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명경(明鏡) - 석인(釋印)
조선 전기의 승려. 서거정(徐居正)의 《사가집(四佳集)》에 그에 대해 쓴 시(詩)의 서(序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명경수(明鏡數) - 삼원명경수(三元明鏡數)
조선 전기의 문신 정희량(鄭希良)이 상(上)ㆍ중(中)ㆍ하(下) 삼원(三元)의 사람 운수를 헤아려 만들었다는 점서(占書). 《허암유집(虛庵遺集)》의 부록(附錄)에 보임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작품명
-
명계(明溪) - 이순(李廵)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(臨瀛大君) 이구(李璆)의 증손이며, 봉림수(鳳林守) 이수인(李守仁)의 셋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명계부수(明溪副守) - 이순(李廵)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(臨瀛大君) 이구(李璆)의 증손이며, 봉림수(鳳林守) 이수인(李守仁)의 셋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명곡(明谷)@최석정 - 최석정(崔錫鼎)
조선 현종(顯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전주(全州). 완성부원군(完城府院君) 최명길(崔鳴吉)의 손자로, 영의정(領議政)을 지내고 정치와 학문에 두루 능함. 저서로 《명곡집(明谷集)》이 전함.
1646~1715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명곡(鳴谷) - 이산보(李山甫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. 대사간(大司諫)으로 재임시 정여립(鄭汝立)의 모반사건을 수습함.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여 호종공신(扈從功臣)에 책록되고, 명(明) 나라 군대의 조선 진군과 군량조달에 큰 공을 세움.
1539~1594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명공(明空) - 측천무후(則天武后)
중국 당(唐) 나라 고종(高宗)의 황후ㆍ황제. 재위 684~705. 병약한 고종의 황후가 되어 실질적으로 나라를 통치하고, 고종 사후에 국호를 ‘주(周)’로 변경한 뒤 황제가 되어 각종 사회개혁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나, 지나친 탄압과 추문으로 비난받기도 함.
625~705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왕비ㅣ인명>왕실>국왕
-
명교숭(明敎嵩) - 계숭(契嵩)
중국 송(宋) 나라의 고승ㆍ학자. 운문종(雲門宗)을 발전시켰으며, 도교와 유교 등 다른 종파(宗派)와도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하였고, 특히 선교일치적(禪敎一致的)인 경향을 지님. 〈원교편(原敎篇)〉 등을 저술함.
1007~1072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ㅣ인명>문사>학자
-
명귀(明龜) - 이명귀(李明龜)
조선 전기의 종친. 정종(定宗)의 5세손으로, 신여주(申汝柱)의 장인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명규(名珪) - 이명규(李名珪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이순(李峋)의 아들로, 두 차례 명(明)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판돈녕부사(判敦寧府事) 등을 지냄. 행서와 초서에 능함.
1497~156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관인>문신
-
명길(鳴吉) - 한백겸(韓百謙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, 한효윤(韓孝胤)의 아들이며, 민순(閔純)의 문인으로, 역학(易學)에 밝아 《주역전의(周易傳義)》를 교정하였고, 《동국지리지(東國地理志)》를 저술하여 실학(實學)의 선구자적 역할을 함.
1552~1615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명길(鳴吉)@최명길 - 최명길(崔鳴吉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인조반정(仁祖反正)에 가담하여 정사공신(靖社功臣)에 책록되고, 병자호란 때 주화론(主和論)을 주장하며 전란 후 피폐한 정국 안정에 힘씀. 영의정(領議政) 등을 지냄.
1586~1647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명농(明穠) - 성왕(聖王)
백제 제26대 왕. 재위 523~554. 무녕왕(武寧王)의 아들이며, 위덕왕(威德王)의 아버지. 538년(성왕 16)에 사비(泗沘)로 천도(遷都)하는 등 왕권강화 정책을 계속함. 신라와 연합하여 고구려로부터 한강유역의 탈취에 성공하였으나, 신라의 배신으로 전사(戰死)함.
?~554 한국>백제 , 충청도>부여 , 인명>왕실>국왕
-
명덕왕후(明德王后) - 명덕태후(明德太后)
고려 제27대 충숙왕(忠肅王)의 비. 본관은 남양(南陽). 남양부원군(南陽府院君) 홍규(洪奎)의 딸로, 충혜왕(忠惠王)과 공민왕(恭愍王)을 낳았으며, 공민왕이 즉위하여 대비(大妃)에 오름.
1298~1380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남양ㅣ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왕비
-
명덕정순(明德貞順) - 인열왕후(仁烈王后)
조선 제16대 인조(仁祖)의 비. 본관은 청주(淸州). 영돈녕부사(領敦寧府事) 한준겸(韓浚謙)의 딸로, 인조반정 이후 왕비가 됨. 소현세자(昭顯世子)ㆍ효종(孝宗) 등 4형제를 둠.
1594~1635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비
-
명도(明道) - 정호(程顥)
중국 송(宋) 나라 인종(仁宗)~철종(哲宗) 때의 문신ㆍ학자. 태중대부(太中大夫) 정향(程珦)의 아들로, 아우 정이(程頤)와 함께 주돈이(周敦頣)의 문하에서 수학하고, 송 나라 이학(理學)의 기초를 마련함.
1032~1085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명도선생문집(明道先生文集) - 명도문집(明道文集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인 정호(程顥)의 문집. 아우인 정이(程頤)의 《이천문집(伊川文集)》과 함께 《이정전서(二程全書)》에 들어 있으며, 4권으로 구성됨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명도집(明道集) - 명도문집(明道文集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인 정호(程顥)의 문집. 아우인 정이(程頤)의 《이천문집(伊川文集)》과 함께 《이정전서(二程全書)》에 들어 있으며, 4권으로 구성됨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명령(明令) - 대명률(大明律)
중국 명(明) 나라의 기본 법전. 태조(太祖) 주원장(朱元璋)이 직접 감독하여 1367년 제정하였으며, 당률(唐律)ㆍ송률(宋律)ㆍ전제(田制)를 계승하여 6률(六律)이라는 새로운 격식을 창조함. 주석서로 《율해변의(律解辯擬)》ㆍ《율조소의(律條疏議)》ㆍ《대명률직해(大明律直解)》 등이 있음.
1367 중국>명 , 중국 , 법제>법률
-
명룡(命龍) - 최명룡(崔命龍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학자ㆍ서화가. 본관은 전주(全州). 학자 권극중(權克中)의 스승으로 역학과 수학에 정통하며, 그림에도 뛰어나 작품 〈선인무악도(仙人舞樂圖)〉 등이 전함.
1567~1621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문사>학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