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매헌(梅軒)@허기 - 허기(許愭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천(陽川). 전리 판서(典理判書)를 지낸 허금(許錦)의 아들로, 판봉상시사(判奉常寺事) 등을 지내고, 저서로 《매헌시집(梅軒詩集)》이 있음.
1365~1431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양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매헌(梅軒)@곽수강 - 곽수강(郭壽岡)
조선 효종(孝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현풍(玄風). 1654년(효종 5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고 1658년 성균관에 들어가 경의(經義)를 연구하였으나, 대과(大科) 응시 전에 죽었음.
1619~166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문사>유학
-
매헌(梅軒)@염제신 - 염제신(廉悌臣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서원(瑞原)으로, 공민왕의 비(妃)인 신비(愼妃)의 아버지. 어려서 원(元) 나라에 건너가 진종(晉宗)을 시종하여 상의사(尙衣使)가 되고, 귀국하여 삼사좌사(三司左使)ㆍ수문하시중(守門下侍中) 등을 지냄.
1304~1382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매헌(梅軒)@김기손 - 김기손(金驥孫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이며, 김일손(金馹孫)의 중형(仲兄).
1455~149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청도ㅣ경상도>밀양ㅣ경기도>용인 , 인명>관인>문신
-
매헌(梅軒) - 권눌(權訥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안동(安東). 권호문(權好文)ㆍ김언기(金彦璣)의 문인(門人)으로, 와룡산 아래 원광정사(遠光精舍)를 짓고 후진을 양성함.
1547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
-
매헌(梅軒)@권우 - 권우(權遇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안동(安東). 고려 말에 출사하고, 조선 건국 뒤에도 계속 등용되어 집현전 직제학(集賢殿直提學) 등을 지내면서 정인지(鄭麟趾) 등 여러 문인을 양성함.
1363~1419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문사>학자
-
매헌(梅軒)@이인형 - 이인형(李仁亨)
조선 세조(世祖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안(咸安). 대사헌(大司憲) 등을 지내며 치정에 힘썼으나 무오사화(戊午士禍) 때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이라는 이유로 부관참시(剖棺斬屍) 당함. 1506년(중종 1) 예조 판서(禮曹判書)에 추증됨.
1436~149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안 , 인명>관인>문신
-
매헌(梅軒)@금보 - 금보(琴輔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ㆍ서화가. 본관은 봉화(奉化)로, 이황(李滉)의 문인. 글씨에 뛰어나 이숙량(李叔樑)ㆍ오수영(吳守盈)과 더불어 선성삼필(宣城三筆)이라 불렸으며, 퇴계묘비(退溪墓碑)ㆍ도산신판(陶山神版) 등을 씀.
1521~158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봉화ㅣ경상도>예안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문사>학자
-
매호(梅湖)@권행가 - 권행가(權行可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권선문(權善文)의 아들이며, 숙부 권호문(權好文)에게 입양됨. 김성일(金誠一)과 권대기(權大器)의 문인(門人). 임진왜란(壬辰倭亂)이 일어나자 안동(安東)에서 의병대장 김해(金垓)를 도움.
1553~162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매호(梅湖) - 진화(陳澕)
고려 신종(神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ㆍ문인. 본관은 여양(驪陽). 추밀부사(樞密副使)를 지낸 진광현(陳光賢)의 아들로, 지공주사(知公州事)를 지냄. 시에 뛰어나 이규보(李奎報)와 함께 이름을 떨침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홍주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매호(梅湖)@조우인 - 조우인(曺友仁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광해군(光海君)을 풍자하는 시를 지어 투옥되었다가 인조반정(仁祖反正)으로 풀려나 우부승지(右副承旨) 등을 지냄. 시ㆍ글씨ㆍ그림에 능했음.
1561~162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함창 , 인명>관인>문신
-
매홀(買忽) - 수원(水原)
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 사도세자(思悼世子)의 능(陵)이 수원 읍치의 진산인 화산(華山)에 있음.
경기도>수원 , 지명>행정지명
-
맥수가(麥穗歌) - 맥수가(麥秀歌)
중국 은(殷) 나라의 현인(賢人)인 기자(箕子)가 멸망한 은 나라의 옛터를 지나며 읊은 노래. 옛 궁궐 터에 보리가 자라난 것을 보고 그 폐허를 슬퍼한 망국애가(亡國哀歌)임.
중국>주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맥황수(麥黃水) - 황하(黃河)
중국 청해성(青海省) 파안(巴顏) 객라산(喀喇山)에서 발원하여 감숙성(甘肅省)ㆍ섬서성(陝西省)ㆍ하남성(河南省)ㆍ산동성(山東省) 등을 거쳐 발해만(渤海灣)으로 흘러 들어가는 강. 중국에서 두 번째로 긴 강으로, 고대 문명의 발상지로 유명함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맹(孟) - 김맹(金孟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감찰 등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고, 세조(世祖) 때 좌익 원종공신(佐翼原從功臣)에 책록됨.
1410~148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청도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맹^한(孟^韓) - 한^맹(韓^孟)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한유(韓愈)와 시인인 맹교(孟郊)를 함께 부르는 말. 문장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.
중국>당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맹가(孟軻) - 맹자(孟子)
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. 인의설(仁義說)ㆍ성선설(性善說)ㆍ왕도정치론(王道政治論)을 역설하였으며, 유교를 도덕학(道德學)으로서 확립하고 정치론(政治論)으로서 정비함.
B.C.371?~B.C.289?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성현
-
맹강(孟鋼) - 김맹강(金孟鋼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산(安山). 김필(金珌)ㆍ김장(金璋)의 아버지. 1483년(성종 14) 춘당대시(春塘臺試)에 급제했으며, 승문원 교감(承文院校勘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맹견(孟堅)@김맹견 - 김맹견(金孟堅)
고려 후기의 무신ㆍ문인. 계림 참군(雞林參軍)을 지냈으며, 이곡(李穀)ㆍ민사평(閔思平)과 교유함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무신
-
맹견(孟堅) - 반고(班固)
중국 후한(後漢)의 문인ㆍ학자. 《한서(漢書)》를 저술하고 《백호통의(白虎通義)》를 편찬함. 화제(和帝) 때 두헌(竇憲)의 반란 사건에 연좌되어 옥사(獄死)함.
32~92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