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명묘(明廟)@명종 - 명종(明宗)@조선
조선 제13대 국왕. 재위 1545~1567. 재위기간 중 을사사화(乙巳士禍)와 을묘왜변(乙卯倭變)을 겪음.
1534~156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명묘실록(明廟實錄) - 명종실록(明宗實錄)@조선
조선 제13대 명종(明宗) 재위 22년간의 편년체(編年體) 기록. 춘추관 감사(春秋館監事) 홍섬(洪暹)이 주관하여 1571년(선조 4)에 완성 간행함.
1571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문헌>서명
-
명민(命敏) - 이명민(李命敏)
조선 세종(世宗)~단종(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대사헌(大司憲) 이승직(李繩直)의 아들로, 안악 군수(安岳郡守) 등을 지냈으나, 계유정난(癸酉靖難) 때 수양대군(首陽大君) 일파에게 살해됨.
?~145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명발와(明發窩) - 김종직(金宗直)
조선 단종(端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선산(善山). 고려 말 정몽주(鄭夢周)ㆍ길재(吉再)의 학통을 이어받은 조선 도통(道統)의 정맥으로 사림(士林)의 종주(宗主)가 됨. 〈조의제문(弔義帝文)〉으로 무오사화(戊午士禍) 때 부관참시(剖棺斬屍) 됨.
1431~149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명보(明甫)@권선문 - 권선문(權善文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안주 교수(安州敎授) 권륙(權稑)의 아들이며 권호문(權好文)의 형으로, 《송암집(松巖集)》에 묘지명(墓誌銘)이 실려 있음.
1528~157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명보(明甫) - 김농(金農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豐山). 홍문관 수찬(弘文館修撰)을 지낸 김의정(金義貞)의 아들로 음보(蔭補)로 관직에 진출하여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 등을 지냄.
1534~1591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명보(明甫)@박승문 - 박승문(朴承文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반남(潘南). 선조(宣祖) 때 대사간(大司諫)을 지낸 박승임(朴承任)의 형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문사>유학
-
명보(明甫)@송준길 - 송준길(宋浚吉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은진(恩津). 김장생(金長生)의 문인(門人)으로 기해예송(己亥禮訟) 때 기년제(朞年祭)를 주장함. 송시열(宋時烈)과 동종(同宗)이면서 학문 경향을 같이한 성리학자로 이이(李珥)의 학설을 지지함.
1606~167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명보(明甫)@이덕형 - 이덕형(李德馨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영창대군(永昌大君)의 처형과 폐모론(廢母論)을 반대하다 삭직되었으며, 남인(南人)과 북인(北人)의 중간 노선을 지키다가 남인에 가담함. 이항복(李恒福)과 절친한 사이였으며, 포천 용연서원(龍淵書院)에 배향됨.
1561~1613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명보(明甫)@함경충 - 함경충(咸敬忠)
조선 전기의 유학. 김안국(金安國)의 문하에서 학문을 하였는데, 그에게 청하여 자(字)를 지어 받았음이 《모재집(慕齋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함경도>길성 , 인명>문사>유학
-
명복(命福) - 고종(高宗)@당
중국 당(唐) 나라 제3대 황제. 재위 649~683. 전장(典章) 제도를 마무리하였으며, 병이 들자 황후인 측천무후(則天武后)에게 정사를 맡김.
628~683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명복(明復) - 손복(孫復)
중국 송(宋) 나라 진종(眞宗)~인종(仁宗) 때의 문신ㆍ학자. 국자감 직강(國子監直講)ㆍ전중승(殿中丞)을 지냈으며, 태산(泰山) 아래에서 문도를 모아 가르치고 글을 저술하여 태산학파(泰山學派)를 이룸. 저서로《수양자집(睢陽子集)》이 있음.
992~1057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명복궁주(明福宮主) - 명의태후(明懿太后)
고려 제15대 숙종(肅宗)의 비(妃). 본관은 정주(貞州). 문하시랑 평장사(門下侍郞平章事) 유홍(柳洪)의 딸로, 예종(睿宗)을 비롯하여 7남 4녀를 낳음.
?~1112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왕비
-
명부(明府) - 연구령(延九齡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곡산(谷山). 김정(金淨)의 《충암집(冲庵集》에 그와 주고받은 시(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곡산 , 인명>관인>문신
-
명비(明妃) - 왕소군(王昭君)
중국 전한(前漢) 원제(元帝)의 후궁. 흉노(匈奴)와의 화친정책으로 호한야 선우(呼韓邪單于)에게 시집가 연지(閼氏)가 됨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후궁
-
명사(明史)@남유용 - 명사정강(明史正綱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문신인 남유용(南有容)이 명(明) 나라의 역사를 서술한 책. 15권. 1772년(영조 48)에 책의 내용이 문제가 되어 파직됨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명사(明師)@도명 - 도명(道明)
조선 전기의 승려. 바둑을 좋아하여 황준량(黃俊良)과 바둑을 둔 뒤에 시(詩)를 부탁해서 받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명사(明師)@이연경 - 이연경(李延慶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홍문관 교리(弘門館校理)로 재직할 때 조광조(趙光祖)를 재상으로 천거하였으며, 인품이 높고 학문과 식견이 뛰어나 문하에서 인재들이 배출됨.
1484~154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명산(命山) - 임명산(林命山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평택(平澤). 병조 참판(兵曹參判) 임수창(林壽昌)의 아버지로, 이조 판서(吏曹判書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평택 , 인명>관인>문신
-
명산(明山) - 김응생(金應生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경주(慶州). 이황(李滉)의 문인. 자양산(紫陽山) 아래 서숙(書塾)을 짓고 후배의 교육에 전력하였고, 포은(圃隱) 정몽주(鄭夢周)를 배향한 임고서원(臨皐書院)의 건립을 주도함.
1496~155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문사>학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