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기남(期男) - 이기남(李期男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성(安城). 1568년(선조 1) 증광시(增廣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천안 군수(天安郡守)ㆍ부윤(府尹) 등을 지내고, 조헌(趙憲)ㆍ정철(鄭澈) 등과 교유함.
1535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기내군기시화약고기(畿內軍器寺火藥庫記) - 화약고기(火藥庫記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인 정이오(鄭以吾)가 지은 조선시대 무기에 관한 저서. 《교은집(郊隱集)》에 실려 있으며, 최무선(崔武宣)의 아들 최해산(崔海山)이 군기시 부정(軍器寺副正)으로 있으면서 화포무기 제작에 관여했다고 함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기내헌(奇乃獻) - 기윤헌(奇允獻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행주(幸州)로, 대사헌을 지낸 기대항(奇大恒)의 손자. 형 기자헌(奇自獻)이 폐모론에 반대하다 유배될 때 함께 유배되었으며, 이괄(李适)의 난이 일어났을 때 장살됨.
1575~1624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관인>문신
-
기년(耆年) - 박기년(朴耆年)
조선 문종(文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천(順天). 이조 판서를 지낸 박중림(朴仲林)의 아들로, 단종(端宗) 복위를 도모하다가 여러 형제들과 함께 대역죄로 처형됨.
?~145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기달(怾怛) - 금강산(金剛山)
강원도 고성군ㆍ금강군ㆍ통천군의 경계에 있는 산. 예로부터 삼신산(三神山)의 하나로 꼽히고, 계절에 따라 봉래산(蓬萊山)ㆍ풍악산(楓嶽山)ㆍ개골산(皆骨山)으로 불림.
강원도>통천ㅣ강원도>고성 , 지명>자연지명
-
기달산(怾怛山) - 금강산(金剛山)
강원도 고성군ㆍ금강군ㆍ통천군의 경계에 있는 산. 예로부터 삼신산(三神山)의 하나로 꼽히고, 계절에 따라 봉래산(蓬萊山)ㆍ풍악산(楓嶽山)ㆍ개골산(皆骨山)으로 불림.
강원도>통천ㅣ강원도>고성 , 지명>자연지명
-
기덕양(奇德陽) - 기준(奇遵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행주(幸州).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으로, 기묘명현(己卯名賢)의 한 사람. 기묘사화(己卯士禍)로 유배되고 신사무옥(辛巳誣獄) 때 교살됨.
1492~1521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기덕양유고(奇德陽遺稿) - 덕양유고(德陽遺稿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인 기준(奇遵)의 문집. 아들 기대항(奇大恒)이 영월 군수(寧越郡守)로 부임한 저자의 문생(門生) 박충원(朴忠元)에게 부탁하여 1544년(중종 39) 서문을 짓고 유포시킴.
1544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영월 , 문헌>서명
-
기덕우(奇德優) - 기대유(奇大有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행주(幸州)로, 기효간(奇孝諫)ㆍ기효근(奇孝謹)의 아버지. 고봉(高峰) 기대승(奇大升)의 사촌이며 김인후(金麟厚)와 교유함. 진용교위(進勇校尉)에 올랐고 고흥군(高興君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성 , 인명>관인>무신
-
기도(幾道)@안기도 - 안기도(晏幾道)
중국 송(宋) 나라 인종(仁宗)~휘종(徽宗) 때의 문인. 안수(晏殊)의 일곱째 아들로, 아버지와 함께 이안(二晏)이라 불림. 섬세하고 애상적인 시풍을 보임.
1031~1106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기도(幾道) - 조사연(趙師淵)
중국 송(宋) 효종(孝宗)~영종(寧宗) 때의 학자ㆍ문신. 송 왕조의 종실(宗室)로, 조사하(趙師夏)의 형. 주희(朱熹)의 문인(門人)으로 《자치통감강목(資治通鑑綱目)》 편찬에 참여하였음.
1150?~121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기도(幾道)@손처눌 - 손처눌(孫處訥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일직(一直). 정구(鄭逑)의 문인으로, 학문과 효행이 뛰어남. 왜란(倭亂)과 호란(胡亂) 때 창의하고, 난리 후에 향교 재건에 앞장섬. 대구(大邱) 청호서원(靑湖書院)에 배향됨.
1553~163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문사>학자
-
기도(箕都) - 조선(朝鮮)
우리나라 근세의 통일 왕조. 이성계(李成桂)가 신진 사대부(士大夫)의 추대를 받아 세운 나라로, 태조(太祖)에서 순종(純宗)까지 27대 519년간 존속.
1392~1910 한국>조선시대 , 시간>국명
-
기동(奇童) - 이필(李泌)
중국 당(唐) 나라의 재상. 어려서 신동(神童)으로 이름을 떨치고, 신선술(神仙術)에 탐닉하였으며, 현종(玄宗)ㆍ숙종(肅宗)ㆍ대종(代宗)ㆍ덕종(德宗) 네 황제에 걸쳐 국가 대사에 막중한 영향력을 행사함.
?~789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기로(企老) - 신광한(申光漢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대제학을 지낸 당대의 문장가.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위사공신(衛社功臣)이 되고, 우찬성(右贊成)으로 양관(兩館) 대제학을 겸했으며, 좌찬성(左贊成)을 지냄.
1484~1555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기로(耆老) - 황기로(黃耆老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명필. 본관은 덕산(德山). 사옹원 참봉(司饔院參奉) 황계옥(黃季沃)의 아들. 글씨에 능했는데, 특히 초서(草書)를 잘 써서 ‘초성(草聖)’으로 불렸으며 《근묵(槿墨)》 등에 작품을 남김.
1521~156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ㅣ충청도>덕산 , 인명>예술인>서화가
-
기로국(耆老局) - 기로소(耆老所)
조선시대에 나이가 많은 임금이나 70세가 넘은 고위 문신(文臣)들을 예우(禮遇)하기 위해 설치한 기구.
1394 한국>조선시대 , 법제>관청
-
기로당상관(耆老堂上官) - 기로당상(耆老堂上)
조선시대에 기로소(耆老所)에 소속된 70세가 넘은 정2품 이상의 문신(文臣)들을 일컫는 말. 이들은 나라의 원로로서, 명절이나 국가적 경사, 왕의 행차 때 함께 모여서 하례(賀禮)를 행하거나, 중요한 국사(國事)의 논의에 참여하여 왕의 자문에 응하기도 함.
한국>조선시대 , 법제>제도
-
기로사(耆老司) - 기로소(耆老所)
조선시대에 나이가 많은 임금이나 70세가 넘은 고위 문신(文臣)들을 예우(禮遇)하기 위해 설치한 기구.
1394 한국>조선시대 , 법제>관청
-
기로소당상(耆老所堂上) - 기로당상(耆老堂上)
조선시대에 기로소(耆老所)에 소속된 70세가 넘은 정2품 이상의 문신(文臣)들을 일컫는 말. 이들은 나라의 원로로서, 명절이나 국가적 경사, 왕의 행차 때 함께 모여서 하례(賀禮)를 행하거나, 중요한 국사(國事)의 논의에 참여하여 왕의 자문에 응하기도 함.
한국>조선시대 , 법제>제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