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망포(望浦) - 노직(盧稙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교하(交河)로, 남평 현감(南平縣監) 노홍우(盧弘祐)의 아들. 호조 판서(戶曹判書)ㆍ예조 판서(禮曹判書)ㆍ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를 지내고, 이원익(李元翼)ㆍ유성룡(柳成龍)ㆍ강서(姜緖) 등과 친교(親交)함.
1536~158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ㅣ경기도>교하 , 인명>관인>문신
-
망헌(忘軒) - 이주(李胄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김종직(金宗直) 문인으로, 무오사화(戊午士禍) 때 진도(珍島)로 유배되었으며,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김굉필(金宏弼) 등과 함께 사사(賜死)됨.
1468~150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망화루(望華樓) - 의순관(義順館)
조선시대에 중국의 사신(使臣)을 접대하기 위해 평안도 의주(義州)에 설치한 관사(館舍). 원래는 망화루(望華樓)가 있었는데, 세조(世祖) 때 누(樓)를 헐고 관사를 세움.
한국>조선전기 , 평안도>의주 , 유적>건물>관사
-
매(勱) - 이매(李勱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전의(全義). 부제학(副提學)을 지낸 이해수(李海壽)의 아들로, 봉사(奉事)를 지냄.
?~1598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문사>유학
-
매(買) - 도공(悼公)@춘추전국(허)
중국 춘추전국시대 허(許) 나라의 제후. 학질에 걸렸다가 태자인 지(止)가 올린 약을 마시고 세상을 떠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매^구(梅^歐) - 구^매(歐^梅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인인 구양수(歐陽脩)과 매요신(梅堯臣)을 함께 부르는 말. 시(詩)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.
중국>송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매간(梅磵) - 목서흠(睦敍欽)
조선 선조(宣祖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사천(泗川). 목첨(睦詹)의 아들이며, 목겸선(睦兼善)의 아버지. 정묘호란(丁卯胡亂) 때 인조(仁祖)를 남한산성에서 호종(護從)함.
1572~165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사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매경(梅卿) - 은정화(殷鼎和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행주(幸州). 관곡(寬谷) 최서림(崔瑞琳)의 문인(門人)으로, 시문(詩文)에 능하였으며, 효성이 지극하였음.
1650~1724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문사>유학
-
매경(梅卿)@오매경 - 오매경(吳梅卿)
중국 송(宋) 나라 때의 문신. 중국 태주(台州) 선거(仙居) 사람으로 충주 문학(忠州文學)을 역임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매계(梅溪)@목서흠 - 목서흠(睦敍欽)
조선 선조(宣祖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사천(泗川). 목첨(睦詹)의 아들이며, 목겸선(睦兼善)의 아버지. 정묘호란(丁卯胡亂) 때 인조(仁祖)를 남한산성에서 호종(護從)함.
1572~165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사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매계(梅溪)@강호문 - 강호문(康好文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. 1362년(공민왕 11)에 과거에 급제하여 판전교시사(判典校寺事)를 지냈으며, 시문(詩文)에 능함. 부인 문씨(文氏)는 왜구에게서 순결을 지켜 열녀(烈女)로 칭송됨. 이색(李穡)․권근(權近) 등과 교유함.
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신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매계(梅溪)@왕십붕 - 왕십붕(王十朋)
중국 송(宋) 나라 때의 시인ㆍ문신. 주희(朱熹)ㆍ왕응신(汪應辰) 등의 학자들과 교유했으며, 소동파(蘇東坡)의 시(詩)를 집주(集註)한 《집주분류동파선생시(集註分類東坡先生詩)》로 유명함.
1112~117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매계(梅溪) - 문근(文瑾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감천(甘泉). 영남 출신 사림파의 한 사람으로 훈구파와 사림파 사이를 조제(調劑)하는 역할을 함.
1471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용궁 , 인명>관인>문신
-
매계(梅溪)@장말익 - 장말익(張末翼)
고려 정종(靖宗) 때의 문신. 호부 상서(戶部尙書)ㆍ삭방도 안렴사(朔方道按廉使) 등을 지내고, 문하시중 평장사(門下侍中平章事)에 증직됨. 울진부원군(蔚珍府院君)으로 봉해지고, 울진장씨(蔚珍張氏)의 시조(始祖)가 되어 월계서원(月溪書院)에 배향됨.
한국>고려전기 , 강원도>울진 , 인명>관인>문신
-
매계(梅溪)@원송수 - 원송수(元松壽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홍건적(紅巾賊)의 난 때 공민왕을 호종하여 공신에 책록되었으나, 신돈(辛旽)의 미움을 받아 파직되고 신돈의 난정(亂政)을 개탄하다가 병사함.
1324~1366 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매계(梅溪)@조위 - 조위(曺偉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울진 현령(蔚珍縣令)을 지낸 조계문(曺繼門)의 아들이며,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. 김일손(金馹孫)이 준 사초(史草)를 실록(實錄)에 기록한 일로 무오사화(戊午士禍)에 연루되어 유배됨.
1454~150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금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매곡(梅谷)@조지운 - 조지운(趙之耘)
조선 후기의 문신ㆍ화가. 본관은 풍양(豊壤)으로, 선비화가 조속(趙涑)의 아들. 현감(縣監)을 지내고, 선비의 기풍과 심의(心意)가 가득한 묵매와 수묵화조를 잘 그려 〈숙조도(宿鳥圖)〉등의 작품을 남김.
1637~?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매곡(梅谷) - 강서(姜瑞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진주(晉州). 수의부위(修義副尉)를 지낸 강세응(姜世應)의 아들. 효행으로 정려각(旌閭閣)이 세워짐.
1510~154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문사>유학
-
매곡(買谷) - 예안(禮安)
경상도 안동(安東) 지역의 옛 지명. 고구려 때 매곡현(買谷縣)이었다가 신라 경덕왕(景德王) 때 선곡(善谷)으로 고쳤고, 고려 태조(太祖) 때 성주(城主) 이능선(李能宣)이 귀순하여 예안(禮安)이라고 함.
경상도>예안 , 지명>행정지명
-
매공(梅公) - 매요신(梅堯臣)
중국 송(宋) 나라의 대표적 시인ㆍ문신. 당시(唐詩)의 섬세하고 교묘한 폐풍을 버리고 고문운동(古文運動)과 관련된 시 형식을 개척하여 새로운 송시(宋詩)의 개조(開祖)가 됨.
1002~106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