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매구루(買溝婁) - 문천(文川)
함경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
함경도>문천 , 지명>행정지명
-
매담(梅潭) - 안창국(安昌國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. 죽암(竹巖) 안전(安瑑)의 아들로, 금천도 찰방(金泉道察訪)을 지냈으나 얼마 후에 벼슬을 그만두고 초야에 은거함.
1542~159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풍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매당(梅堂)@권욱 - 권욱(權旭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현감을 지낸 권심언(權審言)의 아들로 장흥고 봉사(長興庫奉事) 등을 지냈고, 정탁(鄭琢)과 함께 《심경(心經)》을 강론함.
1556~161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매당(梅堂) - 양돈(楊墩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인. 1498년(연산군 4)에 사마시(司馬試)에 급제했으나 무오사화(戊午士禍)로 인해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은거함. 문장과 덕행이 뛰어나 사표(師表)가 됨.
1461~1512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임실 , 인명>문사>문인
-
매당(梅塘) - 김점(金坫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부령(扶寧). 기대승(奇大升)의 큰아들인 기효증(奇孝曾)의 장인. 연은전 참봉(延恩殿參奉)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고부 , 인명>관인>문신
-
매림(梅林) - 곽지원(郭之元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역관. 심통원(沈通源)을 따라 명(明) 나라에 갔을 때 은냥을 몰래 가져와 탄핵을 받은 적이 있으며, 하정사(賀正使) 오상(吳祥)을 따라 명 나라로 가던 도중 여양역(閭陽驛)에서 거란 병사를 만났는데, 이때 역승(驛丞)의 투항을 막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역관
-
매변(梅邊) - 성직(成㮨)
조선 인조(仁祖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우계(牛溪) 성혼(成渾)의 손자로, 영동 현감(永同縣監)을 지낸 성문준(成文濬)의 아들. 글씨에 능했으며 특히 대자(大字)를 잘 썼음.
1586~168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매복인(賣卜人) - 엄준(嚴遵)
중국 전한(前漢) 말기의 학자. 《노자지귀(老子指歸)》의 저자로, 원래 성은 장씨(莊氏)였으나 명제(明帝)의 이름을 피휘하여 엄씨(嚴氏)로 고쳤다 함.
B.C.73~A.D.17 중국>신ㅣ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매산(梅山) - 유후조(柳厚祚)
조선 철종(哲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(豊山). 돈녕부 도정(敦寧府都正) 유심춘(柳尋春)의 아들로, 고종 때 남인(南人)을 우대한 흥선대원군(興宣大院君)의 정책으로 우의정(右議政)을 지냄.
1798~187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매서(梅墅) - 강종경(姜宗慶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진주(晉州). 사인(舍人) 강극성(姜克誠)의 아들로, 성균관 학유(成均館學兪)를 지냈으며, 성혼(成渾)과 교분이 두터웠고, 특히 역학(易學)에 밝고 글씨를 잘 썼음.
1543~158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매선(梅仙) - 매복(梅福)
중국 한(漢) 나라의 문신. 남창 현위(南昌縣尉)를 지내다 왕망(王莽)이 정사를 전횡하자 처자(妻子)를 버리고 은둔하여 신선이 되었다고 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매성(妹城) - 문천(文川)
함경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
함경도>문천 , 지명>행정지명
-
매성(買省) - 양주(楊州)
경기도 중앙에 위치한 고을 이름. 조선 세조(世祖) 때 목(牧)으로 승격됨.
경기도>양주 , 지명>행정지명
-
매성유(梅聖兪) - 매요신(梅堯臣)
중국 송(宋) 나라의 대표적 시인ㆍ문신. 당시(唐詩)의 섬세하고 교묘한 폐풍을 버리고 고문운동(古文運動)과 관련된 시 형식을 개척하여 새로운 송시(宋詩)의 개조(開祖)가 됨.
1002~106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매소홀(買召忽) - 인천(仁川)
경기도 중서부 서해에 접해 있는 고을 이름. 동쪽으로는 안산(安山)ㆍ금천(衿川)을, 북쪽으로는 부평(富平)을 경계로 하고 있음.
경기도>인천 , 지명>행정지명
-
매수(枚叟) - 매승(枚乘)
중국 전한(前漢) 문제(文帝)~경제(景帝) 때의 문인. 애초에 섬기던 오왕(吳王) 유비(劉濞)의 반란계획을 알고 간(諫)하였으나 실패하자 양왕(梁王) 유무(劉武)에게로 피신하였으며, 만년에는 향리에 은둔함. 〈칠발(七發)〉 등을 저술함.
?~B.C.140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매수(梅叟)@허기 - 허기(許愭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천(陽川). 전리 판서(典理判書)를 지낸 허금(許錦)의 아들로, 판봉상시사(判奉常寺事) 등을 지내고, 저서로 《매헌시집(梅軒詩集)》이 있음.
1365~1431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양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매수(梅叟) - 임포(林逋)
중국 송(宋) 나라의 은자(隱者). 항주(抗州) 서호(西湖)의 고산(孤山)에 초막을 짓고 20년 동안 출입하지 않은 채 매화를 가꾸고 학을 기르면서 독신으로 살았음.
967~1028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
-
매숙(枚叔) - 매승(枚乘)
중국 전한(前漢) 문제(文帝)~경제(景帝) 때의 문인. 애초에 섬기던 오왕(吳王) 유비(劉濞)의 반란계획을 알고 간(諫)하였으나 실패하자 양왕(梁王) 유무(劉武)에게로 피신하였으며, 만년에는 향리에 은둔함. 〈칠발(七發)〉 등을 저술함.
?~B.C.140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매순(邁淳) - 김매순(金邁淳)
조선 정조(正祖)~헌종(憲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예조 참판(禮曹參判)을 거쳐 강화부 유수(江華府留守) 등을 지냈고, 당대의 문장가로 홍석주(洪奭周) 등과 함께 명성이 높아 여한십대가(麗韓十大家)의 한 사람으로 꼽히며 성리학에 뛰어남.
1776~184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