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만희거사(晩喜居士) - 민재문(閔在汶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으로, 형조 좌랑(刑曹佐郞)을 지낸 민천부(閔天符)의 아들. 고청(孤靑) 서기(徐起)의 문인.
1565~1626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공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만희처사(晩喜處士) - 민재문(閔在汶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으로, 형조 좌랑(刑曹佐郞)을 지낸 민천부(閔天符)의 아들. 고청(孤靑) 서기(徐起)의 문인.
1565~1626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공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말(末) - 김말(金末)
조선 태종(太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후진 교육과 경학 발전에 큰 공로가 있어 김구(金鉤)ㆍ김반(金泮)과 더불어 ‘삼김(三金)’ㆍ‘경학삼김(經學三金)’ㆍ‘관중삼김(館中三金)’으로 불림.
1379~146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말경(末卿) - 권말경(權末卿)
조선 전기의 유학. 송암(松巖) 권호문(權好文)이 차운(次韻)한 시가 《송암집(松巖集)》에 실려 있음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말릉위(秣陵尉) - 장자문(蔣子文)
중국 후한(後漢)의 무신. 도적 토벌 중에 전사하여 신으로 모시게 되었으며, 손권(孫權)의 패업을 도왔다 하여 강남에서 많이 숭상됨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말생(末生) - 조말생(趙末生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주(楊州)로, 태종(太宗)의 부마인 조선(趙璿)의 아버지. 조용(趙庸)의 문인으로, 영중추원사(領中樞院事) 등을 지냄.
1370~1447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말생(末生)@이말생 - 도평군(桃平君)
조선 제2대 정종(定宗)의 열두 번째 서자. 일두(一蠹) 정여창(鄭汝昌)의 장인.
1402~1439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말손(末孫) - 장말손(張末孫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인동(仁同). 1459년(세조 5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, 해주 목사(海州牧使)ㆍ예조 참판(禮曹參判) 등을 지냄. 1467년(세조 12)에 이시애(李施愛)의 난을 평정한 공로로 적개공신(敵愾功臣)에 녹훈되고, 권율(權慄)ㆍ조극치(曺克治)ㆍ채신보(蔡申保) 등과 교유함.
1431~148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인동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말손(末孫)@조말손 - 조말손(曺末孫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으로, 사옹원 정(司饔院正)을 지낸 조치우(曺致虞)의 아버지. 1472년(성종 3) 춘당대시(春塘臺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군수(郡守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말숙(末叔) - 이말숙(李末叔)
조선 전기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. 세종(世宗)의 증손이며 길안도정(吉安都正) 이의(李義)의 아들. 1521년(중종 16) 신사무옥(辛巳誣獄)에 연루되어 형(兄) 이정숙(李正叔)과 함께 유배됨.
1507~157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말익(末翼) - 장말익(張末翼)
고려 정종(靖宗) 때의 문신. 호부 상서(戶部尙書)ㆍ삭방도 안렴사(朔方道按廉使) 등을 지내고, 문하시중 평장사(門下侍中平章事)에 증직됨. 울진부원군(蔚珍府院君)으로 봉해지고, 울진장씨(蔚珍張氏)의 시조(始祖)가 되어 월계서원(月溪書院)에 배향됨.
한국>고려전기 , 강원도>울진 , 인명>관인>문신
-
말정(末丁) - 이말정(李末丁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으로, 이백겸(李伯謙)의 아들. 예빈시 소윤(禮賓寺少尹) 등을 지내고 연성부원군(延城府院君)에 추증되었으며, 문장(文章)에 능했음.
1395~146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거창 , 인명>관인>문신
-
말정(末貞) - 이말정(李末貞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성주(星州). 성균관 대사성(成均館大司成) 이철균(李鐵均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말제(末帝)@상흥제 - 상흥제(祥興帝)
중국 송(宋) 나라의 마지막 황제. 재위 1278~1279. 도종(度宗)의 막내아들로, 형 단종(端宗)이 죽자 즉위했으나 원(元) 나라 군대에 쫓기다가 바다에 빠져 죽었으며, 이에 송은 멸망함.
?~1279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말주(末舟) - 신말주(申末舟)
조선 단종(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공조 참판(工曹參判) 신장(申檣)의 아들이며 신숙주(申叔舟)의 동생으로, 대사간을 지냄. 단종이 폐위된 후에 벼슬에서 물러나 귀래정(歸來亭)을 짓고 산수를 즐김.
1429~150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창ㅣ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말평(末平) - 신말평(申末平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세종(世宗) 때 좌의정(左議政)을 지낸 문희공(文僖公) 신개(申槩)의 손자로, 《악학궤범(樂學軌範)》 편찬사업에 공헌함.
1452~1509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말흘탄강(末訖灘江) - 금강(錦江)
전라북도 장수(長水)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흘러 군산만(群山灣)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. 우리나라 6대 하천의 하나.
전라도>장수 , 지명>자연지명
-
말희(末喜) - 말희(妺喜)
중국 하(夏) 나라 걸왕(桀王)의 비. 걸왕이 정복한 오랑캐의 유시씨국(有施氏國)에서 공물로 바쳐졌으며, 걸왕과 함께 밤낮으로 술을 마시며 음탕한 짓을 자행하여, 하 나라의 패망을 초래함.
중국>하 , 중국 , 인명>왕실>왕비
-
말희(末嬉) - 말희(妺喜)
중국 하(夏) 나라 걸왕(桀王)의 비. 걸왕이 정복한 오랑캐의 유시씨국(有施氏國)에서 공물로 바쳐졌으며, 걸왕과 함께 밤낮으로 술을 마시며 음탕한 짓을 자행하여, 하 나라의 패망을 초래함.
중국>하 , 중국 , 인명>왕실>왕비
-
망고태(忙古台) - 방신우(方臣祐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환관. 원(元) 나라에 들어가 망고태(忙古台)라는 이름을 하사받고 수원황태후(壽元皇太后)의 시중을 들었으며, 고려로 돌아와 중모군(中牟君)에 봉해짐.
?~1343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환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