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맹태후(孟太后) - 소자성헌황후(昭慈聖獻皇后)
중국 송(宋) 나라 철종(哲宗)의 황후(皇后). 철종ㆍ휘종(徽宗) 때 폐출되었으나 복위되어 흠종(欽宗)ㆍ고종(高宗)에 걸쳐 두 차례 수렴청정(垂簾聽政)을 함.
1073~113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왕실>왕비
-
맹평(孟平) - 신사형(辛士衡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산(靈山). 1537년(중종 32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여 초계 군수(草溪郡守)ㆍ상주 목사(尙州牧使) 등을 지냈으며, 문장에 뛰어났음.
1506~157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맹하(孟夏) - 남맹하(南孟夏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의령(宜寧). 통례(通禮)를 지낸 남경춘(南慶春)의 아들로, 송인(宋寅)ㆍ박민헌(朴民獻)ㆍ김사원(金士元)과 친교(親交)함.
1523~155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맹함(孟諴) - 김맹함(金孟諴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안동(安東). 김작(金碏)의 아들이며, 정언(正言) 김형(金泂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맹헌(孟獻)@황맹헌 - 황맹헌(黃孟獻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공신. 본관은 장수(長水). 영의정 황희(黃喜)의 현손이며 김해 부사(金海府使) 황관(黃瓘)의 아들.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가담하고, 이과(李顆)의 옥사(獄事)를 다스린 공으로 정난공신(定難功臣)에 책록됨.
1472~153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맹헌(孟獻) - 축맹헌(祝孟獻)
중국 명(明) 나라의 문신. 조선 태종(太宗) 때 태복시 소경(太僕寺少卿)으로서 예부 주사(禮部主事) 육옹(陸顒)과 함께 조선에 사신으로 나옴.
1344~1412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맹헌(孟獻)@주맹헌 - 주맹헌(周孟獻)
조선 효종(孝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인. 본관은 상주(尙州)로, 주세붕(周世鵬)의 현손이자, 주진원(周震元)의 아들. 허목(許穆)ㆍ조임도(趙任道)에게 수학하고 학문에 힘썼으며, 덕연서원(德淵書院)을 중건하여 사액(賜額)을 받음.
1617~170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문사>문인
-
맹현(孟賢) - 이맹현(李孟賢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재령(載寧). 울진 현령(蔚珍縣令) 이애(李璦)ㆍ직장(直長) 이날(李㻋)의 아버지로, 황해도 관찰사(黃海道觀察使) 등을 지내고, 1464년(세조 10) 수찬낭관(修撰郞官)으로 《동국통감(東國通鑑)》편수에 참여함.
1436~148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맹현(孟賢)@원맹현 - 원맹현(元孟賢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원주(原州). 의서 습독관(醫書習讀官)을 지낸 원주(元柱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맹호(孟浩) - 맹호연(孟浩然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. 오언시(五言詩)를 잘하여 왕유(王維)와 비견됨.
689~740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맹화(孟和) - 김맹화(金孟和)
조선 전기의 유학. 김안국(金安國)의 《모재집(慕齋集)》에 관련 시편(詩篇)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맹황후(孟皇后) - 소자성헌황후(昭慈聖獻皇后)
중국 송(宋) 나라 철종(哲宗)의 황후(皇后). 철종ㆍ휘종(徽宗) 때 폐출되었으나 복위되어 흠종(欽宗)ㆍ고종(高宗)에 걸쳐 두 차례 수렴청정(垂簾聽政)을 함.
1073~113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왕실>왕비
-
맹후(孟厚) - 배맹후(裵孟厚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로, 감찰(監察)을 지낸 배진(裵縉)의 아들. 대사헌(大司憲)ㆍ이조 참의(吏曹參議) 등을 지냈으며, 강직한 성품으로 조정의 기강을 바로잡고 불교를 배척하였음.
1448~147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맹후(孟后) - 소자성헌황후(昭慈聖獻皇后)
중국 송(宋) 나라 철종(哲宗)의 황후(皇后). 철종ㆍ휘종(徽宗) 때 폐출되었으나 복위되어 흠종(欽宗)ㆍ고종(高宗)에 걸쳐 두 차례 수렴청정(垂簾聽政)을 함.
1073~113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왕실>왕비
-
맹희(孟熙) - 유종춘(柳宗春)
조선 정조(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豐山). 유운(柳澐)의 아들로, 도사(都事)를 지냄. 정유일(鄭惟一)의 《문봉집(文峯集)》을 간행할 때 정유일이 수행했던 원접사(遠接使) 일행의 기록을 보내주어 문집 간행에 도움을 줌.
1720~179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맹희(孟禧)@장맹희 - 장맹희(張孟禧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덕수(德水). 상의원 정(尙衣院正)을 지낸 장충보(張忠輔)의 아버지로, 훈련원 참군(訓鍊院參軍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풍덕 , 인명>관인>문신
-
맹희(孟禧) - 권맹희(權孟禧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좌익공신(佐翼功臣) 권개(權愷)의 아들로, 1465년(세조 11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좌부승지(左副承旨)ㆍ도승지(都承旨)를 지냄. 1470년(성종 1)에 반역죄에 연루되어 죽음.
?~147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멱라(汨羅) - 굴원(屈原)
중국 춘추전국시대 초(楚) 나라의 대부ㆍ시인. 회왕(懷王)의 좌도(左徒)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(政敵)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(汨羅水)에 투신하여 죽음.
B.C.343~B.C.277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경대부
-
멱수(汨水) - 멱라수(汨羅水)
중국 호남성(湖南省) 상음현(湘陰縣)의 북쪽에 있는 강. 춘추전국시대 초(楚)나라 삼려대부(三閭大夫) 굴원(屈原)이 주위(周圍)의 참소로 분함을 못 이겨 빠져 죽은 곳으로 유명함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면(免) - 박면(朴免)
고려 말~조선 초의 문인. 권근(權近)ㆍ이숭인(李崇仁) 등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인명>문사>문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