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말정(末丁) - 이말정(李末丁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으로, 이백겸(李伯謙)의 아들. 예빈시 소윤(禮賓寺少尹) 등을 지내고 연성부원군(延城府院君)에 추증되었으며, 문장(文章)에 능했음.
1395~146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거창 , 인명>관인>문신
-
말정(末貞) - 이말정(李末貞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성주(星州). 성균관 대사성(成均館大司成) 이철균(李鐵均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말제(末帝)@상흥제 - 상흥제(祥興帝)
중국 송(宋) 나라의 마지막 황제. 재위 1278~1279. 도종(度宗)의 막내아들로, 형 단종(端宗)이 죽자 즉위했으나 원(元) 나라 군대에 쫓기다가 바다에 빠져 죽었으며, 이에 송은 멸망함.
?~1279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말주(末舟) - 신말주(申末舟)
조선 단종(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공조 참판(工曹參判) 신장(申檣)의 아들이며 신숙주(申叔舟)의 동생으로, 대사간을 지냄. 단종이 폐위된 후에 벼슬에서 물러나 귀래정(歸來亭)을 짓고 산수를 즐김.
1429~150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창ㅣ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말평(末平) - 신말평(申末平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세종(世宗) 때 좌의정(左議政)을 지낸 문희공(文僖公) 신개(申槩)의 손자로, 《악학궤범(樂學軌範)》 편찬사업에 공헌함.
1452~1509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말흘탄강(末訖灘江) - 금강(錦江)
전라북도 장수(長水)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흘러 군산만(群山灣)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. 우리나라 6대 하천의 하나.
전라도>장수 , 지명>자연지명
-
말희(末喜) - 말희(妺喜)
중국 하(夏) 나라 걸왕(桀王)의 비. 걸왕이 정복한 오랑캐의 유시씨국(有施氏國)에서 공물로 바쳐졌으며, 걸왕과 함께 밤낮으로 술을 마시며 음탕한 짓을 자행하여, 하 나라의 패망을 초래함.
중국>하 , 중국 , 인명>왕실>왕비
-
말희(末嬉) - 말희(妺喜)
중국 하(夏) 나라 걸왕(桀王)의 비. 걸왕이 정복한 오랑캐의 유시씨국(有施氏國)에서 공물로 바쳐졌으며, 걸왕과 함께 밤낮으로 술을 마시며 음탕한 짓을 자행하여, 하 나라의 패망을 초래함.
중국>하 , 중국 , 인명>왕실>왕비
-
망고태(忙古台) - 방신우(方臣祐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환관. 원(元) 나라에 들어가 망고태(忙古台)라는 이름을 하사받고 수원황태후(壽元皇太后)의 시중을 들었으며, 고려로 돌아와 중모군(中牟君)에 봉해짐.
?~1343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환관
-
망구도(輞口圖) - 망천도(輞川圖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ㆍ화가ㆍ문신인 왕유(王維)가 그린 산수화. 왕유가 자기 별장(別莊)이 있는 망천(輞川)의 20개 승경(勝景)을 그린 그림으로, 그의 산수화 중에서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받음.
중국>당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망기(忘紀) - 이지활(李智活)
조선 문종(文宗)~단종(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성주(星州). 세조(世祖)가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자 거창(居昌)의 박유산(朴儒山)에 은거하였으며, 단종의 승하 소식을 듣고 통곡하다 죽음.
1434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거창 , 인명>관인>문신
-
망기당(忘機堂) - 조한보(曺漢輔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학자. 사용(司勇) 조변옹(曺變雍)의 아들. 성리학(性理學)ㆍ선학(禪學) 등에 뛰어나며, 당시 이언적(李彦迪)과 벌인 성리학 논쟁이 유명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문사>학자
-
망대부(莽大夫) - 양웅(揚雄)
중국 전한(前漢) 말의 학자ㆍ문인. 사마상여(司馬相如)의 작품을 통하여 배운 문장력을 인정받아, 성제(成帝) 때 궁정문인의 한 사람이 됨.
B.C.53~A.D.18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
-
망동(芒洞) - 김정국(金正國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학자ㆍ문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김굉필(金宏弼)의 문인이며 김안국(金安國)의 동생으로, 성리학에 조예가 깊음. 기묘사화(己卯士禍)로 삭탈관직되었다가 복직됨.
1485~1541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망산(邙山) - 북망산(北邙山)
중국 하남성(河南省) 낙양(洛陽) 북쪽에 있는 산. 이 지역은 대대로 여러 나라의 도읍이었으므로 역대 제왕과 명인들의 무덤이 많아, 전하여 사람의 죽음을 뜻하는 말로 쓰임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망암(望菴) - 변이중(邊以中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황주(黃州). 이이(李珥)와 성혼(成渾)의 문인으로, 임진왜란 때 조도사(調度使)로서 전공을 세우고, 화차(火車)를 제조하여 행주대첩(幸州大捷)에 크게 기여함.
1546~1611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장성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망와(忘窩) - 김영조(金榮祖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豊山). 산음 현감(山陰縣監) 김대현(金大賢)의 아들이며 김성일(金誠一)의 사위로, 부제학(副提學)ㆍ이조 참판(吏曹參判) 등을 지냈음.
1577~1648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망우(忘憂) - 곽재우(郭再祐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무신ㆍ의병장. 본관은 현풍(玄風). 곽월(郭越)의 아들로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우고, 정유재란(丁酉再亂) 때 화왕산성(火旺山城) 등지에서 왜적을 격파함.
1552~161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관인>무신
-
망우당(忘憂堂) - 곽재우(郭再祐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무신ㆍ의병장. 본관은 현풍(玄風). 곽월(郭越)의 아들로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우고, 정유재란(丁酉再亂) 때 화왕산성(火旺山城) 등지에서 왜적을 격파함.
1552~161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관인>무신
-
망우물(忘憂物) - 주(酒)
술.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(總稱). 전설상에 두강(杜康)과 의적(儀狄)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.
물품>식약품>음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