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기(墍) - 이기(李墍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. 이지란(李之蘭)의 아들로, 지돈녕부사(知敦寧府事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청백리(淸白吏)에 녹선됨.
1522~1600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기(岐) - 덕양군(德陽君)
조선 제11대 중종(中宗)의 다섯 번째 서자. 숙의이씨(淑儀李氏)의 소생으로, 음률(音律)에 밝았음.
1524~1581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왕자
-
기(巙) - 이기(李巙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이수장(李壽長)의 아들이며,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(門人)으로, 명종 때 진헌사(進獻使)가 되어 명(明) 나라에 다녀오고,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1493~1547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기(愭) - 허기(許愭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천(陽川). 전리 판서(典理判書)를 지낸 허금(許錦)의 아들로, 판봉상시사(判奉常寺事) 등을 지내고, 저서로 《매헌시집(梅軒詩集)》이 있음.
1365~1431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양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기(期) - 전기(田忌)
중국 춘추전국시대 제(齊) 나라의 장수. 월(越)ㆍ한(韓) 나라에 정벌하러 온 위(魏) 나라를 대파하고 위 나라 태자를 사로잡아 공을 세움. 재상 추기(鄒忌)와의 불화로 초(楚) 나라로 달아났다가 선왕(宣王)이 즉위하자 제 나라로 돌아와 복직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기(棄) - 후직(后稷)
중국 주(周) 왕조의 전설적 시조. 성은 희(姬)이고 이름은 기(棄). 농경신(農耕神)으로, 제곡(帝嚳)의 아내가 된 강원(姜嫄)이 거인의 발자국을 밟고 잉태하여 낳았다고 함. 후에 요제(堯帝)의 농관(農官)이 됨.
고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기(沂) - 안기(安沂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탐진(耽津). 안극가(安克家)의 아버지로, 행기도 찰방(行麒道察訪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강진 , 인명>관인>문신
-
기(沂)@유후의아들 - 유기(柳沂)@유후의아들
고려 공양왕(恭讓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서산(瑞山). 이방원(李芳遠)이 방간(芳幹)의 난을 평정하고 왕위에 오르는 데 협력하여 익대좌명공신(翊戴佐命功臣)에 책록되었으나, 민무구(閔無垢)ㆍ민무질(閔無疾)의 옥사에 연루되어 유배ㆍ처형됨.
?~1410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기(沂)@유용의손자 - 유기(柳沂)@유용의손자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선산(善山). 전라우도 수사(全羅右道水使)를 지낸 유용(柳墉)의 손자로, 현령(縣令)ㆍ감찰(監察)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기(沂)@최기 - 최기(崔沂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해주 목사(海州牧使)를 지낼 때 박희일(朴希一) 등을 무고죄로 처형함으로써 이이첨(李爾瞻)의 미움을 받아 옥사(獄死)함. 뒤에 다시 대역죄로 부관참시(剖棺斬屍)되었다가 인조(仁祖) 때 신원됨.
1553~1616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기(淇) - 김기(金淇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성석린(成石璘)과 교유하고, 종부 판사(宗簿判事)를 지냈으며, 세조 때 원종공신(原從功臣)으로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기(淇)@남기 - 남기(南淇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의령(宜寧). 통정대부(通政大夫)를 지낸 남상문(南尙文)의 아버지로, 돈녕 참봉(敦寧參奉)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관인>문신
-
기(琦)@황기 - 황기(黃琦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원(昌原)으로, 공조 판서 황형(黃衡)의 아들. 김안로(金安老)의 천거로 대사간에 올랐지만 그의 청탁을 거부하여 길주 목사(吉州牧使)로 좌천되고, 다시 발탁된 뒤 경기 감사(京畿監司)로 재임 중에 사망함.
1498~153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원 , 인명>관인>문신
-
기(琦)@황보기 - 황보기(皇甫琦)
고려 고종(高宗)~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천(永川). 고종 때 대장군으로 몽고에 사신으로 다녀왔고, 원종(元宗)이 원 나라에서 환국할 때 어가(御駕)를 제때 봉영(奉迎)하지 않았다가 힐책을 당함. 문하시랑 평장사(門下侍郞平章事)로 치사(致仕)함.
?~1285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기(琦) - 이기(李琦)
조선 전기의 종친. 정종(定宗)의 5세손이며, 함라수(咸羅守) 이효원(李孝元)의 셋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기(璣) - 김기(金璣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원주 목사(原州牧使) 김태경(金泰卿)의 아들이자 예조 판서(禮曹判書) 김인손(金麟孫)의 아버지로, 진안 현감(鎭安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기(璣)@안기 - 안기(安璣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. 안지귀(安知歸)의 아들이자, 안처순(安處順)의 아버지로, 성균관 전적(成均館典籍) 등을 지냄.
1451~1497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기(畿) - 경기(京畿)
한반도 중앙의 서쪽에 위치한, 서울을 둘러싸고 있는 도(道) 이름. 조선시대 팔도(八道)의 하나.
경기도 , 지명>행정지명
-
기(祈) - 윤기(尹祈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원(南原)으로, 승문원 판교(承文院判校) 윤강원(尹剛元)의 아들. 성균관 유생(儒生)으로서 을사사화(乙巳士禍) 공신호(功臣號)의 삭훈(削勳)을 상소하고, 임진왜란(壬辰倭亂)에는 세자를 시종함.
1535~1607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기(祺)@김기 - 김기(金祺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문인화가. 본관은 연안(延安). 좌의정(左議政)을 지낸 김안로(金安老)의 아들로, 이조 좌랑(吏曹佐郞)을 지냄.
1509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