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맹운(孟雲) - 한수(韓脩)
고려 충목왕(忠穆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ㆍ서예가. 이제현(李齊賢)에게 경사(經史)와 서법(書法)을 배우고, 이색(李穡)ㆍ이숭인(李崇仁) 등과 교유하였으며, 찬화공신(贊化功臣)에 책록됨. 지행과 식견이 뛰어나고, 특히 글씨에 능하여 많은 필적을 남김.
1333~1384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맹원(孟元) - 이맹원(李孟元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전주(全州). 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 이몽필(李夢弼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맹의(孟儀) - 유창(劉敞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강릉유씨(江陵劉氏)의 시조로, 조선 건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(開國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태조(太祖)에게 여러 차례 《대학연의(大學衍義)》를 진강함.
?~1421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맹의(孟義) - 유창(劉敞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강릉유씨(江陵劉氏)의 시조로, 조선 건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(開國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태조(太祖)에게 여러 차례 《대학연의(大學衍義)》를 진강함.
?~1421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맹자대전(孟子大全) - 맹자(孟子)@문헌
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인 맹자(孟子)가 저술한 유교 경전(儒敎經典). 왕도정치(王道政治)ㆍ성선설(性善說) 등의 내용을 담고 있음. 사서(四書)의 하나로, 7편으로 구성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맹저(孟諸) - 척계광(戚繼光)
중국 명(明) 나라 세종(世宗)~신종(神宗) 때의 무신. 연해 지방에 왜구(倭寇)가 기승을 부리자 병사를 모집하고 새로운 진법(陣法)을 마련하여 왜구 격퇴에 많은 공을 세웠으며, 《기효신서(紀效新書)》 등을 저술함.
1528~1587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맹전(孟全) - 이맹전(李孟全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유학. 거제도(巨濟島)로 귀양 온 이행(李荇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거제 , 인명>문사>유학
-
맹전(孟專) - 이맹전(李孟專)
조선 세종(世宗)~단종(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벽진(碧珍). 생육신(生六臣)의 한 사람으로, 계유정난(癸酉靖難)이 일어나자 고향인 선산(善山)으로 내려가 평생 두문불출하며 단종에 대한 절개를 지킴.
1392~148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맹정(孟亭) - 맹호연(孟浩然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. 오언시(五言詩)를 잘하여 왕유(王維)와 비견됨.
689~740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맹정(孟庭) - 맹모(孟母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추(鄒) 나라의 학자인 맹자(孟子)의 어머니. 맹자에 대한 헌신적인 교육으로 유명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맹종(孟宗)@이맹종 - 이맹종(李孟宗)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조(太祖)의 넷째 아들인 회안대군(懷安大君) 이방간(李芳幹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맹좌(盲左) - 좌구명(左丘明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학자. 태사(太史)를 지냈으며, 《춘추좌씨전(春秋左氏傳)》ㆍ《국어(國語)》를 저술하였다고 전해짐. 그의 사적(事跡)에 대해서는 학자들의 이설(異說)이 분분함.
?~B.C.450?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맹주(孟周) - 이정보(李廷俌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로, 경기좌도 관찰사(京畿左道觀察使)를 지냈음. 이색(李穡)이 지어준 자설(字說)이 《목은고(牧隱藁)》와 《동문선(東文選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맹지(孟智) - 박맹지(朴孟智)
조선 단종(端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반남(潘南). 세조(世祖)의 부름을 사양하고 함양(咸陽)에 은거하면서 성리학을 연구하였으며, 성종 때 사헌부 집의(司憲府執義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맹지(孟知) - 이맹지(李孟知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단양(丹陽)으로, 장령(掌令) 이겸(李謙)의 아버지. 춘당대시(春塘臺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현감(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맹진(孟畛) - 이맹진(李孟畛)
조선 태종(太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. 이색(李穡)의 손자로, 판중추원사(判中樞院事) 등을 지냄. 아들 이유기(李裕基)가 단종복위운동에 가담하였다가 죽고 일가족이 노비가 되나, 세조의 특명으로 부자연좌(父子緣坐)에서 풀려남.
1374~1456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맹충(孟忠) - 황치신(黃致身)
조선 태종(太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장수(長水)로, 황희(黃喜)의 아들. 음보(蔭補)로 등용되어 판중추부사(判中樞府事)에 이름. 형조 정랑(刑曹正郞) 시절 세도가에서 평민을 노비로 삼아 50여 년 소송하던 사건을 한 달 만에 해결하여 양민으로 복적시킴.
1397~148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수 , 인명>관인>문신
-
맹측(孟側) - 맹지반(孟之反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노(魯) 나라의 대부. 《논어(論語)》에 나오는 인물로, 공(功)을 자랑하지 않은 것으로 유명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맹타(孟佗) - 맹타(孟他)
중국 후한(後漢) 때의 문신. 영제(靈帝) 때의 환관인 장양(張讓)에게 포도주 1말을 바쳐 양주 자사(涼州刺史)가 되었다고 함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맹태산(孟泰山) - 맹자(孟子)
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. 인의설(仁義說)ㆍ성선설(性善說)ㆍ왕도정치론(王道政治論)을 역설하였으며, 유교를 도덕학(道德學)으로서 확립하고 정치론(政治論)으로서 정비함.
B.C.371?~B.C.289?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성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