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망구도(輞口圖) - 망천도(輞川圖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ㆍ화가ㆍ문신인 왕유(王維)가 그린 산수화. 왕유가 자기 별장(別莊)이 있는 망천(輞川)의 20개 승경(勝景)을 그린 그림으로, 그의 산수화 중에서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받음.
중국>당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망기(忘紀) - 이지활(李智活)
조선 문종(文宗)~단종(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성주(星州). 세조(世祖)가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자 거창(居昌)의 박유산(朴儒山)에 은거하였으며, 단종의 승하 소식을 듣고 통곡하다 죽음.
1434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거창 , 인명>관인>문신
-
망기당(忘機堂) - 조한보(曺漢輔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학자. 사용(司勇) 조변옹(曺變雍)의 아들. 성리학(性理學)ㆍ선학(禪學) 등에 뛰어나며, 당시 이언적(李彦迪)과 벌인 성리학 논쟁이 유명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문사>학자
-
망대부(莽大夫) - 양웅(揚雄)
중국 전한(前漢) 말의 학자ㆍ문인. 사마상여(司馬相如)의 작품을 통하여 배운 문장력을 인정받아, 성제(成帝) 때 궁정문인의 한 사람이 됨.
B.C.53~A.D.18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
-
망동(芒洞) - 김정국(金正國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학자ㆍ문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김굉필(金宏弼)의 문인이며 김안국(金安國)의 동생으로, 성리학에 조예가 깊음. 기묘사화(己卯士禍)로 삭탈관직되었다가 복직됨.
1485~1541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망산(邙山) - 북망산(北邙山)
중국 하남성(河南省) 낙양(洛陽) 북쪽에 있는 산. 이 지역은 대대로 여러 나라의 도읍이었으므로 역대 제왕과 명인들의 무덤이 많아, 전하여 사람의 죽음을 뜻하는 말로 쓰임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망암(望菴) - 변이중(邊以中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황주(黃州). 이이(李珥)와 성혼(成渾)의 문인으로, 임진왜란 때 조도사(調度使)로서 전공을 세우고, 화차(火車)를 제조하여 행주대첩(幸州大捷)에 크게 기여함.
1546~1611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장성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망와(忘窩) - 김영조(金榮祖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豊山). 산음 현감(山陰縣監) 김대현(金大賢)의 아들이며 김성일(金誠一)의 사위로, 부제학(副提學)ㆍ이조 참판(吏曹參判) 등을 지냈음.
1577~1648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망우(忘憂) - 곽재우(郭再祐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무신ㆍ의병장. 본관은 현풍(玄風). 곽월(郭越)의 아들로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우고, 정유재란(丁酉再亂) 때 화왕산성(火旺山城) 등지에서 왜적을 격파함.
1552~161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관인>무신
-
망우당(忘憂堂) - 곽재우(郭再祐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무신ㆍ의병장. 본관은 현풍(玄風). 곽월(郭越)의 아들로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우고, 정유재란(丁酉再亂) 때 화왕산성(火旺山城) 등지에서 왜적을 격파함.
1552~161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관인>무신
-
망우물(忘憂物) - 주(酒)
술.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(總稱). 전설상에 두강(杜康)과 의적(儀狄)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.
물품>식약품>음료
-
망월(望越) - 이축(李蓄)
조선 세종(世宗)~단종(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. 광주 목사(光州牧使) 이숙야(李叔野)의 아들로, 황해도 관찰사(黃海道觀察使) 등을 역임하였으며, 고양(高陽)으로 낙향하여 여생을 마침.
1402~147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망월암(望越菴) - 이축(李蓄)
조선 세종(世宗)~단종(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. 광주 목사(光州牧使) 이숙야(李叔野)의 아들로, 황해도 관찰사(黃海道觀察使) 등을 역임하였으며, 고양(高陽)으로 낙향하여 여생을 마침.
1402~147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망이(望而)@태두남 - 태두남(太斗南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순(永順). 담론(談論)을 잘하고 시문(詩文)에 뛰어났으며, 종부시 정(宗簿寺正) 등을 지냈으나, 김안로(金安老)의 미움을 사 성주 목사(星州牧使)로 좌천됨.
1486~153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망이(望而) - 심위(沈渭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삼척(三陟). 통사랑(通仕郞) 심삼근(沈三近)의 아들로 사복시 정(司僕寺正)에 추증(追贈)됨.
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삼척 , 인명>문사>유학
-
망이(望而)@심세림 - 심세림(沈世霖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豊山). 심극인(沈克仁)의 아들로, 1538년(중종 33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정언(正言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망인(妄人) - 고순(高淳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인. 본관은 제주(濟州). 남효온(南孝溫), 신영희(辛永禧) 등과 교우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제주 , 인명>문사>문인
-
망일재(望日齋) - 박근원(朴謹元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으로, 형조 참판을 지낸 박광영(朴光榮)의 손자. 병조 판서(兵曹判書) 이이(李珥)를 탄핵하다가 강계(江界)로 유배되기도 했으며, 처결수완이 뛰어나 대사헌을 여덟 번이나 지냄.
1525~158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망재(忘齋) - 손숙돈(孫叔暾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학자. 이언적(李彦迪)의 외숙으로, 조한보(曺漢輔)와 무극(無極)ㆍ태극(太極)에 관한 논변서(論辨書)를 주고받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문사>학자
-
망저군(望諸君) - 악의(樂毅)
중국 춘추전국시대 연(燕) 나라의 무신. 악양(樂羊)의 후손으로, 소왕(昭王)의 아경(亞卿)이 되고 상장군(上將軍)에 제수되어 연(燕)ㆍ조(趙)ㆍ초(楚)ㆍ한(韓)ㆍ위(魏) 다섯 나라의 군사를 이끌고 제(齊) 나라의 70여 성을 함락시킴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