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면(勉)@조선후기 - 이면(李勉)@조선후기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전의(全義). 부제학(副提學)을 지낸 이해수(李海壽)의 종자(從子).
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문사>유학
-
면(勉)@조선전기 - 이면(李勉)@조선전기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전의(全義). 이진효(李震孝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8년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면(愐) - 강면(姜愐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남평 현감(南平縣監)을 지낸 강종윤(姜宗胤)의 아들로, 함경도 도사(咸鏡道都事)를 지냄.
1567~?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대흥 , 인명>관인>문신
-
면(沔)@김면 - 김면(金沔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의병장ㆍ학자. 경원 부사(慶源府使) 김세문(金世文)의 아들이며,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. 효렴(孝廉)으로 천거되어 공조 좌랑(工曹佐郞)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했으며, 임진왜란 때 의병을 규합하여 많은 전공(戰功)을 세움.
1541~159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면(沔) - 왕면(王沔)
고려 후기의 종친. 문종(文宗)의 아들인 조선후(朝鮮侯) 왕도(王燾)의 증손. 글씨와 문장에 뛰어났으며 의술에도 정통했음.
?~1218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종친
-
면(沔)@양면 - 양면(楊沔)
조선 세조(世祖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동지돈녕부사(同知敦寧府事) 양후(楊厚)의 손자이며 양자순(楊子淳)의 아들. 교리(校理)ㆍ첨정(僉正) 등을 지냄.
1444~1500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면(眄) - 권면(權眄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안동(安東). 권승(權昇)의 셋째 아들이며, 부안 현감(扶安縣監) 권성(權省)의 아우이자, 여주 목사(驪州牧使) 권현(權睍)의 형.
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홍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면(綿) - 정면(鄭綿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함종 현령(咸從縣令) 정함도(鄭咸道)의 둘째 아들로, 횡성 현감(橫城縣監)을 지냄. 아버지와 삼형제가 동시에 고을 수령이 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함평 , 인명>관인>문신
-
면경(勉卿) - 강신(姜紳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우의정을 지낸 강사상(姜士尙)의 아들로, 병조 정랑(兵曹正郞)을 지낸 강사안(姜士安)에게 출계(出系)함. 선조 때 정여립(鄭汝立)의 모반 사건을 평정한 공으로 평난공신(平難功臣)에 책록됨.
1543~162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면도(勉道) - 이면도(李勉道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이황(李滉)의 종인(宗人)으로, 《퇴계집(退溪集)》에 그의 방문을 기뻐하여 지은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풍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면보(勉甫) - 이윤우(李允耦)
조선 전기의 유학. 김안국(金安國)의 《모재집(慕齋集)》에 그의 집에서 술자리를 함께하며 지은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면부(勉夫) - 박전(朴全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무안(務安). 중종(中宗) 때의 유학 박원기(朴元基)의 아들이자 광해군(光海君) 때 경상 도사(慶尙都事) 등을 지낸 박선장(朴善長)의 아버지로, 호조 정랑(戶曹正郞) 등을 지냄.
1514~1558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무안 , 인명>관인>문신
-
면성군(沔城君)@구영검 - 구영검(具榮儉)
고려 후기의 문신. 원(元) 나라의 장사성(張士誠)이 난을 일으켰을 때 원나라의 요청으로 유탁(柳濯)ㆍ인당(印當) 등과 함께 출전함. 부인 장씨(張氏)의 외삼촌 김성(金成)의 간교로 누명을 쓰고 참살됨.
?~1356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능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면성군(沔城君) - 한규(韓珪)
조선 태조(太祖)~태종(太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제2차 왕자(王子)의 난(亂)을 평정하고 태종이 왕위에 오르는 데 협력한 공으로 좌명공신(佐命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중군절제사(中軍節制使) 등을 역임함.
?~1416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면성부원군(沔城府院君)@구예 - 구예(具藝)
고려 후기의 문신. 능성구씨(綾城具氏)의 비조(鼻祖). 판전의사(判典儀事)를 지냈으며, 면천(沔川)에 사패지(賜牌地)를 받고 면성부원군(沔城府院君)에 봉해짐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능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면성부원군(沔城府院君) - 한규(韓珪)
조선 태조(太祖)~태종(太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제2차 왕자(王子)의 난(亂)을 평정하고 태종이 왕위에 오르는 데 협력한 공으로 좌명공신(佐命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중군절제사(中軍節制使) 등을 역임함.
?~1416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면성부원군(沔城府院君)@구위 - 구위(具褘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능성(綾城). 판의금부사(判義禁府事) 등을 역임하고 뒤에 문하정승(門下政丞)에 추증(追贈)됨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능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면수(沔水) - 한수(漢水)
중국 섬서성(陝西省) 영강현(寧强縣) 북부 반총산(蟠冢山)에서 발원하여 동남부를 거쳐 호북성(湖北省)을 지나 양자강(揚子江)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. 양자강의 최대의 지류임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면수재(勉修齋) - 문자수(文自修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남평(南平). 유궁(儒宮)ㆍ민고(民庫)ㆍ향약(鄕約) 등 고을의 규범을 만들어 현(縣)의 본보기가 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평 , 인명>관인>문신
-
면암(勉菴) - 최익현(崔益鉉)
조선 철종(哲宗)~근대의 문신ㆍ학자. 이항로(李恒老)의 문인으로, 흥선대원군(興宣大院君)의 실정을 비판하여 실각시켰으며,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항일투쟁(抗日鬪爭)을 펼치며 의병을 일으켰다가 체포되어 대마도(對馬島)에서 순절함.
1833~1906 한국>근대ㅣ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포천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