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면재황씨(勉齋黃氏) - 황간(黃榦)
중국 송(宋) 나라 광종(光宗)~영종(寧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주희(朱熹)의 문인이자 사위. 지안경부(知安慶府) 등을 지냈으며 양담계(陽潭溪)에서 담계정사(潭溪精舍)를 세워 저술활동과 후진교육에 힘씀.
1152~1221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면조어(麵條魚) - 백어(白魚)
뱅어. 몸의 길이는 10cm 정도이고 가늘며, 반투명한 흰색이고 배에는 작은 흰색 점이 있음. 《세종실록(世宗實錄)》 〈지리지(地理志)〉와 《신증동국여지승람(新增東國輿地勝覽)》에는 백어(白魚), 《난호어목지(蘭湖漁牧志)》에서는 빙어(氷魚)로 표기됨. 죽었을 때 몸 색깔이 하얗게 변한다 하여 한자어로 백어(白魚)라고 하였음.
자연물>동물
-
면주(沔州) - 면천(沔川)
충청남도 당진(唐津)에 있는 고을 이름.
충청도>면천 , 지명>행정지명
-
면주(綿州) - 무안(務安)
전라남도 서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. 영산강(榮山江)을 사이에 두고 나주(羅州)와 접해 있음.
전라도>무안 , 지명>행정지명
-
면지(勉之)@길면지 - 길면지(吉勉之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해평(海平)으로, 참봉(參奉)을 지낸 길대연(吉大淵)의 아들. 송당(松堂) 박영(朴英)의 문인(門人)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유학
-
면지(勉之) - 이구인(李求仁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춘추관 편수관(春秋館編修官)으로 《명종실록(明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하였으며, 종부시 첨정(宗簿寺僉正) 등을 지냄.
1524~1569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문신
-
면지(勉之)@유면지 - 유면지(劉勉之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호헌(胡憲)ㆍ유자휘(劉子翬)와 깊이 교유함. 주희(朱熹)의 아버지 주송(朱松)의 친우로, 주희가 사부(師父)로 섬김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면진재(勉進齋) - 금응훈(琴應壎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. 영춘 현감(永春縣監)ㆍ양천 현감(陽川縣監) 등을 역임하고 《퇴계집(退溪集)》 간행실무자로 참여함.
1540~161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관인>문신
-
면천(沔川)@구인기 - 구인기(具仁基)
조선 인조(仁祖)의 문신. 해주 목사(海州牧使)를 지낸 구성(具宬)의 아들로, 배천 군수(白川郡守)ㆍ죽산 부사(竹山府使)를 지냈음. 정묘호란(丁卯胡亂) 때 훈련원(訓練院) 장관(將官)들과 더불어 화친을 반대함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능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면호(眠湖) - 김시번(金始蕃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풍(淸風)으로, 영중추부사(領中樞府事) 김신국(金藎國)의 아들. 예조 참의(禮曹參議) 등을 지냈으나, 인조의 며느리인 민회빈강씨(愍懷嬪姜氏)를 구제하려다 파직당함.
1610~?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청풍 , 인명>관인>문신
-
멸오(滅烏) - 용인(龍仁)
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 예로부터 풍수지리상 명당(明堂)이 많은 곳으로 일컬어졌으며, 지금의 용인은 옛 용인ㆍ양지(陽智)ㆍ죽산(竹山)의 일부가 합해 이루어짐.
경기도>용인 , 지명>행정지명
-
멸학(滅學) - 분서갱유(焚書坑儒)
중국 진(秦) 나라 때 시황제(始皇帝)가 천하의 서적을 불태우고 유생들을 생매장하여 죽인 사건. 가혹한 법과 혹독한 정치를 상징함.
B.C.213~B.C.212 중국>진 , 중국 , 사건>기타사건
-
명(溟) - 홍명(洪溟)
조선 태조(太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판사(判事) 홍복해(洪福海)의 아들이며 장양공(莊襄公) 홍사석(洪師錫)의 아버지로, 한성 판윤(漢城判尹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명(蓂)@손명 - 손명(孫蓂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경주(慶州)로, 생원 손흥례(孫興禮)의 아버지. 구봉령(具鳳齡)의 《백담집(栢潭集)》에 화답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명(蓂) - 이명(李蓂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예안(禮安). 이보간(李輔幹)의 아들로, 권신(權臣) 이기(李芑)를 탄핵하고,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화를 입은 사람들의 신원(伸寃)을 주장함. 좌의정 등을 지내고 청백리(淸白吏)에 녹선됨.
1496~157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관인>문신
-
명(銘) - 이명(李銘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남양도호부사(南陽都護府使)를 지낸 이경충(李景忠)의 아들로, 홍문관 교리(弘文館校理)를 지냄.
1521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명각(明覺) - 중현(重顯)
중국 송(宋) 나라 운문종(雲門宗)의 승려. 성도 보안원(成都普安院)의 인선(仁銑)과 지문 광조(智門光祚)에게 사사하였으며, 저서에는 《설두송고(雪竇頌古)》와 《설두칠부집(雪竇七部集)》 등이 있음.
980~1052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명개(命凱) - 문명개(文命凱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퇴계(退溪) 이황(李滉)의 문인. 시문에 뛰어나며, 《성극재시고(省克齋詩稿)》를 저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명경(明卿)@오국륜 - 오국륜(吳國倫)
중국 명(明) 나라 세종(世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ㆍ문인. 귀주 제학(貴州提學)ㆍ하남 참정(河南參政) 등을 지냈으며, 왕세정(王世貞)ㆍ이반룡(李攀龍) 등과 시사(詩社)를 결성하고 고문사설(古文辭說)을 제창하여 후칠자(後七子)로 불림.
1524~1593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명경(明卿) - 이량(李亮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평창(平昌). 익평(翼平) 이계남(李季男)의 아들로, 1496년(연산군 2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1477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