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매죽헌(梅竹軒)@안평대군 - 안평대군(安平大君)
조선 제4대 세종(世宗)의 셋째 아들. 김종서(金宗瑞) 등과 함께 수양대군(首陽大君)의 세력에 맞서다가 계유정난(癸酉靖難) 때 역모 혐의로 유배된 후 사사됨. 시(詩)ㆍ서(書)ㆍ화(畫)에 뛰어나 ‘삼절(三絶)’이라 불렸고, 당대 제일의 명필(名筆)로 꼽힘.
1418~145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왕실>왕자
-
매죽헌(梅竹軒)@성삼문 - 성삼문(成三問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창녕(昌寧). 집현전(集賢殿)의 학사로 훈민정음(訓民正音) 창제에 공헌함. 사육신(死六臣)의 한 사람으로, 단종(端宗)에 대한 절의를 지켜 복위(復位)를 도모하다가 실패하여 처형됨.
1418~1456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홍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매죽헌(梅竹軒) - 설봉(雪峯)@조선
조선 전기의 승려. 서거정(徐居正)의 《사가시집(四佳詩集)》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매질포(買叱浦) - 매포(買浦)
충청도 단양(丹陽)에 있던 포구 이름.
충청도>단양 , 지명>자연지명
-
매창(梅牕) - 이성윤(李誠胤)
조선 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(翼陽君) 이회(李懷)의 증손이며, 청원도정(靑原都正) 이간(李侃)의 둘째 아들. 임진왜란 때 신주(神主)를 봉안하고 세자인 광해군(光海君)을 호종한 공으로 호종공신(扈從功臣)에 책록됨.
1570~1620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왕실>종친
-
매창(梅窓) - 최세절(崔世節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시인. 형조 참판(刑曹參判)을 지낸 최응현(崔應賢)의 아들로, 공조 참판(工曹參判)을 지내고, 시재(詩才)에도 뛰어남.
1479~1535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매창(梅窓)@조지운 - 조지운(趙之耘)
조선 후기의 문신ㆍ화가. 본관은 풍양(豊壤)으로, 선비화가 조속(趙涑)의 아들. 현감(縣監)을 지내고, 선비의 기풍과 심의(心意)가 가득한 묵매와 수묵화조를 잘 그려 〈숙조도(宿鳥圖)〉등의 작품을 남김.
1637~?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매처(梅妻) - 임포(林逋)
중국 송(宋) 나라의 은자(隱者). 항주(抗州) 서호(西湖)의 고산(孤山)에 초막을 짓고 20년 동안 출입하지 않은 채 매화를 가꾸고 학을 기르면서 독신으로 살았음.
967~1028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
-
매처사(梅處士) - 매복(梅福)
중국 한(漢) 나라의 문신. 남창 현위(南昌縣尉)를 지내다 왕망(王莽)이 정사를 전횡하자 처자(妻子)를 버리고 은둔하여 신선이 되었다고 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매천(梅川)@신유 - 신유(愼有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거창(居昌). 의정부 우참찬(議政府右參贊)을 지낸 신희복(愼希復)의 아들로, 세자익위사 위수(世子翊衛司衛率)ㆍ통례원 상례(通禮院相禮)ㆍ한성부 서윤(漢城府庶尹) 등을 지냄.
1527~?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매천(梅川) - 신희복(愼希復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거창(居昌).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으로, 명종의 대군(大君) 시절 사부(師傅)를 지냈음. 명종 즉위 후에 개성 유수(開城留守)ㆍ우참찬(右參贊) 등을 역임함.
1493~156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매촌(梅村)@강덕룡 - 강덕룡(姜德龍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강심(姜深)의 아들. 임진왜란 때 김성일(金誠一)과 정기룡(鄭起龍)을 도와 공을 세워 함창 현령(咸昌縣令) 등을 지내고 선무공신(宣武功臣)에 책록됨.
1560~162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매촌(梅村) - 정복현(鄭復顯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서산(瑞山)으로, 우후(虞侯) 정신(鄭愼)의 아들. 정희보(鄭希輔)ㆍ조식(曺植)의 문인으로 노진(盧禛)ㆍ양희(梁喜) 등과 교유함.
1521~1591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문사>유학
-
매촌(梅村)@문홍운 - 문홍운(文弘運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유학. 본관은 남평(南平)으로, 성광(醒狂) 문할(文劼)의 아들.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활약하여 원종공신(原從功臣)에 책록되었고, 1612년(광해군 4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1577~164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문사>유학
-
매탕(槑宕) - 이덕무(李德懋)
조선 정조(正祖) 때의 실학자. 서얼 출신으로, 박제가(朴齊家)ㆍ유득공(柳得恭)ㆍ이서구(李書九) 등과 함께 《건연집(巾衍集)》이라는 사가시집(四家詩集)을 내어 문명을 떨침. 명(明)과 청(淸) 나라의 학문과 고증학적 방법론에 관심을 가져 실질적으로는 북학을 함.
1741~1793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
-
매포(梅圃) - 송복기(宋福基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야성(冶城). 충순위(忠順衛) 송의(宋儀)의 아들이며, 이황(李滉)의 문인. 추천으로 소촌도 찰방(召村道察訪)에 제수되었지만 사양하고 평생 명사(名士)들과 시주(詩酒)로 교유하며 일생을 마침.
1541~1605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양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매포(買浦)@멸포 - 멸포(蔑浦)
경상남도 칠원(漆原)에 속했던 포구(浦口) 이름으로, 현재의 밀포(密浦)로 추정됨. 마산(馬山)의 해산물과 대구(大邱)의 농산물을 유통시켰던 교통요지.
경상도>칠원 , 지명>자연지명
-
매학정(梅鶴亭) - 황기로(黃耆老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명필. 본관은 덕산(德山). 사옹원 참봉(司饔院參奉) 황계옥(黃季沃)의 아들. 글씨에 능했는데, 특히 초서(草書)를 잘 써서 ‘초성(草聖)’으로 불렸으며 《근묵(槿墨)》 등에 작품을 남김.
1521~156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ㅣ충청도>덕산 , 인명>예술인>서화가
-
매학헌(梅鶴軒) - 황기로(黃耆老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명필. 본관은 덕산(德山). 사옹원 참봉(司饔院參奉) 황계옥(黃季沃)의 아들. 글씨에 능했는데, 특히 초서(草書)를 잘 써서 ‘초성(草聖)’으로 불렸으며 《근묵(槿墨)》 등에 작품을 남김.
1521~156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ㅣ충청도>덕산 , 인명>예술인>서화가
-
매향(梅香) - 매순(梅詢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시인 매요신(梅堯臣)의 숙부로, 시독학사(侍讀學士) 등을 역임함.
964~104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