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만중(萬重) - 김만중(金萬重)
조선 현종(顯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소설가. 예학의 대가인 김장생(金長生)의 증손(曾孫)으로, 홍문관 대제학(弘文館大提學)을 지냄. 한글 소설 문학의 선구자로 《구운몽(九雲夢)》ㆍ《사씨남정기(謝氏南征記)》등을 저술함.
1637~1692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만지(萬枝) - 유만지(柳萬枝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서산(瑞山)으로, 태재(泰齋) 유방선(柳方善)의 후손.
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문사>유학
-
만창(晩昌) - 이만창(李晩昌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우봉(牛峯). 숙종~영조(英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재(李縡)의 아버지로, 1675년(숙종 1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1654~?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만채(萬埰) - 김만채(金萬埰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좌참찬(左參贊) 김진상(金鎭商)의 아버지. 기사환국(己巳換局) 때 장살(杖殺)된 아버지 김익훈(金益勳)의 억울함을 진정하다 절도로 유배되었으며, 갑술환국(甲戌換局)으로 풀려나와 대사간(大司諫) 등을 지냄.
1644~1715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만천(曼倩)@우정국 - 우정국(于定國)
중국 한(漢) 나라 선제(宣帝)~원제(元帝) 때의 문신. 우공(于公)의 아들로, 승상(丞相)을 지냄. 아버지 우공이 옥사(獄史)로 있을 때 판결로 선행을 쌓아 자신의 자손 중에 가문을 일으킬 자가 나오리라고 예측하고 집 대문을 크게 만들었다는 고사가 전함.
?~B.C.41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만천(曼倩) - 동방삭(東方朔)
중국 전한(前漢)의 문인ㆍ문신. 기언 기행(奇言奇行)으로 무제(武帝)의 총애를 받음. 속설에 서왕모(西王母)의 선도(仙桃)를 훔쳐 먹고 장수하여 삼천갑자(三千甲子)를 살았다 하여 삼천갑자동방삭(三千甲子東方朔)으로 일컬어짐.
B.C.154~B.C.93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만춘(萬春) - 양만춘(楊萬春)
고구려 보장왕(寶藏王) 때의 안시성(安市城) 성주(城主). 지모(智謀)와 용기(勇氣)가 뛰어났으며, 연개소문(淵蓋蘇文)의 정변과 당(唐) 나라 태종(太宗)의 침공 때 불굴의 의지로 싸워 승리함.
한국>고구려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만춘(萬春)@뇌만춘 - 뇌만춘(雷萬春)
중국 당(唐) 나라 현종(玄宗) 때의 장수. 안녹산(安祿山)이 반란을 일으키자 장순(張巡)의 편장(偏將)으로서 수양성(睢陽城)을 지키다가 죽음.
?~757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만취(晩翠)@오억령 - 오억령(吳億齡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복(同福). 임진왜란 때 선조를 의주(義州)에 호종하고 우참찬(右參贊) 등을 지냈으나, 광해군 때 폐모론(廢母論)에 반대하다가 탄핵을 받아 낙향함.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.
1552~1618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동복 , 인명>관인>문신
-
만취(晩翠)@김위 - 김위(金偉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성혼(成渾)의 문인으로 이이(李珥)와 교유함. 임진왜란 때 병든 몸으로 어가를 호종하였고, 형조 참의(刑曹參議) 등을 지냈음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문신
-
만취(晩翠) - 이승효(李承孝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로, 김안로(金安老)의 문인. 홍문관 수찬(弘文館修撰) 등을 지냈으며, 김안로가 사사(賜死)된 뒤 진우(陳宇) 등을 모함하였다 하여 관직을 삭탈당하고 경외(京外)로 추방됨.
1513~?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관인>문신
-
만취(晩翠)@조수 - 조수(趙須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양(平壤)으로, 찬성사(贊成事) 조호(趙瑚)의 아들. 학문에 정진하여 명성이 높고, 세종 때 성균관 사예(司藝)로 서용되어 집현전 학사를 지도함.
한국>조선전기 , 평안도>평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만취당(晩翠堂)@권율 - 권율(權慄)@조선후기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명장. 본관은 안동(安東). 양촌(陽村) 권근(權近)의 6세손이자 영의정을 지낸 권철(權轍)의 아들로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행주대첩(幸州大捷)을 승리로 이끎. 1604년(선조 37) 선무공신(宣武功臣)에 책록되고, 영가부원군(永嘉府院君)으로 추봉됨.
1537~1599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강화ㅣ경상도>안동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만취당(晩翠堂)@김사원 - 김사원(金士元)@조선후기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으로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의병을 규합하여 정제장(整濟將)으로 추대됨.
1539~160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의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만취당(晩翠堂)@김맹권 - 김맹권(金孟權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광산(光山). 집현전 학사(集賢殿學士)가 되어 세종의 신임을 받아 왕세손(王世孫)의 보필을 부탁받았으나, 수양대군(首陽大君)이 왕위를 찬탈하자 고향으로 돌아감.
?~1500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보령 , 인명>문사>학자
-
만취당(晩翠堂)@이승효 - 이승효(李承孝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로, 김안로(金安老)의 문인. 홍문관 수찬(弘文館修撰) 등을 지냈으며, 김안로가 사사(賜死)된 뒤 진우(陳宇) 등을 모함하였다 하여 관직을 삭탈당하고 경외(京外)로 추방됨.
1513~?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관인>문신
-
만취당(晩翠堂) - 김개국(金蓋國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효성이 지극하고 절개가 곧아 칭송을 받음.
1548~160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만취정(晩翠亭) - 조수(趙須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양(平壤)으로, 찬성사(贊成事) 조호(趙瑚)의 아들. 학문에 정진하여 명성이 높고, 세종 때 성균관 사예(司藝)로 서용되어 집현전 학사를 지도함.
한국>조선전기 , 평안도>평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만퇴헌(晩退軒) - 신응구(申應榘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동지중추부사 신벌(申橃)의 아들로, 성혼(成渾)ㆍ이이(李珥)의 문하에서 수학함. 인조반정 후 승정원 좌부승지(承政院左副承旨) 등을 지냄.
1553~1623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남포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만퇴헌(晩退軒)@김중청 - 김중청(金中淸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김몽호(金夢虎)의 아들. 박승임(朴承任)ㆍ조목(趙穆)ㆍ정구(鄭逑)의 문인. 정언(正言)으로 폐모론을 반대하는 이원익(李元翼)을 탄핵하라는 대북파(大北派) 정인홍(鄭仁弘)의 부탁을 거절하자 파면됨.
1567~162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봉화ㅣ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