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남재적고(南齋摘稿)
중국 명(明) 나라 문신인 위기(魏驥)의 문집. 10권. 평소에 쓴 많은 양의 글 중에 유익한 내용들만 간추려 간행함.
중국>명 , 중국 , 문헌>서명
-
남전현승청벽기(藍田縣丞廳壁記)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신ㆍ문인인 한유(韓愈)가 지은 글. 한유의 박학다재한 벗 최사립(崔斯立)이 남전현(藍田縣)의 승(丞)이 되어 지위만 높고 할 일은 없자 한탄하면서 유유자적하였다는 내용을 담음.
중국>당 , 중국 , 문헌>작품명
-
남정(南鼎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1462년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한 후 승문원 박사(承文院博士)를 지냈음. 김종직(金宗直)의 《점필재집(佔畢齋集)》에 화답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남제(南悌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남효온(南孝溫)의 숙부. 성균관 사예(成均館司藝)ㆍ예조 좌랑(禮曹佐郞)을 역임함. 강희맹(姜希孟) 누이의 아들로, 《사숙재집(私淑齋集)》에 강희맹의 기시(寄詩)가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남제(南齊)
중국 남북조시대 남조(南朝)의 두 번째 왕조. 남조 송(南朝宋)의 장군 소도성(蕭道成)이 순제(順帝)로부터 양위(讓位)를 받아 세웠으며, 7대 24년간 존속.
479~502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시간>국명
-
남제운(南霽雲)
중국 당(唐) 나라 현종(玄宗)~숙종(肅宗) 때의 장군. 안녹산(安祿山)의 반군과 맞서 싸우다 패하여 잡힌 후 항복을 거부하고 처형됨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남좌시(南佐時)
고려 우왕(禑王) 때의 무신. 1381년 밀직부사(密直副使) 권현룡(權玄龍)과 함께 강릉도(江陵道)에 침입한 왜구를 격파함.
?~1387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관인>무신
-
남지(南智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의령(宜寧). 남경문(南景文)의 아들이며, 안평대군(安平大君)의 사돈. 문종(文宗) 때 좌의정으로 황보인(皇甫仁) 등과 함께 단종(端宗) 보필에 관한 고명(顧命)을 받았으며, 계유정난(癸酉靖難) 때 풍질(風疾)로 인해 화를 면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남지(南輊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령(宜寧). 남상명(南尙明)의 아들이며, 남계당(南季堂)의 아버지. 1442년(세종 24) 친시 문과(親試文科)에 급제하였으며, 소윤(少尹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남지언(南知言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효자. 본관은 고성(固城). 남인(南寅)의 아들이며, 남정(嵐亭) 김시창(金始昌)의 사위이자 문인. 김천도 찰방(金泉道察訪)을 지냈으며, 말년에 황간(黃澗)에 삼괴당(三槐堂)을 짓고 후학 교육에 전념함.
1507~?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황간 , 인명>기타인명>효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남지탁(南之卓)
고려시대의 문신. 본관은 의령(宜寧)으로, 문하시중(門下侍中)을 지낸 남을번(南乙蕃)의 선조.
한국>고려시대 , 경상도>의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남진(南振)
조선 전기의 학자. 본관은 의령(宜寧). 일찍이 학문(學問)에 뜻을 두어 독학(篤學)하여 도학(道學)에 능했으며, 후진 양성에 힘썼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문사>학자
-
남진(南軫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의령(宜寧). 남세걸(南世傑)의 아들로, 세 살 때 부모를 여의고 외가(外家)에서 성장한 뒤 벼슬길을 접은 채 평생 독서를 일삼음.
1520~157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문사>유학
-
남창(南昌)
중국 강서성(江西省)의 성도(省都). 한(漢) 나라 때 설치되어 예장군(豫章郡)의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가 수(隋) 나라 이후로 홍주(洪州)라는 이름으로 번갈아 바뀌었음. 시문(詩文)의 소재로 자주 등장하는 등왕각(滕王閣)이 이곳에 있음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남창잡고(南窓雜稿)
조선 명종(明宗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인 김현성(金玄成)의 시집(詩集). 1책. 목판본. 1634년(인조 12) 오숙(吳䎘)에 의해 편집, 간행되었으며, 권두에 장유(張維)의 서문이 있고, 총 138수의 시가 실려 있음.
1634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남천로(南天老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의령(宜寧). 풍저창 부사(豐儲倉副使) 남익지(南益胝)의 아들로, 지영광군사(知靈光郡事)를 지냈으며, 조선 개국공신(開國功臣)인 두 손자 남재(南在)ㆍ남은(南誾)의 공으로 문하시중(門下侍中)에 추증됨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관인>문신
-
남천택(南天澤)
조선 인조(仁祖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양(英陽). 남잡(南磼)의 아들로, 1648년(인조 26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였으며, 승정원 승지(承政院承旨) 등을 지냄.
1619~?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남초(南怊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의령(宜寧). 생원 남경창(南慶昌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문사>유학
-
남초암(南草菴)
강원도 금강산(金剛山) 미륵봉(彌勒峯)의 남쪽 가장 깊숙한 곳에 있는 암자.
강원도>고성 , 유적>건물>사찰
-
남추(南趎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조광조(趙光祖) 일파로 몰려 남곤(南袞)에 의해 추방된 뒤 영광(靈光)으로 내려가 시작(詩作)으로 여생을 마침.
1499~152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영광ㅣ전라도>곡성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