수(長水)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흘러 군산만(群山灣)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. 우리나라 6대 하천의 하나.
전라도>장수 , 지명>자연지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