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남산사(南山祠)
조선시대 경기도 개성(開城)에 있던 사당.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인 김이상(金履祥)을 배향함.
한국>조선시대 , 경기도>개성 , 유적>건물>사당
-
남상문(南尙文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령(宜寧). 명(明) 나라의 경리(經理) 양호(楊鎬)가 뛰어난 학식에 감동되어 그의 문하가 되었고, 고고한 품행으로 금오랑(金吾郞)에 등용됨.
1520~160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남서룡(南瑞龍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영양(英陽). 1522년(중종 17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 《무릉잡고(武陵雜稿)》에 주세붕(周世鵬)이 차운(次韻)한 시가 실려 있음.
1496~156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남섭원(南爕元)
조선 성종(成宗)의 부마. 본관은 의령(宜寧). 성종 때 우부승지를 지낸 남흔(南忻)의 아들로, 숙의김씨(淑儀金氏) 소생인 휘정옹주(徽靜翁主)와 혼인함. 경순옹주(慶順翁主)의 남편인 남치원(南致元)의 사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왕실>인척
-
남세건(南世健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《중종실록(中宗實錄)》과 《인종실록(仁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하고, 대사성(大司成)ㆍ호조 참판(戶曹參判)을 지냄.
1484~155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남세걸(南世傑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의령(宜寧). 생원(生員) 남헌(南獻)의 아들이자 남진(南軫)의 아버지. 최숙동(崔淑仝)의 딸과 결혼함.
?~152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문사>유학
-
남수문(南秀文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고성(固城). 집현전(集賢殿)ㆍ예문관(藝文館) 등에서 벼슬하며 세종의 여러 대군들에게 글을 가르침. 저서로 《경재유고(敬齋遺稿)》가 있음.
1408~144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남순민(南舜民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령(宜寧)., 충청도 수군절도사 남효원(南孝元)의 아들. 독서를 즐겨 책을 손에서 놓지 않았으며 역학(易學)에 정통했음.
1484~1569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남숭(南崧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령(宜寧). 1537년(중종 32)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 전적(成均館典籍)을 지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ㅣ경상도>영해 , 인명>관인>문신
-
남신신(南藎臣)
조선 종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영양(英陽). 선조(宣祖) 때의 학자인 남치형(南致亨)ㆍ남치리(南致利)의 아버지.
1505~155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남악창수집(南嶽倡酬集)
중국 송(宋) 나라 문신ㆍ학자인 임용중(林用中)의 문집. 저자와 주희ㆍ장식(張栻)이 형산(衡山)을 노닐면서 창화(倡和)한 시를 모은 것.
1166 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남양(南陽)
경기도 수원(水原)과 화성(華城) 일대의 옛 고을 이름. 조선 전기에 경기수군절도사영(京畿水軍節度使營)이 화량진(花梁鎭)에 설치되어 경기도 해안 방어의 중심지 역할을 함.
경기도>남양 , 지명>행정지명
-
남양계고요람(南陽稽古要覽)
조선 단종(端宗) 때의 호장(戶長) 송후(宋後) 등이 편찬한 지리서(地理書). 경기도 남양(南陽)의 연혁을 기록한 책으로, 생원 조중민(趙仲旻)이 교정하고 편집하였으며, 1455년(단종 3)에 완성함.
1455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문헌>서명
-
남양시집(南陽詩集)
고려 신종(神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인 백분화(白賁華)의 시집. 2권 1책. 목판본. 아들인 백희심(白希諗)이 편집ㆍ간행함.
1249 한국>고려후기 , 문헌>서명
-
남양홍씨(南陽洪氏)
중국 당(唐) 나라의 태학사(太學士)로 고구려(高句麗) 때 귀화한 홍천하(洪天河)를 시조로 하는 당홍(唐洪) 집안과, 고려 고종(高宗) 때의 금오위 별장(金吾衛別將) 홍선행(洪先幸)을 시조로 하는 토홍(土洪) 집안을 아울러 일컫는 성씨.
한국>고구려 , 경기도>남양 , 인명>집단>성씨
-
남언경(南彦經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의령(宜寧). 서경덕(徐敬德)의 문인으로 이황(李滉)의 이기이원론(理氣二元論)을 반박하고 양명학(陽明學) 체계를 완성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남언기(南彦紀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령(宜寧). 김인후(金麟厚)ㆍ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. 선조(宣祖) 초 영의정 이탁(李鐸)의 천거로 동몽교관(童蒙敎官)ㆍ빙고별좌(氷庫別坐)에 임명됨.
1534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동복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남연록(南延祿)
조선 후기의 유학. 유성룡(柳成龍)의 문하생으로, 풍악서당(豐岳書堂)을 병산(屛山)으로 이건(移建)할 때 일을 담당함. 유성룡의 《서애집(西厓集)》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남영(南嶸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의관ㆍ문신. 본관은 의령(宜寧). 남예석(南禮錫)의 아들. 유성룡(柳成龍)의 천거로 벼슬하여 선조 때 어의(御醫)를 지냈으며, 광해군 때 음죽 현감(陰竹縣監) 등을 지냄.
1548~161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문경 , 인명>기술인>의원ㅣ인명>관인>문신
-
남옥(藍玉)
중국 명(明) 나라의 장수. 원(元) 순제(順帝)의 아들인 익왕(益王) 탈고사첩목아(脫古思帖木兒)를 공격하여 멸망시키고 양국공(凉國公)에 책봉되었으나, 모반죄로 처형됨.
?~1393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