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망적(莽賊) - 왕망(王莽)
중국 신(新) 나라의 황제. 재위 8~23년. 전한(前漢) 말에 왕위를 찬탈하고 황제가 되었으나 후한(後漢)의 광무제(光武帝)에 의해 멸망함.
B.C.45~A.D.23 중국>신ㅣ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망제(望帝) - 두우(杜宇)
중국 촉(蜀)의 국왕. 왕위를 빼앗기고 나라를 그리워하며 울다가 죽어서 두견(杜鵑)이 되었다는 설화가 있음.
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망지(望之)@안망지 - 안망지(安望之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죽산(竹山). 안숙로(安叔老)의 아들이며, 안맹담(安孟耼)의 아버지. 함길도 관찰사(咸吉道觀察使)와 공안부 윤(恭安府尹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죽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망지(望之)@윤자운 - 윤자운(尹子雲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윤경연(尹景淵)의 아들이자 신숙주(申叔舟)의 처남으로, 영의정 등을 지냄. 정인지(鄭麟趾) 등과 함께 《고려사(高麗史)》편찬에 참여하고, 좌익공신(佐翼功臣)ㆍ좌리공신(佐理功臣)에 책록됨.
1416~1478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무장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망지(望之) - 유희저(柳希渚)
조선 성종(成宗)~종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로. 1496년(연산군 2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여, 부제학(副提學) 등을 역임했음.
1460~?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망지(望之)@소망지 - 소망지(蕭望之)
중국 전한(前漢) 선제(宣帝)~원제(元帝) 때의 문신ㆍ학자. 홍공(弘恭)ㆍ석현(石顯) 등 환관의 전횡을 막아 제도를 개혁하려 하였으나 오히려 그들의 모함에 빠져 자살함.
B.C.106~B.C.47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망지(望之)@변곤 - 변곤(卞壼)
중국 남북조시대 서진(西晉)의 충신. 상서령(尙書令) 등을 지냈으며, 소준(蘇峻)의 난 때 반란군과 싸우다 두 아들 변진(卞眕)ㆍ변우(卞盱)와 함께 죽은 ‘변문충효(卞門忠孝)’의 고사가 전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망진호(亡秦胡) - 이세(二世)
중국 진(秦) 나라 제2대 황제. 재위 B.C.209~B.C.207. 시황제(始皇帝)의 둘째 아들로, 시황제가 죽자 이사(李斯)와 조고(趙高)에 의해 황제로 옹립됨. 방탕한 생활로 진 나라의 멸망을 초래하였으며, 조고의 협박을 받아 자살함.
?~B.C.207 중국>진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망천(輞川) - 왕유(王維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ㆍ화가ㆍ문신. 산수화에 능하고, 문인화(文人畫)의 시조로 추앙됨.
699~759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망천사우(望川祠宇) - 월봉서원(月峯書院)
조선 선조(宣祖) 때 기대승(奇大升)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전라도 광산(光山)에 건립한 서원. 1654년(효종 5)에 사액되었으며, 기대승ㆍ박상(朴祥)ㆍ박순(朴淳)ㆍ김장생(金長生)ㆍ김집(金集) 등을 배향함.
1578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망칠(望七) - 정지년(鄭知年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로, 예조 참의(禮曹參議)를 지낸 정효종(鄭孝終)의 아버지. 성균관 사예(成均館司藝)를 지낼 때 단종(端宗)이 손위(遜位)하자 전리(田里)로 퇴거하여 경서(經書) 연구에 전념함.
1395~146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망포(望浦) - 노직(盧稙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교하(交河)로, 남평 현감(南平縣監) 노홍우(盧弘祐)의 아들. 호조 판서(戶曹判書)ㆍ예조 판서(禮曹判書)ㆍ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를 지내고, 이원익(李元翼)ㆍ유성룡(柳成龍)ㆍ강서(姜緖) 등과 친교(親交)함.
1536~158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ㅣ경기도>교하 , 인명>관인>문신
-
망헌(忘軒) - 이주(李胄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김종직(金宗直) 문인으로, 무오사화(戊午士禍) 때 진도(珍島)로 유배되었으며,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김굉필(金宏弼) 등과 함께 사사(賜死)됨.
1468~150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망화루(望華樓) - 의순관(義順館)
조선시대에 중국의 사신(使臣)을 접대하기 위해 평안도 의주(義州)에 설치한 관사(館舍). 원래는 망화루(望華樓)가 있었는데, 세조(世祖) 때 누(樓)를 헐고 관사를 세움.
한국>조선전기 , 평안도>의주 , 유적>건물>관사
-
매(勱) - 이매(李勱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전의(全義). 부제학(副提學)을 지낸 이해수(李海壽)의 아들로, 봉사(奉事)를 지냄.
?~1598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문사>유학
-
매(買) - 도공(悼公)@춘추전국(허)
중국 춘추전국시대 허(許) 나라의 제후. 학질에 걸렸다가 태자인 지(止)가 올린 약을 마시고 세상을 떠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매^구(梅^歐) - 구^매(歐^梅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인인 구양수(歐陽脩)과 매요신(梅堯臣)을 함께 부르는 말. 시(詩)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.
중국>송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매간(梅磵) - 목서흠(睦敍欽)
조선 선조(宣祖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사천(泗川). 목첨(睦詹)의 아들이며, 목겸선(睦兼善)의 아버지. 정묘호란(丁卯胡亂) 때 인조(仁祖)를 남한산성에서 호종(護從)함.
1572~165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사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매경(梅卿) - 은정화(殷鼎和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행주(幸州). 관곡(寬谷) 최서림(崔瑞琳)의 문인(門人)으로, 시문(詩文)에 능하였으며, 효성이 지극하였음.
1650~1724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문사>유학
-
매경(梅卿)@오매경 - 오매경(吳梅卿)
중국 송(宋) 나라 때의 문신. 중국 태주(台州) 선거(仙居) 사람으로 충주 문학(忠州文學)을 역임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