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맹양(孟陽) - 이서(李舒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ㆍ효자. 본관은 홍주(洪州). 고려 우왕(禑王) 때 6년간의 여묘살이로 정문(旌門)을 받았으며, 조선 건국 후 개국공신(開國功臣)에 책록되고, 영의정 등을 지냄.
1332~1410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홍주 , 인명>기타인명>효자ㅣ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맹양주(孟涼州) - 맹타(孟他)
중국 후한(後漢) 때의 문신. 영제(靈帝) 때의 환관인 장양(張讓)에게 포도주 1말을 바쳐 양주 자사(涼州刺史)가 되었다고 함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맹언(孟彦) - 이세좌(李世佐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이극감(李克堪)의 아들로, 무오사화 때 김종직(金宗直)을 극형에 처하도록 주장함. 연산군의 생모인 윤씨(尹氏) 폐위에 극간하지 않고 사약을 전하였다는 죄목으로 갑자사화 때 자살의 명을 받음.
1445~1504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맹연(孟淵) - 최맹연(崔孟淵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중종(中宗) 때의 유학인 최징(崔澄)의 아버지로, 서부 주부(西部主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맹영(孟英) - 고맹영(高孟英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장흥(長興)으로, 의병장 고경명(高敬命)의 아버지. 호조 참의(戶曹參議) 등을 지냈으나 이량(李樑)의 당여(黨與)로서 이량이 실각하자 함께 유배됨.
1502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흥 , 인명>관인>문신
-
맹온(孟溫) - 성맹온(成孟溫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성준(成俊)의 조카로, 연산군 때 부관참시(剖棺斬屍)를 당함. 이행(李荇)의 《용재집(容齋集)》에 그의 죽음을 애도하는 글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맹용(孟容) - 심연원(沈連源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김안국(金安國)의 문인.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위사공신(衛社功臣)에 녹훈되고, 감춘추관사(監春秋館事)로 《인종실록(仁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함.
1491~155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청송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맹용(孟容)@유맹용 - 유맹용(劉孟容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장사(長沙)와 남강(南康)의 수령을 지냄. 주희(朱熹)가 “근결자호(謹潔自好)하며, 학문에 방도가 있다”고 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맹우(孟友) - 이맹우(李孟友)
조선 전기의 공신ㆍ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광국공신(光國功臣) 홍성민(洪聖民)의 외조부로,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되었으며 자산 군수(慈山郡守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맹운(孟雲) - 한수(韓脩)
고려 충목왕(忠穆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ㆍ서예가. 이제현(李齊賢)에게 경사(經史)와 서법(書法)을 배우고, 이색(李穡)ㆍ이숭인(李崇仁) 등과 교유하였으며, 찬화공신(贊化功臣)에 책록됨. 지행과 식견이 뛰어나고, 특히 글씨에 능하여 많은 필적을 남김.
1333~1384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맹원(孟元) - 이맹원(李孟元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전주(全州). 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 이몽필(李夢弼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맹의(孟儀) - 유창(劉敞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강릉유씨(江陵劉氏)의 시조로, 조선 건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(開國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태조(太祖)에게 여러 차례 《대학연의(大學衍義)》를 진강함.
?~1421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맹의(孟義) - 유창(劉敞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강릉유씨(江陵劉氏)의 시조로, 조선 건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(開國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태조(太祖)에게 여러 차례 《대학연의(大學衍義)》를 진강함.
?~1421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맹자대전(孟子大全) - 맹자(孟子)@문헌
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인 맹자(孟子)가 저술한 유교 경전(儒敎經典). 왕도정치(王道政治)ㆍ성선설(性善說) 등의 내용을 담고 있음. 사서(四書)의 하나로, 7편으로 구성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맹저(孟諸) - 척계광(戚繼光)
중국 명(明) 나라 세종(世宗)~신종(神宗) 때의 무신. 연해 지방에 왜구(倭寇)가 기승을 부리자 병사를 모집하고 새로운 진법(陣法)을 마련하여 왜구 격퇴에 많은 공을 세웠으며, 《기효신서(紀效新書)》 등을 저술함.
1528~1587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맹전(孟全) - 이맹전(李孟全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유학. 거제도(巨濟島)로 귀양 온 이행(李荇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거제 , 인명>문사>유학
-
맹전(孟專) - 이맹전(李孟專)
조선 세종(世宗)~단종(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벽진(碧珍). 생육신(生六臣)의 한 사람으로, 계유정난(癸酉靖難)이 일어나자 고향인 선산(善山)으로 내려가 평생 두문불출하며 단종에 대한 절개를 지킴.
1392~148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맹정(孟亭) - 맹호연(孟浩然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. 오언시(五言詩)를 잘하여 왕유(王維)와 비견됨.
689~740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맹정(孟庭) - 맹모(孟母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추(鄒) 나라의 학자인 맹자(孟子)의 어머니. 맹자에 대한 헌신적인 교육으로 유명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맹종(孟宗)@이맹종 - 이맹종(李孟宗)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조(太祖)의 넷째 아들인 회안대군(懷安大君) 이방간(李芳幹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