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기(淇) - 김기(金淇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성석린(成石璘)과 교유하고, 종부 판사(宗簿判事)를 지냈으며, 세조 때 원종공신(原從功臣)으로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기(淇)@남기 - 남기(南淇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의령(宜寧). 통정대부(通政大夫)를 지낸 남상문(南尙文)의 아버지로, 돈녕 참봉(敦寧參奉)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관인>문신
-
기(琦)@황기 - 황기(黃琦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원(昌原)으로, 공조 판서 황형(黃衡)의 아들. 김안로(金安老)의 천거로 대사간에 올랐지만 그의 청탁을 거부하여 길주 목사(吉州牧使)로 좌천되고, 다시 발탁된 뒤 경기 감사(京畿監司)로 재임 중에 사망함.
1498~153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원 , 인명>관인>문신
-
기(琦)@황보기 - 황보기(皇甫琦)
고려 고종(高宗)~충렬왕(忠烈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천(永川). 고종 때 대장군으로 몽고에 사신으로 다녀왔고, 원종(元宗)이 원 나라에서 환국할 때 어가(御駕)를 제때 봉영(奉迎)하지 않았다가 힐책을 당함. 문하시랑 평장사(門下侍郞平章事)로 치사(致仕)함.
?~1285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기(琦) - 이기(李琦)
조선 전기의 종친. 정종(定宗)의 5세손이며, 함라수(咸羅守) 이효원(李孝元)의 셋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기(璣) - 김기(金璣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원주 목사(原州牧使) 김태경(金泰卿)의 아들이자 예조 판서(禮曹判書) 김인손(金麟孫)의 아버지로, 진안 현감(鎭安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기(璣)@안기 - 안기(安璣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. 안지귀(安知歸)의 아들이자, 안처순(安處順)의 아버지로, 성균관 전적(成均館典籍) 등을 지냄.
1451~1497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기(畿) - 경기(京畿)
한반도 중앙의 서쪽에 위치한, 서울을 둘러싸고 있는 도(道) 이름. 조선시대 팔도(八道)의 하나.
경기도 , 지명>행정지명
-
기(祈) - 윤기(尹祈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원(南原)으로, 승문원 판교(承文院判校) 윤강원(尹剛元)의 아들. 성균관 유생(儒生)으로서 을사사화(乙巳士禍) 공신호(功臣號)의 삭훈(削勳)을 상소하고, 임진왜란(壬辰倭亂)에는 세자를 시종함.
1535~1607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기(祺)@김기 - 김기(金祺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문인화가. 본관은 연안(延安). 좌의정(左議政)을 지낸 김안로(金安老)의 아들로, 이조 좌랑(吏曹佐郞)을 지냄.
1509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기(祺)@권기 - 권기(權祺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권억(權憶)의 아들로, 1519년(중종 14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여 승지(承旨) 등을 지냄.
1495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기(祺) - 이기(李祺)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아홉 번째 서자인 영해군(寧海君) 이당(李塘)의 손자. 기묘명현(己卯名賢) 중 한 사람으로, 조광조(趙光祖)와 도의(道義)로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기(箕) - 기성(箕星)
이십팔수(二十八宿) 중 일곱째 별자리의 별들. 동방에 있으며 키[箕] 모양을 하고 있음.
자연물>천체
-
기(箕)@민기 - 민기(閔箕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으로, 김안국(金安國)의 문인. 《중종실록(中宗實錄)》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, 당대의 문장가로서 이름이 높았음.
1504~1568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기(紀)@김기 - 김기(金紀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으로, 대사간을 지낸 김숭조(金崇祖)의 아들. 홍문관 전한(典翰)을 지낸 뒤 조졸(早卒)함. 김인후(金麟厚)의 《하서전집(河西全集)》에 만시(挽詩) 두 편이 실려 있음.
1500~153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기(紀)@인기 - 인기(印紀)
조선 전기의 유학. 하서(河西) 김인후(金麟厚)와 교유하여 김인후가 그에게 준 증별시가 《하서선생전집(河西先生全集)》에 보임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기(紀) - 한기(韓紀)
조선 성종(成宗)의 부마(駙馬). 본관은 청주(淸州). 한형윤(韓亨允)의 아들로, 성종의 열 번째 서녀(庶女)인 정혜옹주(靜惠翁主)와 혼인함.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안산(安山)에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(中宗反正) 후 복관(復官)됨.
1490~1558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왕실>인척
-
기(紀)@권기 - 권기(權紀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학자. 권호문(權好文)의 문인(門人)으로, 김성일(金誠一)ㆍ유성룡(柳成龍)에게서도 배웠음. 육경(六經)에 통달하고, 예문(禮文)ㆍ법률ㆍ지리 등에도 박식했음.
1546~162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
-
기(耆)@탁기 - 탁기(卓耆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지현사(知縣事) 탁사준(卓思俊)의 둘째 아들이고, 탁지(卓智)의 동생이며, 탁성손(卓成孫)ㆍ탁성윤(卓成胤)의 아버지. 종숙(從叔) 탁함(卓諴)에게 출계(出系)하였으며, 도사(都事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무신
-
기(耆) - 이기(李耆)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(利城君) 이관(李慣)의 손자이자, 운성군(雲城君) 이수철(李壽鐵)의 아들로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세자인 광해군(光海君)을 호종한 공으로 위성공신(衛聖功臣)에 책록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왕실>종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