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면호(眠湖) - 김시번(金始蕃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풍(淸風)으로, 영중추부사(領中樞府事) 김신국(金藎國)의 아들. 예조 참의(禮曹參議) 등을 지냈으나, 인조의 며느리인 민회빈강씨(愍懷嬪姜氏)를 구제하려다 파직당함.
1610~?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청풍 , 인명>관인>문신
-
멸오(滅烏) - 용인(龍仁)
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 예로부터 풍수지리상 명당(明堂)이 많은 곳으로 일컬어졌으며, 지금의 용인은 옛 용인ㆍ양지(陽智)ㆍ죽산(竹山)의 일부가 합해 이루어짐.
경기도>용인 , 지명>행정지명
-
멸학(滅學) - 분서갱유(焚書坑儒)
중국 진(秦) 나라 때 시황제(始皇帝)가 천하의 서적을 불태우고 유생들을 생매장하여 죽인 사건. 가혹한 법과 혹독한 정치를 상징함.
B.C.213~B.C.212 중국>진 , 중국 , 사건>기타사건
-
명(溟) - 홍명(洪溟)
조선 태조(太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판사(判事) 홍복해(洪福海)의 아들이며 장양공(莊襄公) 홍사석(洪師錫)의 아버지로, 한성 판윤(漢城判尹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명(蓂)@손명 - 손명(孫蓂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경주(慶州)로, 생원 손흥례(孫興禮)의 아버지. 구봉령(具鳳齡)의 《백담집(栢潭集)》에 화답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문사>유학
-
명(蓂) - 이명(李蓂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예안(禮安). 이보간(李輔幹)의 아들로, 권신(權臣) 이기(李芑)를 탄핵하고,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화를 입은 사람들의 신원(伸寃)을 주장함. 좌의정 등을 지내고 청백리(淸白吏)에 녹선됨.
1496~157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관인>문신
-
명(銘) - 이명(李銘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남양도호부사(南陽都護府使)를 지낸 이경충(李景忠)의 아들로, 홍문관 교리(弘文館校理)를 지냄.
1521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명각(明覺) - 중현(重顯)
중국 송(宋) 나라 운문종(雲門宗)의 승려. 성도 보안원(成都普安院)의 인선(仁銑)과 지문 광조(智門光祚)에게 사사하였으며, 저서에는 《설두송고(雪竇頌古)》와 《설두칠부집(雪竇七部集)》 등이 있음.
980~1052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명개(命凱) - 문명개(文命凱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퇴계(退溪) 이황(李滉)의 문인. 시문에 뛰어나며, 《성극재시고(省克齋詩稿)》를 저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명경(明卿)@오국륜 - 오국륜(吳國倫)
중국 명(明) 나라 세종(世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ㆍ문인. 귀주 제학(貴州提學)ㆍ하남 참정(河南參政) 등을 지냈으며, 왕세정(王世貞)ㆍ이반룡(李攀龍) 등과 시사(詩社)를 결성하고 고문사설(古文辭說)을 제창하여 후칠자(後七子)로 불림.
1524~1593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명경(明卿) - 이량(李亮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평창(平昌). 익평(翼平) 이계남(李季男)의 아들로, 1496년(연산군 2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1477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명경(明鏡) - 석인(釋印)
조선 전기의 승려. 서거정(徐居正)의 《사가집(四佳集)》에 그에 대해 쓴 시(詩)의 서(序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명경수(明鏡數) - 삼원명경수(三元明鏡數)
조선 전기의 문신 정희량(鄭希良)이 상(上)ㆍ중(中)ㆍ하(下) 삼원(三元)의 사람 운수를 헤아려 만들었다는 점서(占書). 《허암유집(虛庵遺集)》의 부록(附錄)에 보임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작품명
-
명계(明溪) - 이순(李廵)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(臨瀛大君) 이구(李璆)의 증손이며, 봉림수(鳳林守) 이수인(李守仁)의 셋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명계부수(明溪副守) - 이순(李廵)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(臨瀛大君) 이구(李璆)의 증손이며, 봉림수(鳳林守) 이수인(李守仁)의 셋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명곡(明谷)@최석정 - 최석정(崔錫鼎)
조선 현종(顯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전주(全州). 완성부원군(完城府院君) 최명길(崔鳴吉)의 손자로, 영의정(領議政)을 지내고 정치와 학문에 두루 능함. 저서로 《명곡집(明谷集)》이 전함.
1646~1715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명곡(鳴谷) - 이산보(李山甫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. 대사간(大司諫)으로 재임시 정여립(鄭汝立)의 모반사건을 수습함.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여 호종공신(扈從功臣)에 책록되고, 명(明) 나라 군대의 조선 진군과 군량조달에 큰 공을 세움.
1539~1594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명공(明空) - 측천무후(則天武后)
중국 당(唐) 나라 고종(高宗)의 황후ㆍ황제. 재위 684~705. 병약한 고종의 황후가 되어 실질적으로 나라를 통치하고, 고종 사후에 국호를 ‘주(周)’로 변경한 뒤 황제가 되어 각종 사회개혁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나, 지나친 탄압과 추문으로 비난받기도 함.
625~705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왕비ㅣ인명>왕실>국왕
-
명교숭(明敎嵩) - 계숭(契嵩)
중국 송(宋) 나라의 고승ㆍ학자. 운문종(雲門宗)을 발전시켰으며, 도교와 유교 등 다른 종파(宗派)와도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하였고, 특히 선교일치적(禪敎一致的)인 경향을 지님. 〈원교편(原敎篇)〉 등을 저술함.
1007~1072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종교인>승려ㅣ인명>문사>학자
-
명귀(明龜) - 이명귀(李明龜)
조선 전기의 종친. 정종(定宗)의 5세손으로, 신여주(申汝柱)의 장인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