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명산도정(明山都正) - 이금정(李金丁)
조선 전기의 종친. 정종(定宗)의 넷째 서자인 선성군(宣城君) 이무생(李茂生)의 아들이며, 하양군(河陽君) 이옥형(李玉荊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명산부수(明山副守) - 이금정(李金丁)
조선 전기의 종친. 정종(定宗)의 넷째 서자인 선성군(宣城君) 이무생(李茂生)의 아들이며, 하양군(河陽君) 이옥형(李玉荊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명산수(明山守) - 이금정(李金丁)
조선 전기의 종친. 정종(定宗)의 넷째 서자인 선성군(宣城君) 이무생(李茂生)의 아들이며, 하양군(河陽君) 이옥형(李玉荊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명상인(明上人) - 성명(性明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승려. 진관사 주지(津寬寺住持)로 있을 때 신숙주(申叔舟)가 벗들과 노닐며 지은 시가 《보한재집(保閑齋集)》에 실려 있으며, 남효온(南孝溫)과도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종교인>승려
-
명생(命生) - 이명생(李命生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백담(栢潭) 구봉령(具鳳齡)과 교유하였으며, 첨정(僉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명서(明瑞) - 배용길(裵龍吉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흥해(興海). 홍문관 부교리(弘文館副校理) 배삼익(裵三益)의 아들로, 김성일(金誠一)의 문인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의병(義兵)으로 활약하였고, 정유재란(丁酉再亂) 때 화의(和議)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림.
1556~160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명석(命錫) - 김명석(金命錫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의성(義城). 이재(李栽)의 문인(門人). 문학으로 일가를 이루었고, 특히 시(詩)는 독보적 존재로 평가됨.
1675~176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의성 , 인명>문사>학자
-
명선(命善) - 서명선(徐命善)
조선 영조(英祖)~정조(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달성(達城). 이조 참판(吏曹參判) 때 세손(世孫)의 대리청정을 반대하는 홍인한(洪麟漢) 일파를 탄핵하여 정조의 즉위에 공헌하였으며, 영의정(領議政) 등을 지냄.
1728~1791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명선(明善) - 원명선(元明善)
중국 원(元) 나라의 학자. 조맹부(趙孟頫) 등과 함께 연경(燕京)의 만권당(萬卷堂)에 초빙되어 이제현(李齊賢) 등과 교류하였음.
1269~1322 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명선부정(明善副正) - 이억재(李億載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로, 청기군(靑杞君) 이표(李彪)의 아들이며 이원익(李元翼)의 아버지. 문학을 좋아하고 오성(五聲)과 율려(律呂)에 능통함.
1503~158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명성(明星) - 금성(金星)
저녁의 서쪽 하늘이나 새벽의 동쪽 하늘에서 밝게 빛나는 별. 오성(五星) 중의 하나로 서방(西方)을 상징하였으며, 흔히 군사(軍事)나 전쟁(戰爭)을 비유함.
자연물>천체
-
명성(明誠) - 조명성(趙明誠)
중국 송(宋) 나라 휘종(徽宗)~고종(高宗) 때의 금석학자ㆍ장서가(藏書家). 문인 이청조(李淸照)의 남편으로, 부인과 함께 구양수(歐陽脩)의 《집고록(集古錄)》을 본떠《금석록(金石錄)》을 완성함.
1081~1129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명성(鳴盛) - 김명성(金鳴盛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1590년(선조 23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 박승임(朴承任)에게 배웠고, 김륵(金玏)ㆍ김륭(金隆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명성군(溟城君) - 함부림(咸傅霖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강릉(江陵)으로, 검교 중추원학사(檢校中樞院學士) 함승경(咸承慶)의 아들. 이성계(李成桂)를 도와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(開國功臣)에 책록되고, 형조 판서(刑曹判書) 등을 지냄.
1360~1410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명성도정(明城都正) - 이작(李綽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의 종친. 광해군에게 인목왕후(仁穆王后)를 폐비하는 것이 부당함을 논함. 명성도정(明城都正)에 봉해짐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명성중자(明誠中子) - 장재(張載)@송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왕안석(王安石)의 신법(新法)에 반대하여 벼슬에서 물러나고, 정호(程顥)ㆍ정이(程頤)에게서 배움. 송 나라 최초로 ‘기일원(氣一元)’의 철학사상을 전개하여 송 나라 유학(儒學)의 기초를 세움.
1020~1077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명세(名世) - 안명세(安名世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으로, 박영(朴英)의 문인. 사관(史官)으로서 을사사화(乙巳士禍)의 전말을 직필(直筆)한 시정기(時政記)를 작성하였으나, 한지원(韓智源)의 밀고로 체포되어 사형당함.
1518~154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풍기 , 인명>관인>문신
-
명세(命世) - 심명세(沈命世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인조반정(仁祖反正)에 참여하여 정사공신(靖社功臣) 청운군(靑雲君)에 봉해졌으며, 이괄(李适)의 난과 정묘호란(丁卯胡亂) 때 인조를 호종함.
1587~163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청송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명소선생(明所先生) - 주공천(朱公遷)
중국 원(元) 나라의 학자ㆍ문신. 경전백가(經傳百家)와 예악율력(禮樂律曆) 등 다방면에 정통하였고, 건주 학정(虔州學正)을 지냄. 저서에 《사서통지(四書通旨)》와 《사서약설(四書約說)》이 있음.
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명손(命孫) - 최명손(崔命孫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강릉(江陵). 대사헌(大司憲) 최진(崔璡)의 아버지로, 이조 정랑(吏曹正郞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문신