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맹황후(孟皇后) - 소자성헌황후(昭慈聖獻皇后)
중국 송(宋) 나라 철종(哲宗)의 황후(皇后). 철종ㆍ휘종(徽宗) 때 폐출되었으나 복위되어 흠종(欽宗)ㆍ고종(高宗)에 걸쳐 두 차례 수렴청정(垂簾聽政)을 함.
1073~113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왕실>왕비
-
맹후(孟厚) - 배맹후(裵孟厚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로, 감찰(監察)을 지낸 배진(裵縉)의 아들. 대사헌(大司憲)ㆍ이조 참의(吏曹參議) 등을 지냈으며, 강직한 성품으로 조정의 기강을 바로잡고 불교를 배척하였음.
1448~147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맹후(孟后) - 소자성헌황후(昭慈聖獻皇后)
중국 송(宋) 나라 철종(哲宗)의 황후(皇后). 철종ㆍ휘종(徽宗) 때 폐출되었으나 복위되어 흠종(欽宗)ㆍ고종(高宗)에 걸쳐 두 차례 수렴청정(垂簾聽政)을 함.
1073~113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왕실>왕비
-
맹희(孟熙) - 유종춘(柳宗春)
조선 정조(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豐山). 유운(柳澐)의 아들로, 도사(都事)를 지냄. 정유일(鄭惟一)의 《문봉집(文峯集)》을 간행할 때 정유일이 수행했던 원접사(遠接使) 일행의 기록을 보내주어 문집 간행에 도움을 줌.
1720~179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맹희(孟禧)@장맹희 - 장맹희(張孟禧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덕수(德水). 상의원 정(尙衣院正)을 지낸 장충보(張忠輔)의 아버지로, 훈련원 참군(訓鍊院參軍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풍덕 , 인명>관인>문신
-
맹희(孟禧) - 권맹희(權孟禧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좌익공신(佐翼功臣) 권개(權愷)의 아들로, 1465년(세조 11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좌부승지(左副承旨)ㆍ도승지(都承旨)를 지냄. 1470년(성종 1)에 반역죄에 연루되어 죽음.
?~147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멱라(汨羅) - 굴원(屈原)
중국 춘추전국시대 초(楚) 나라의 대부ㆍ시인. 회왕(懷王)의 좌도(左徒)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(政敵)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(汨羅水)에 투신하여 죽음.
B.C.343~B.C.277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경대부
-
멱수(汨水) - 멱라수(汨羅水)
중국 호남성(湖南省) 상음현(湘陰縣)의 북쪽에 있는 강. 춘추전국시대 초(楚)나라 삼려대부(三閭大夫) 굴원(屈原)이 주위(周圍)의 참소로 분함을 못 이겨 빠져 죽은 곳으로 유명함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면(免) - 박면(朴免)
고려 말~조선 초의 문인. 권근(權近)ㆍ이숭인(李崇仁) 등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인명>문사>문인
-
면(勉)@조선후기 - 이면(李勉)@조선후기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전의(全義). 부제학(副提學)을 지낸 이해수(李海壽)의 종자(從子).
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문사>유학
-
면(勉)@조선전기 - 이면(李勉)@조선전기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전의(全義). 이진효(李震孝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8년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면(愐) - 강면(姜愐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남평 현감(南平縣監)을 지낸 강종윤(姜宗胤)의 아들로, 함경도 도사(咸鏡道都事)를 지냄.
1567~?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대흥 , 인명>관인>문신
-
면(沔)@김면 - 김면(金沔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의병장ㆍ학자. 경원 부사(慶源府使) 김세문(金世文)의 아들이며,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. 효렴(孝廉)으로 천거되어 공조 좌랑(工曹佐郞)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했으며, 임진왜란 때 의병을 규합하여 많은 전공(戰功)을 세움.
1541~159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면(沔) - 왕면(王沔)
고려 후기의 종친. 문종(文宗)의 아들인 조선후(朝鮮侯) 왕도(王燾)의 증손. 글씨와 문장에 뛰어났으며 의술에도 정통했음.
?~1218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종친
-
면(沔)@양면 - 양면(楊沔)
조선 세조(世祖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동지돈녕부사(同知敦寧府事) 양후(楊厚)의 손자이며 양자순(楊子淳)의 아들. 교리(校理)ㆍ첨정(僉正) 등을 지냄.
1444~1500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면(眄) - 권면(權眄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안동(安東). 권승(權昇)의 셋째 아들이며, 부안 현감(扶安縣監) 권성(權省)의 아우이자, 여주 목사(驪州牧使) 권현(權睍)의 형.
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홍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면(綿) - 정면(鄭綿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함종 현령(咸從縣令) 정함도(鄭咸道)의 둘째 아들로, 횡성 현감(橫城縣監)을 지냄. 아버지와 삼형제가 동시에 고을 수령이 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함평 , 인명>관인>문신
-
면경(勉卿) - 강신(姜紳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우의정을 지낸 강사상(姜士尙)의 아들로, 병조 정랑(兵曹正郞)을 지낸 강사안(姜士安)에게 출계(出系)함. 선조 때 정여립(鄭汝立)의 모반 사건을 평정한 공으로 평난공신(平難功臣)에 책록됨.
1543~162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면도(勉道) - 이면도(李勉道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이황(李滉)의 종인(宗人)으로, 《퇴계집(退溪集)》에 그의 방문을 기뻐하여 지은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풍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면보(勉甫) - 이윤우(李允耦)
조선 전기의 유학. 김안국(金安國)의 《모재집(慕齋集)》에 그의 집에서 술자리를 함께하며 지은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