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기(祺)@권기 - 권기(權祺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권억(權憶)의 아들로, 1519년(중종 14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여 승지(承旨) 등을 지냄.
1495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기(祺) - 이기(李祺)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아홉 번째 서자인 영해군(寧海君) 이당(李塘)의 손자. 기묘명현(己卯名賢) 중 한 사람으로, 조광조(趙光祖)와 도의(道義)로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기(箕) - 기성(箕星)
이십팔수(二十八宿) 중 일곱째 별자리의 별들. 동방에 있으며 키[箕] 모양을 하고 있음.
자연물>천체
-
기(箕)@민기 - 민기(閔箕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으로, 김안국(金安國)의 문인. 《중종실록(中宗實錄)》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, 당대의 문장가로서 이름이 높았음.
1504~1568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기(紀)@김기 - 김기(金紀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으로, 대사간을 지낸 김숭조(金崇祖)의 아들. 홍문관 전한(典翰)을 지낸 뒤 조졸(早卒)함. 김인후(金麟厚)의 《하서전집(河西全集)》에 만시(挽詩) 두 편이 실려 있음.
1500~153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기(紀)@인기 - 인기(印紀)
조선 전기의 유학. 하서(河西) 김인후(金麟厚)와 교유하여 김인후가 그에게 준 증별시가 《하서선생전집(河西先生全集)》에 보임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기(紀) - 한기(韓紀)
조선 성종(成宗)의 부마(駙馬). 본관은 청주(淸州). 한형윤(韓亨允)의 아들로, 성종의 열 번째 서녀(庶女)인 정혜옹주(靜惠翁主)와 혼인함.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안산(安山)에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(中宗反正) 후 복관(復官)됨.
1490~1558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왕실>인척
-
기(紀)@권기 - 권기(權紀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학자. 권호문(權好文)의 문인(門人)으로, 김성일(金誠一)ㆍ유성룡(柳成龍)에게서도 배웠음. 육경(六經)에 통달하고, 예문(禮文)ㆍ법률ㆍ지리 등에도 박식했음.
1546~162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
-
기(耆)@탁기 - 탁기(卓耆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지현사(知縣事) 탁사준(卓思俊)의 둘째 아들이고, 탁지(卓智)의 동생이며, 탁성손(卓成孫)ㆍ탁성윤(卓成胤)의 아버지. 종숙(從叔) 탁함(卓諴)에게 출계(出系)하였으며, 도사(都事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무신
-
기(耆) - 이기(李耆)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(利城君) 이관(李慣)의 손자이자, 운성군(雲城君) 이수철(李壽鐵)의 아들로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세자인 광해군(光海君)을 호종한 공으로 위성공신(衛聖功臣)에 책록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왕실>종친
-
기(芑) - 이기(李芑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덕수(德水). 이의무(李宜茂)의 아들로, 명종 때 윤원형(尹元衡) 등 소윤(小尹) 일파와 손잡고 을사사화(乙巳士禍)를 일으킴. 보익공신(輔翼功臣)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.
1476~1552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기(裿) - 유기(柳裿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豐山). 원주 목사(原州牧使) 유운룡(柳雲龍)의 둘째 아들로, 권호문(權好文)에게 《논어(論語)》를 배웠으며, 낭천 현감(狼川縣監)을 역임함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기(記) - 예기(禮記)
예(禮)의 이론과 실제를 풀이한 유교 경전. 전한(前漢) 무제(武帝) 때 유덕(劉德)이 공자와 그 후학들이 지은 131편의 책을 모아 정리한 뒤, 유향(劉向)이 214편으로 엮고, 대덕(戴德)이 85편으로, 대성(戴聖)이 49편으로 간추림. 대성이 편찬한 《소대례(小戴禮)》가 현존하는 《예기(禮記)》임.
중국>전한 , 중국 , 문헌>서명
-
기(誋) - 김기(金誋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光州). 김신동(金神童)의 아들로, 1549(명종 4) 식년시(式年試) 병과(丙科)에 급제하였으며, 형조 정랑(刑曹正郞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기(起)@서기 - 서기(徐起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이천(利川). 제자백가(諸子百家)와 기술이론에 통달하였으며, 이지함(李之菡)을 사사하고 함께 각지를 유랑하며 민속과 학문을 연구하였음. 이소재(履素齋) 이중호(李仲虎)의 문인.
1523~1591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홍주ㅣ충청도>공주 , 인명>문사>학자
-
기(起) - 양기(楊起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귀화인. 본래 원(元) 나라의 대부로 도첨의시중(都僉議侍中)을 지냈고, 노국대장공주(魯國大長公主)를 따라 고려에 왔다가 귀화함. 청주양씨(淸州楊氏)의 시조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귀화인ㅣ인명>관인>문신
-
기(麒)@남기 - 남기(南麒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영양(英陽). 선조(宣祖) 때의 학자 남몽오(南夢鰲)의 아버지로, 기자전 참봉(箕子殿參奉)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기(麒)@허기 - 허기(許麒)
고려 말의 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평장사(平章事)를 지냈으며, 두문동(杜門洞) 현인의 한 사람으로 경상도 고성(固城)의 도연서원(道淵書院)에 배향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김해 , 인명>관인>문신
-
기(麒)@노기 - 노기(盧麒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강(安康). 권문해(權文海)ㆍ구봉령(具鳳齡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기(麒) - 이기(李麒)
조선 후기의 종친. 형조 참판(刑曹參判) 박민헌(朴民獻)의 서녀(庶女)를 첩으로 맞이함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