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기로재추소(耆老宰樞所) - 기로소(耆老所)
조선시대에 나이가 많은 임금이나 70세가 넘은 고위 문신(文臣)들을 예우(禮遇)하기 위해 설치한 기구.
1394 한국>조선시대 , 법제>관청
-
기리계(綺里季) - 오실(吳實)
중국 진(秦) 말~한(漢) 초의 은자. 진 나라의 폭정을 피해 상현 동산(商縣東山)에 숨은 상산사호(商山四皓)의 한 사람.
중국>전한ㅣ중국>진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
-
기리선(騎鯉仙) - 금고(琴高)
중국 주(周) 나라의 도사. 거문고를 잘 탔으며, 탁수(涿水)에서 잉어를 타고 나왔다가 한 달을 머무른 뒤 신선이 되어 돌아갔다고 함.
중국>주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도사
-
기린(麒麟) - 기린각(麒麟閣)
중국 한(漢) 나라 무제(武帝) 때 장안(長安)의 미앙궁(未央宮) 안에 세웠던 전각(殿閣)의 이름. 선제(宣帝) 때 곽광(霍光)ㆍ소무(蘇武) 등 11인의 공신(功臣) 초상을 이곳에 걸었던 데서, 공신각(功臣閣)을 대표하는 말로 쓰임.
중국>전한 , 중국 , 유적>건물>궁궐
-
기린(麒麟)@박기린 - 박기린(朴麒麟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월성(月城). 홍성민(洪聖民)의 《졸옹집(拙翁集)》에 시 〈증월성소동박기린(贈月城小童朴麒麟)〉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만성(萬成) - 이예(李芮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성(陽城). 집현전 박사(集賢殿博士)로 있을 때 세종의 총애를 받고, 《의방유취(醫方類聚)》ㆍ《고려사(高麗史)》등의 편찬에 참여함. 형조 판서 등을 지내고, 학식ㆍ문명이 높아 명망을 떨침.
1419~1480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만세(晩歲) - 노흠(盧欽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광주(光州)로, 조식(曺植)의 문인.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왜적과 싸운 공로로 별제(別提)ㆍ찰방(察訪) 등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음.
1527~160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삼가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만세암(萬歲庵) - 정혜사(淨惠寺)
통일신라 선덕왕(宣德王) 때 지어진 암자. 당(唐) 나라의 문신 백우경(白宇經)이 신라로 건너와 계림(鷄林) 자옥산(紫玉山) 아래에 만세암(萬歲庵)을 짓고 거처함. 선덕왕이 정혜사(淨惠寺)라고 이름을 고쳐 지어줌.
780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유적>건물>사찰
-
만송(晩松) - 안양군(安陽君)
조선 제9대 성종(成宗)의 셋째 아들.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연산군(燕山君)의 생모를 폐출(廢黜)시켰다는 이유로 어머니 귀인정씨(貴人鄭氏)와 동생 봉안군(鳳安君)과 함께 사사(死賜) 되었으나 1506년(중종 1)에 복직(復職)됨.
1480~150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만송강(萬松岡) - 강희맹(姜希孟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지돈녕부사 강석덕(姜碩德)의 아들. 뛰어난 문장가로, 경사(經史)와 전고(典故)에 통달하고 산수화에도 능함. 저서에 《금양잡록(衿陽雜錄)》ㆍ《사숙재집(私淑齋集)》 등이 있음.
1424~148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만송당(晩松堂) - 방순(方恂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온양(溫陽). 방언휘(方彦暉)의 아들로, 관찰사(觀察使)와 판전교시사(判典校寺事) 등을 역임함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만수(晩修) - 유강(兪絳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기계(杞溪)로, 예조 판서 유여림(兪汝霖)의 아들. 명종(明宗) 때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로서 사은사(謝恩使)가 되어 명(明) 나라에 다녀오고, 평안도 관찰사(平安道觀察使)ㆍ호조 판서(戶曹判書) 등을 지냄.
1510~1570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만수(滿水) - 두만강(豆滿江)
백두산(白頭山)에서 발원하여 한반도 북동부 지역을 거쳐 동해로 흘러드는 강 이름.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긴 강.
함경도>회령ㅣ함경도>온성ㅣ함경도>경흥ㅣ함경도>경원 , 지명>자연지명
-
만수(漫叟) - 원결(元結)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신ㆍ시인. 전란으로 인한 인민의 고통과 사회상에 눈길을 돌린 작품이 많았으며, 표현의 기교보다는 내용을 중시하였음.
723~772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만수(萬壽) - 이만수(李萬壽)
조선 전기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. 종친(宗親)인 숭선군(嵩善君) 이총(李𤄓)의 서자로, 괴산령(槐山令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만수당(萬樹堂) - 박인량(朴寅亮)@박진의아들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조식(曺植)과 이황(李滉)에게 수학하였으며, 원종공신(原從功臣)에 책록되고 가선대부(嘉善大夫)에 오름.
1546~1638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단성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만수시리(滿殊尸利) - 문수(文殊)
대승불교(大乘佛敎)의 보살(菩薩) 중의 하나. 제불(諸佛)의 지혜를 맡은 보살로, 석가모니불(釋迦牟尼佛)의 왼쪽에 위치하며, 오른쪽의 보현(普賢)과 함께 석가를 양쪽에서 보필하는 협시보살(脇侍菩薩)로 일컬어짐.
고대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만수실리(曼殊室利) - 문수(文殊)
대승불교(大乘佛敎)의 보살(菩薩) 중의 하나. 제불(諸佛)의 지혜를 맡은 보살로, 석가모니불(釋迦牟尼佛)의 왼쪽에 위치하며, 오른쪽의 보현(普賢)과 함께 석가를 양쪽에서 보필하는 협시보살(脇侍菩薩)로 일컬어짐.
고대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만실(蔓實) - 이만실(李蔓實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대사헌(大司憲) 이승직(李繩直)의 아버지로, 이조 판서(吏曹判書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만심재(晩尋齋) - 곽규(郭赳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사성(司成) 곽지번(郭之藩)의 아들로, 1555년(명종 10) 식년(式年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승지(承旨) 등을 지냄.
1521~158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현풍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