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맹손(孟孫) - 맹손씨(孟孫氏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공족(公族). 숙손씨(叔孫氏)ㆍ계손씨(季孫氏)와 함께 노 나라의 세 공족 중 하나. 환공(桓公)의 아들인 경보(慶父)의 후손으로, 대대로 대부의 벼슬을 계승하고 노 나라의 국정을 농단(弄斷)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집단>성씨
-
맹손(孟孫)@권맹손 - 권맹손(權孟孫)
조선 태종(太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예천(醴泉). 변계량(卞季良)의 문인으로, 1408년(태종 8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양주 목사(楊州牧使)ㆍ중추원사(中樞院使) 등을 지냄.
1390~145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천 , 인명>관인>문신
-
맹손(孟孫)@두고 - 두고(竇固)
중국 후한(後漢) 광무제(光武帝)~장제(章帝) 때의 장수. 흉노족(匈奴族)을 공격하고 물리치는 공을 세웠음.
?~88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맹손(孟孫)@맹의자 - 맹의자(孟懿子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대부. 공자(孔子)에게 효(孝)에 대해 물은 일이 《논어(論語)》 위정편(爲政篇)에 실려 있음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맹손씨(孟孫氏)@맹의자 - 맹의자(孟懿子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대부. 공자(孔子)에게 효(孝)에 대해 물은 일이 《논어(論語)》 위정편(爲政篇)에 실려 있음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맹숙(孟叔) - 이윤손(李允孫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가평(加平). 1455년(세조 1) 세조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원종공신(元從功臣)에 녹훈되고, 중추부지사(中樞府知事)를 지냄.
1414~146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맹순(孟淳) - 어맹순(魚孟淳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종(咸從)으로, 적개공신(敵愾功臣) 어세공(魚世恭)의 아들.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ㆍ군기시 부정(軍器寺副正) 등을 지냄.
1467~1514 한국>조선전기 , 평안도>함종 , 인명>관인>문신
-
맹씨서(孟氏書) - 맹자(孟子)@문헌
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인 맹자(孟子)가 저술한 유교 경전(儒敎經典). 왕도정치(王道政治)ㆍ성선설(性善說) 등의 내용을 담고 있음. 사서(四書)의 하나로, 7편으로 구성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맹씨자(孟氏子) - 맹자(孟子)
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. 인의설(仁義說)ㆍ성선설(性善說)ㆍ왕도정치론(王道政治論)을 역설하였으며, 유교를 도덕학(道德學)으로서 확립하고 정치론(政治論)으로서 정비함.
B.C.371?~B.C.289?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성현
-
맹암(孟巖) - 김영렬(金英烈)
조선 태조(太祖)~태종(太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제2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좌명공신(佐命功臣)에 책록됨.
?~140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성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맹양(孟陽)@장재 - 장재(張載)@남북조(晉)
중국 남북조시대(南北朝時代) 진(晉) 나라의 문신ㆍ문인. 박학(博學)하고 문장을 잘했으며, 두 동생도 문명(文名)이 있어서 삼장(三張)이라 불렸음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맹양(孟陽) - 이서(李舒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ㆍ효자. 본관은 홍주(洪州). 고려 우왕(禑王) 때 6년간의 여묘살이로 정문(旌門)을 받았으며, 조선 건국 후 개국공신(開國功臣)에 책록되고, 영의정 등을 지냄.
1332~1410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홍주 , 인명>기타인명>효자ㅣ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맹양주(孟涼州) - 맹타(孟他)
중국 후한(後漢) 때의 문신. 영제(靈帝) 때의 환관인 장양(張讓)에게 포도주 1말을 바쳐 양주 자사(涼州刺史)가 되었다고 함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맹언(孟彦) - 이세좌(李世佐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이극감(李克堪)의 아들로, 무오사화 때 김종직(金宗直)을 극형에 처하도록 주장함. 연산군의 생모인 윤씨(尹氏) 폐위에 극간하지 않고 사약을 전하였다는 죄목으로 갑자사화 때 자살의 명을 받음.
1445~1504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맹연(孟淵) - 최맹연(崔孟淵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중종(中宗) 때의 유학인 최징(崔澄)의 아버지로, 서부 주부(西部主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맹영(孟英) - 고맹영(高孟英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장흥(長興)으로, 의병장 고경명(高敬命)의 아버지. 호조 참의(戶曹參議) 등을 지냈으나 이량(李樑)의 당여(黨與)로서 이량이 실각하자 함께 유배됨.
1502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흥 , 인명>관인>문신
-
맹온(孟溫) - 성맹온(成孟溫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성준(成俊)의 조카로, 연산군 때 부관참시(剖棺斬屍)를 당함. 이행(李荇)의 《용재집(容齋集)》에 그의 죽음을 애도하는 글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맹용(孟容) - 심연원(沈連源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김안국(金安國)의 문인.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위사공신(衛社功臣)에 녹훈되고, 감춘추관사(監春秋館事)로 《인종실록(仁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함.
1491~155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청송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맹용(孟容)@유맹용 - 유맹용(劉孟容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장사(長沙)와 남강(南康)의 수령을 지냄. 주희(朱熹)가 “근결자호(謹潔自好)하며, 학문에 방도가 있다”고 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맹우(孟友) - 이맹우(李孟友)
조선 전기의 공신ㆍ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광국공신(光國功臣) 홍성민(洪聖民)의 외조부로,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되었으며 자산 군수(慈山郡守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