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금천부정(錦川副正)@이보 - 이보(李俌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아홉 번째 서자인 경명군(景明君) 이침(李忱)의 손자이며 안남군(安南君) 이수련(李壽鍊)의 장남.
1537~1594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금천부정(錦川副正) - 이변(李抃)
조선 전기의 종친. 우산군(牛山君) 이종(李踵)의 아들로, 갑자사화(甲子士禍)에 연루되어 아버지를 비롯하여 여섯 형제가 모두 사사되었으나, 중종반정(中宗反正)으로 신원됨.
?~150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금천수(錦川守) - 이감(李瑊)@이집의아들
조선 전기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. 희안수(喜安守) 이집(李輯)의 아들이며, 의정부 사인(議政府舍人) 이성중(李誠中)ㆍ예조 정랑(禮曹正郞) 이경중(李敬中)ㆍ사간원 헌납(司諫院獻納) 이양중(李養中)의 아버지.
1515~1559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금탄사문(金灘斯文) - 이연경(李延慶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홍문관 교리(弘門館校理)로 재직할 때 조광조(趙光祖)를 재상으로 천거하였으며, 인품이 높고 학문과 식견이 뛰어나 문하에서 인재들이 배출됨.
1484~154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금파(金坡) - 금란파(金鑾坡)
한림원(翰林院)의 별칭. 중국 당(唐) 나라 덕종(德宗) 때 학사원(學士院)을 금란전(金鑾殿) 옆 금란파(金鑾坡) 위로 옮긴 것에서 유래함. 조선시대에는 홍문관(弘文館)을 뜻함.
중국>당 , 중국 , 유적>건물>기타건물
-
금헌(琴軒)@남치원 - 남치원(南致元)
조선 성종(成宗)의 부마. 본관은 의령(宜寧). 성종(成宗)의 넷째 딸 경순옹주(慶順翁主)를 맞아들여 의성위(宜城尉)에 봉해졌음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인척
-
금헌(琴軒)@유방택 - 유방택(柳方澤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서산(瑞山). 판서운관사(判書雲觀事)를 지내고, 송곡서원(松谷書院)에 제향됨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금헌(琴軒) - 김뉴(金紐)@1420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김중엄(金仲淹)의 아들로, 대사헌(大司憲)ㆍ이조 참판(吏曹參判) 등을 역임했으며, 시(詩)ㆍ서(書)ㆍ금(琴)에 모두 뛰어났음.
1420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금헌(琴軒)@이장곤 - 이장곤(李長坤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벽진(碧珍). 김굉필(金宏弼)의 문인으로, 중종 때 창성(昌城)에 침입한 야인(野人)을 격파하고 우찬성(右贊成) 등을 역임하였으며,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조광조(趙光祖) 등의 처형을 반대하다가 삭탈관직됨.
1474~151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ㅣ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금헌거사(琴軒居士) - 김뉴(金紐)@1420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김중엄(金仲淹)의 아들로, 대사헌(大司憲)ㆍ이조 참판(吏曹參判) 등을 역임했으며, 시(詩)ㆍ서(書)ㆍ금(琴)에 모두 뛰어났음.
1420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금헌선생실기(琴軒先生實記) - 금헌집(琴軒集)
조선 중종(中宗) 때 문신인 이장곤(李長坤)의 문집. 1권 1책. 문집의 서(序)는 채제공(蔡濟恭), 발(跋)은 안정복(安鼎福)이 지음. 시(詩) 6수와 문(文) 1편이 있음.
1784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금협지(琴夾之) - 금응협(琴應夾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으로, 유일(遺逸)로 뽑혀 6품직을 초수(超授)하고 하양 현감(河陽縣監) 등을 지냄.
1526~159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금호(擒虎) - 한금호(韓擒虎)
중국 남북조시대 북주(北周)~수(隋) 나라 문제(文帝) 때의 장군. 영주 자사(永州刺史)ㆍ화주 자사(和州刺史) 등을 지냄. 진(陳) 나라를 정벌하여 후주(後主)를 사로잡은 공으로 상주국(上柱國)에 봉해지고, 양주 총관(凉州摠管)이 되었으나 곧 죽음. 죽어서는 염라대왕(閻羅大王)이 되었다고 전해짐.
538~592 중국>수ㅣ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금호(琴湖)@김개 - 김개(金闓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좌의정(左議政)을 지낸 김귀영(金貴榮)의 아들. 좌윤(左尹)을 지내고, 허균(許筠)의 심복으로서 인목대비(仁穆大妃)의 폐비를 주장함. 허균이 역모 혐의로 처형당할 때 심문을 받다 장살(杖殺)됨.
1582~1618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금호(琴湖) - 이시민(李時敏)@조선
조선 단종(端宗)~성종(成宗) 때의 유학. 이승직(李繩直)의 아들이며, 용재(慵齋) 이종준(李宗準)의 아버지. 형인 이명민(李命敏)이 계유정난(癸酉靖難) 때 화를 당한 일로 인하여 안동(安東)의 금계촌(琴溪村)으로 낙향하여 은거함.
?~147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금호(錦湖)@강응황 - 강응황(姜應璜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내암(來庵) 정인홍(鄭仁弘)ㆍ한강(寒岡) 정구(鄭逑)의 문인. 임진왜란 때 창의(倡義)한 일로 유성룡의 추천을 받아, 병조 좌랑(兵曹佐郞)ㆍ예산 현감(禮山縣監)ㆍ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 등을 지냄.
1571~164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함양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금호(錦湖) - 임형수(林亨秀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택(平澤). 호당(湖堂)에 있을 때 이황(李滉)ㆍ김인후(金麟厚)와 교유함. 양재역 벽서사건(良才驛壁書事件)이 일어나자 대윤(大尹) 일파로 몰려 사사(賜死)됨.
1504~154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금호(金虎) - 조금호(趙金虎)
조선 세조(世祖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안(咸安)으로, 생육신(生六臣) 조려(趙旅)의 아들. 중종반정(中宗反正) 때 정국원종일등훈(靖國原從一等勳)을 받고, 내금위 장(內禁衛將) 등을 지냄.
1445~153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안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기타인명>공신
-
금화(金華)@황초평 - 황초평(黃初平)
중국 후한(後漢)~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 때의 신선. 15세 때 양(羊)을 먹이러 나갔다가 도사(道士)를 만나 금화산(金華山) 석실(石室)로 들어가 40년간 도를 닦고 신선이 되었다고 함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금화(金華) - 왕백(王柏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문인(門人)과 종유(從遊)하였고, 주희(朱熹)의 《경재잠(敬齋箴)》을 도식화(圖式化)함.
1197~1274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